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양심적 병역거부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 CO ; Conscie..등 50개 이상의 국가의 경우, 신념과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을 인정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게 병역을 면제하거나 대체복무제를 실시하는 법률 등을 제정하고 있다. 지난 60년간 국내에서 1만 6,000여 명의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투옥됐고, 2012년 1월에는 731명이 복역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대체복무제도 代替服務制度대상 인구가 많을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복무 기간 조정이나 병역 면제를 위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개인의 신념이나 양심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를 위한 복무 형태로 정착하였다. 변천사항 1969년에 도입된 방위병 소집 제도를 대체복무제도의 시초로 본다. 이는 군에 필요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병역기피자 공개 제도 兵役忌避者公開制度사람을 포함한다)은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전문개정 2016. 1. 19.] 기피요지에는 나오지 않지만 사회복무요원 외에도 2020년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받은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대상으로 한 대체복무요원 제도가 시행된 후에는 대체복무요원 소집까지 거부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공개 대상 제외자는 아래와 같으며...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