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어수리류 cow parsnip
    산형과에 속하며 60여 종으로 이루어진 어수리속 식물.|북온대지역과 열대 산악지방에 널리 퍼져 있다. 어수리류는 다년생으로 키가 종종 수m를 넘는다. 잎은 큰 겹잎으로 이루어졌으며, 꽃은 흰색·자주색을 띠고 넓게 무리져 달린다. 헤라클레움 스폰딜리움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고 지금은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귀...
  • 어수리 으너리, moellendorffi-cow-parsnip
    맨 바깥쪽 2장이 더욱 크므로 구분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뿌리에서 추출한 기름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본 분류군이 속한 어수리속에 공통적인 특징인 것으로 밝혀졌다(Tkachenko 2006). 또 항염 작용과 혈액응고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인 파낙시놀(panaxynol) 및 팔카리노...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목 > 미나리과 > 어수리속
    서식지 :
    산지, 고도가 낮은 지대, 길가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 어수리 으너리, Heracleum moellendorffii
    속하는 다년생초. 학명은 Heracleum moellendorffii이다. 한국에서는 경북 영양지역의 대표 산나물이다. 예로부터 임금님 수라상에 오른다 하여 ‘어수리’라 이름 붙여질 정도로 귀하게 취급 받아왔다. 전국의 산과 들에 많이 자생한다. 어린 잎과 줄기는 산나물로 식용하고, 뿌리는 약재로 사용한다. 어수리 뿌리의...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미나리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숲속의 그늘진 곳
    크기 :
    약 70cm ~ 1.5m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꽃말 :
    구세주
    용도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어수리
    뒷면에 4줄의 종선이 있다. 줄기 높이 70-150cm이고 원줄기는 속이 빈 원주형이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큰 털이 있다. 뿌리 만주독활(滿洲獨活)이라 한다. 생육환경 산이나 들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용도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유사종 • 큰어수리 특징 세계에 약 7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어수리속
    꽃색 :
    백색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개화기 :
    7월, 8월
  • 어수리
    잎 어긋나고 3~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인데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밑 부분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싼다. 끝에 달린 작은 잎은 심장형으로서 3개로 갈라진다. 옆에 달린 작은 잎은 길이 7~20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삼각형으로서 2~3개로 갈라지는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이...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
    번식 :
    씨·분주
    약효 부위 :
    뿌리
    생약명 :
    독활(獨活)
    키 :
    70~150cm
    과 :
    미나릿과(산형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 4~5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땃두릅·큰어수리
  • 어수리
    • 성분 : isobergapten, angelicin, xanthotoxin, sphondin •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잎 : 근생엽(根生葉)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으며 크고 우상(羽狀)이며 3∼5개의 소엽(小葉)으로 구성되고 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정소엽(頂小葉)은 원심(圓心)형이며 3개로 깊이 갈라지고 측소엽(側小葉)은 넓은...
    분류 :
    미나리과
    서식지 :
    산과 들, 산야지초원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분포지역 :
    한국(전국), 일본, 중국
    번식 :
    종자, 실생, 분주
    생활사 :
    여러해살이
  • 어수리 어느리
    생물학적 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는 70-150cm 줄기는 속이 빔, 종선이 있음, 거친 털이 있음 잎은 호생, 우상복엽, 소엽은 3-4개,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짐, 밑부분은 넓어져 줄기를 쌈, 상부의 잎은 퇴화, 정단소엽은 원심형, 3개로 깊이 갈라짐, 길이 7~20㎝, 결각상 거치연 꽃은 7~8월 백색 개화, 복산형화서...
    분류 :
    산형과(Umbelliferae)
    서식지 :
    산야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본초명 :
    독활(獨活)
    분포지역 :
    한국(거의 전역), 중국, 만주
  • 어수리혹진딧물
    특징 유시충은 처리된 표본에서는 배의 옆무늬와 피부판을 제외한 피부가 투명하고, 다리의 넓적다리마디 밑반부, 종아리 밑부 5/6 및 뿔관은 연한 빛깔이며, 나머지 부분은 흑색 또는 검은 빛깔이다. 머리에는 이마혹이 매우 발달되었으며 그 안 쪽은 안을 향한다. 이마혹과 머리에는 미세돌기가 있고, 이마혹은 1개의...
    분류 :
    매미목 > 진딧물과 > 노란점나나니속
    학명 :
    Paramyzus heraclei Börner, 1933
  • 어수리원뿔나방
    특징 머리와 가슴 윗부분은 주황색임. 앞날개의 바탕색은 홍색 내지 짙은 오렌지색으로 흑갈색 인편이 산재하여 있고, 중실의 바깥쪽엔 명료하게 오렌지색 둥근 무늬를 나타내 보임. 이 무늬의 중앙에는 작은 흑갈색 반점이 1개 있음. 뒷날개는 회백색임. 수컷 옆돌기가 서로 떨어져 있지 않고 융합되어 있으며, 파악기...
    분류 :
    나비목 > 원뿔나방과
    학명 :
    Agonopterix ochrocephala Saito, 1980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 영양군의 식재
    우수한 재배기술로 전국 으뜸농산물 품평회에서 총 7회 대상을 수상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 받은 바 있다. 이곳의 특산물은 고추, 사과 외에 천궁, 천마, 어수리, 산마늘, 곰취나물, 더덕 등 다양한 산나물이 있다. 주요 식재 고추 영양고추는 매년 전국으뜸농산물 한마당 경연대회에서 수상을 하고 있으며 지난 2011년...
  • 어수리 으너리
    향이 좋은 나물 어수리는 제주도와 도서 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비옥한 토질의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자라며, 키는 70~150㎝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며, 세로로 줄이 있고 거친 털이 있으며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줄기잎에는 잎자루가 있으며, 새...
    분류 :
    산형과
    서식지 :
    비옥한 토질의 반그늘 혹은 양지
    꽃색 :
    흰색
    크기 :
    키는 약 70~150㎝ 정도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용도 :
    관상용, 뿌리는 약재,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 중국, 일본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10월경
  • 어수리 短毛牛防风
    생물 분류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는 한반도 각처의 산과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70-150cm이다. 줄기는 속이 빈 원기둥 모양,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큰 털이 나 있다. 근생엽과 줄기 밑의 잎은 잎자루가 크고, 깃꼴겹잎, 잎면과 잎자루에 털이 밀생, 작은잎은 3-5장, 넓은 난형, 길이 7-20cm...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