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교회의 성가.|16세기에 소개된 '멜레케트'라 하는 에티오피아성가 기보법은 고대 에티오피아어인 '게츠'어 문자로 기보했는데, 문자 하나가 가사의 음절 하나를 나타낸다. 이러한 문자 기호들은 '세라유'라고 하는 특정 선율형을 푸는 열쇠가 되어주기도 한다. 선율형은 실제 연주에서 즉흥적...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가진 노래를 뜻했다. 그레고리오 성가 이외의 단성성가들로는 서방의 암브로시오 성가, 갈리아 성가, 모사라베 성가와 동방의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콥트 성가, 에티오피아성가, 아르메니아 성가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지녔다는 점이...
처음 2부분인 연민송(Kyrie)과 영광송(Gloria)만으로 이루어진다(→ 루터교). 다른 근대 개신교 교회들도 예배의 목적이나 특별한 음악적 목적에 맞게 기존의 미사곡들을 자유롭게 빌려다 사용하고 있다(동방교회에 대해서는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아르메니아 성가', '에티오피아성가' '콥트 성가' 항목 참조...
역사만큼이나 매우 풍부하고 고대 찬가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동방 교회의 성가는 거의 대부분 무반주 음악이며, 악기 반주는 극히 드물다. 동방 정교회의...모든 전례양식에 사용된다. 반면에 콥트 정교회에서는 타악기를 사용하며,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는 드럼과 심벌 등의 악기들을 사용한다. 기독교의 찬가...
성서의 계시에 근거한 그의 작품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부수적인 기록들로 인해 문학적 관심을 끌고 있다. 네스토리우스교파의 그리스도교도였던 것으로 보이는...편의 지리서를 저술했다. 그러나 현재는 〈지지학 Topographia〉과 성가와 복음에 관한 그의 논평 몇 편만이 남아 있다. 그는 모세의 성궤를 우주의 모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