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양자장론 量子場論, quantum field theory
    물리학에서 원자구성입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물리학 이론 중의 하나.|물리학의 다른 분야에서 이용되기도 한다. 이 이론은 입자가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고에너지 충돌과 같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을 결합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생겨나게 되었다. 양자장론의 원형은 양자전기역학(QED)인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양자장론 (관련어 양자 장론) Quantum field theory, 場の量子論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llang)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통해 물리 현상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물리학이나 응집물질물리학 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서적 인용rp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 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
    도서 위키백과
  • Quantum field theory 양자장론, 場の量子論
    In theoretical physics, quantum field theory (QFT) i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nstructing quantum mechanical models of subatomic particles in particle physics and quasiparticles in condensed matter physics. A QFT treats particles as excited states of an underlying physical field, so these ar...
  • 게이지 이론 gauge theory
    지고 있다. 197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쿼크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게이지 이론인 양자색역학(quantum chromodynamics/QCD)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많이 했다(→쿼크). 대다수의 물리학자들은 게이지 이론으로 중력·전자기력·강력·약력 등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최종적으로 통일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양자장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양자장론의 역사 History of quantum field theory, ..
    입자물리학에서 양자장론의 역사는 폴 디랙이 1920년대 후반에 전자기장을 양자화하려고 시도했을 때 창안한 것으로 시작된다. 하이젠베르크는 "양자역학의 창시"로 193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론의 주요 발전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이루어졌으며 재규격화 양자 전기역학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양자 전기...
    도서 위키백과
  • 위상 양자장론 Topological quantum field theory, ..
    물리학과 수학에서 위상 양자장론(位相量子場論, 약자 TQFT)은 계량 텐서에 의존하지 않는 양자장론이다. 미분구조조차 고려하지 않는 위상다양체에서 하는 것은 아니고, 정확히는 리만 계량을 고려하지 않는 미분다양체위에서 하므로 위상 양자장론보다는 미분 위상 양자장론이 더 어울리는 이름이다. 입자 물리학과 끈...
    도서 위키백과
  • 분배 함수 (양자장론) Partition function (quantum field th..
    양자장론에서 분배 함수는 상관 함수에 대한 범함수를 생성하여 경로 적분 공식화에서 연구의 핵심 대상이 된다. 이는 통계 역학 분배 함수의 허수 시간 버전으로, 물리학의 두 영역 사이에 긴밀한 연결을 제공한다. 자유장론에서는 그러한 해법을 인정하지만 분배 함수를 정확히 풀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신...
    도서 위키백과
  • 대수적 양자장론 Algebraic quantum field theory
    수리물리학에서, 대수적 양자장론은 함수해석학의 C*-대수를 국소적 양자 물리학에 응용한 이론이다. 헤이그와 카스틀러가 도입했기 때문에 양자장론에 대한 헤이그-카스틀러 공리계(Haag–Kastler axiomatic framework)라고도 한다. 이 공리계는 민코프스키 공간의 모든 열린 집합에 대해 주어진 대수와 그 사이의 사상...
    도서 위키백과
  • 박봉열 朴鳳烈
    물리분과를 설치하여 1973년까지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국내입자물리학 육성에 전력했다. 1970년 이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에 피선되어 활약했으며 입자물리학·양자장론 등의 학문발전에 기여했다. 한국물리학회 공로상(1974), 한국원자력학회 공로상(1975), 대한민국 국민훈장동백장(1985), 1991년에는 대한민국 과학...
    출생 :
    1926. 7. 30, 충남 천안
    사망 :
    2001. 7. 31,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공리적 양자장론 Axiomatic quantum field theory
    공리적 양자장론(公理的 量子場論, axiomatic quamtum field theory)는 물리학 이론 중 하나인 양자장론을 수학적으로 최대한 엄격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하려는 수리물리학의 한 분야다. 양자장론은 아주 성공적인 물리학 이론이다. 양자장론은 많은 미시적 물리계를 아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도서 위키백과
  •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Quantum field theory in curv..
    양자장론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이란 입자물리학에서 민코프스키 공간 양자장론을 휘어진 공간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이 이론의 일반적 예측에 따르면 시간에 종속적인 중력장에 의해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등가원리로 인하여 양자화 과정은 국소적으로 원점의 아핀 접속이 0으로 맞춰져 있고 0이 아닌 리만 텐서가...
    도서 위키백과
  • 상관 함수 (양자장론) Correlation function (quantum field ..
    n개의 함수 φ의 상관함수는 다음과 같다. \mathcal M(x_1,x_2,\dots,x_n)=\langle 0|\mathrm T\{\phi(x_1)\phi(x_2)\dots \phi(x_n)\} |0 \rangle 여기서 T는 시간순서 연산자다. 숫자 n에 따라 0점함수, 1점함수, 2점함수, n점함수 등으로 불린다. 이 중 1점함수는 올챙이 함수 , 2점함수는 그린 함수라고도 불린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