항목

  • 에티오피아 정교회 Ethiopian Orthodox Church
    합성론교리(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이 합쳐진 하나의 복합적인 본성을 가졌다는 교리)를 믿는 에티오피아의 독립 그리스도교 총대주교구(합성론자). Ethiopian Church라고도 함.|콥트 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명예 수장권(首長權)을 인정한다. 본부는 아디스아바바에 있다(→ 합성론자). 에티오피아에는 4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관련어 에티오피아 정교회) Ethiopia..
    출처 필요기독교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티오피아의 비(非) 칼케돈계 기독교 교회이다. 1959년까지 콥트 정교회의 일부였으나 지금은 독립된 교파를 형성하고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존재한 유일한 기독교 교파로 에티오피아에서 약 4500만~5000만 명의 신도를 거느리고 있으...
    도서 위키백과
  •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에티오피아 정교회, エチオ..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transliterated Amharic: Yäityop'ya ortodoks täwahedo bétäkrestyan) is one of the largest Orthodox churches and the largest of the Oriental Orthodox Christian Churches. The Ethiopian Church was administratively part of the Coptic Orthodox Church of Alexandr...
  • 에티오피아의 문화
    지금의 에티오피아 정교회로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처럼 전통적으로 그리스도교가 우세했으며, 문학도 내용이나 소재가 그리스도교적이다. 20세기 후반 그리스도교 교회의 지배를 줄이는 노력으로 인해 이슬람교의 지위도 높아졌다. 게에즈어(에티오피아 정교회 언어)가 전통적으로 중요하지만, 암하라어·갈리어(오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오리엔트 정교회 Oriental Orthodox Churches, 東方諸教会
    예루살렘, 레바논 등지에도 주교와 신도들이 있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6세기 드진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를 이단으로 규정하였다.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원래 이집트 콥트교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 휘하에 있던 교회였으나 후에 독립하여 현재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가 수장으로...
    도서 위키백과
  •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Coptic Orthodox Church, コプト正教会
    명의 학생이 입학하면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됐으며, 그 중의 한 명은 나중에 학장이 되었다. 1959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가 콥트교회 총대주교 키릴로스 6세에 의해 자체적인 총대주교(總大主敎)를 갖게 되었다.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도 그와 마찬가지로 1994년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독립했으며...
    도서 위키백과
  • 에티오피아 Ethiopia
    국가로 선포하고 임시 위원회를 세워 국가를 통치하였는데, 군정 동안 군부의 공포정치에 의하여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고 2천년 동안 이어져 온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교회가 문을 닫는 등 박해를 받았다. 이 군정기는 암하라어로 "위원회"를 의미하는 데르그(Derg)라고 불리고 있다. 1974년 멩기스투 정권에 반발한...
    도서 위키백과
  •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구 Greek Orthodox Patria..
    알렉산드리아와 카이로에 계속 남아 있었다. 19세기에 이집트가 번영하면서 수천 명의 그리스인과 시리아인이 이집트로 이주했으므로 이집트의 그리스 정교회 규모가 갑자기 커졌다. 20세기에는 이집트 밖의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 정교회 신도들의 거주지가 여럿 생겨 리비아의 트리폴리,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Eritrean Orthodox Tewahedo ..
    기독교 교회체 정보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에리트레아 아스마라에 본부를 둔 오리엔트 정교회이다. 1993년 에티오피아 정교회로부터 분리했다. 테와히도(Te-wa-hado, tawāhidō)은 그으즈어 의미하는 단어는 '하나로 만들어지다'라는 뜻이다.알렉산드리아, 안티오케이아와 예루살렘의 교구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도서 위키백과
  • 동방 정교회 Eastern Orthodox Church, 正教会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교회에는 흔히 '~정교회'라는 식으로 이름이 붙여진 교단이 많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리스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에서부터 '아르메니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교회(정교회라고 이름붙인 교단)가 신앙적, 교의적 기준으로 봤을 때 정교회...
    도서 위키백과
  • 에티오피아어군 Ethio-Semitic languages, エチオピア・セム諸語
    에리트레아에서 두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역사적인 고전 언어로 기원후 1세기부터 그으즈 문자로 기록된 그으즈어가 있으며, 여전히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에리트레아 정교회에서 예배에 쓰이는 지위를 가지고 있다. 에티오피아어를 북부와 남부의 언어로 나누는 분류는 Cohen (1931)과 Hetzron (1972)에 의해...
    도서 위키백과
  • 에티오피아 제국 Ethiopian Empire, エチオピア帝国
    첫 황제가 되었다. 솔로몬 왕조는 성서에 등장하는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아들인 메넬리크 1세를 시조라 하며, 다른 왕조와 같이 초기 형태의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종교로 가졌다. 16세기에 이슬람 세력과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을 거치면서 독자성을 지켜냈으나 세력이 약화되었다. 1700년대에 여러 갈등으로 황제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본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