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관련어 에라스무스) Erasmus, デジデリウス・エラスムス다른 뜻 넘어옴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일반적으로 에라스무스로 부르는데 네덜란드 태생의 서방교회 성직자이자 인문주의자이다. 서방교회의 종교개혁 운동에 영향을 준 기독교 신학자이다. 이름 뒤에 Roterodamus를 붙여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로테로다무스로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그의 라틴어 필명이었다. 데...도서 위키백과
-
에라스무스와 프로테스탄트의 갈등루터가 교황의 권위에 도전한 것이 점화제가 되어 중대한 사건들이 잇따라 일어났다(종교개혁). 이런 사건들이 처음 일어났을 때부터 에라스무스를 싫어하는 성직자들은 에라스무스가 루터를 부추겼다고 비난했다. 루터를 숭배하는 일부 독일인들도 루터는 에라스무스가 암시한 것을 대담하게 선언했을 뿐이라고 생각...
-
에라스무스의 영향과 업적죽을 때까지 학자였던 에라스무스는 한 가지 문제의 여러 측면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가 죽은 뒤에 등장한 여러 세대의 사람들이 신앙을 위해서라면 어떤 싸움에도 뛰어들 각오를 함에 따라, 그의 우유부단과 의도적인 모호한 표현은 점점 더 가치를 잃게 되었다. 양쪽의 중재인들이 가톨릭교도와 루터 신봉자들...
-
-
에라스무스의 초기생애에라스무스는 성직자인 로헤르 헤라르트와 의사의 딸인 마르가레타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사생아였으며, 네덜란드 데벤테르에 있는 성 레부인 성당의 부속학교에 들어가 3학년까지 진급했다. 그의 스승이었던 얀 신텐과 교장 알렉산데르 헤기위스는 모두 인문주의자였다. 에라스무스는 학생시절에 고전 라틴어 시...
-
프랑스 근대 회화의 시조, 니콜라 푸생 Nicolas Poussin되었다.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는 다비드의 〈호라티우스의 맹세〉가 대표적이다. 또한 이 시기에 푸생은 교황의 주문으로 성 베드로 성당의 제단화 〈성 에라스무스의 순교〉를 제작했다. 그러나 절제되고 차분한 화풍은 시선을 끌어야 하는 대형 제단화에 맞지 않았고, 무엇보다 카라바조 등의 화려하고 역동적인 화풍...
- 출생 :
- 1594년 06월 15일
- 사망 :
- 1665년 11월 19일
- 국적 :
- 프랑스
- 대표작 :
- 〈게르마니쿠스의 죽음〉, 〈성 에라스무스의 순교〉, 〈아르카디아의 목자들〉 등
-
루터 생애의 분수령루터와 에라스무스 1525년은 여러 의미에서 루터 생애의 분수령이었다. 1525년 6월 농민전쟁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루터는 '악에 앙갚음하기 위해' 과거에 수녀였던 카테리나 폰 보라와 결혼했다. 확실히 루터는 보살핌이 필요했다. 그녀는 훌륭한 아내였고 사업 수완이 있는 여성이었다. 가정은 루터에게 상당한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