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실존주의 존재론과 인식론 (관련어 야스퍼스) 세계 속에 내던져진 실존절망의 현대사회에서 실존이라는 방공호를 찾다 뭉크(Munch)의 〈절규〉는 불안이나 절망에 동화되는 감정을 드러낸다. 그림을 보면 덩달아 초조해지거나 고함을 지르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하늘도 땅도 사람도 현기증을 일으킬 정도로 너울거린다. 날카로운 비명으로 가득할 것만 같다. 뭉크는 이렇게 말했다. “어느 ...
-
-
-
카를 야스퍼스 Karl Jaspers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이다. 자신이 지병에 시달리면서 죽음과 고통을 경험한 후, 인간은 정신 병리적 현상 속에서 자기 실존의 참된 실존을 드러낸다는 한계상황론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전 인류의 보편적 한계상황으로서의 전쟁과 죄악의 문제를 다루면서, 인간이 빠지기 쉬운 배타적 독선과 자기중심적 사고방식을...
- 출생 :
- 1883년
- 사망 :
- 1969년
-
Karl Jaspers 카를 야스퍼스, カール・ヤスパースKarl Theodor Jaspers (23 February 1883 – 26 February 1969) was a German-Swiss psychiatrist and philosopher who had a strong influence on modern theology, psychiatry and philosophy. After being trained in and practicing psychiatry, Jaspers turned to philosophical inquiry and attempted to discover...출처 영어 위키백과
-
-
가능세계의 선택 선택, 해석은 변하고 삶은 계속된다각자의 능력과 한계, 가능성과 삶의 가장 극적인 측면들을 잘 드러내 보여 주기 때문이다. 한계상황은 돌발상황의 극단적인 형태로 실존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의 핵심개념이기도 하다. 야스퍼스에 따르면 인간은 상황 구속적인 존재이다. 모든 인간은 자연적이고 역사적인 특정한 시공간...
-
실존주의 實存主義이념의 철학이나 사물의 철학이 아닌 인간의 철학(에마뉘엘 무니에), 또는 체계적 · 과학적 합리주의에 대한 반역 철학(로베르 캠벨) 등으로도 본다. 야스퍼스(Jaspers, K.)가 1931년에 처음 ‘실존철학’(『현대의 정신적 상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2차 대전 직후 사르트르(Sartre, J.P.)가 ‘실존주의’라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