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야생귀리 wild oat
    벼과 귀리속에 속하며 모여 자라는 몇몇 1년생초.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다. 논과 밭에 서식하고, 크기는 90cm~1.2m 정도이다. 꽃말은 ‘음악을 좋아함’이다. 건초나 사료로 활용한다.|정의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귀리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귀리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호주)
    서식지 :
    논, 밭
    크기 :
    약 90cm ~ 1.2m
    꽃말 :
    음악을 좋아함
  • 오트그래스 (동의어 야생 귀리) oat grass
    벼과에 속하는 개나래속 TYPE="ITALIC">Arrhenatherum)과 단토니아속의 다년생 식물들.|개나래속은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약 6종(種)의 키큰 풀로 이루어져 있다. 목초로서 여러 나라에 도입된 개나래새는 많은 지역에서 야생으로 자라며 잡초로 여겨지는데 특히 변종인 아르레나테룸 엘라티우스 불...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원산지 :
    남아메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크기 :
    약 1.5m
  • 귀리 oats
    나중에 껍질이 말라서 한 개의 씨앗과 붙는 열매인 영과(穎果)로 익으며, 털이 있고 한쪽에 홈이 패어 있다. 생태 서늘한 온대지방에서 널리 심고 있다. 야생귀리는 처음에 유럽 서부의 보리밭에서 잡초처럼 자라던 것인데 지금은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재배된다. 붉은귀리는 더위에 견디는 힘이 있어 좀더 따뜻한 기후...
  • 인류의 미래, 세상의 모든 종자
    야생종을 확보하는 야심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앞으로 10년 동안 세계적으로 중요한 23종의 식량작물, 곧 알팔파, 서아프리카 밤바라땅콩, 바나나, 보리, 콩, 귀리, 감자, 벼, 사탕수수, 해바라기, 고구마, 밀 등의 야생 근연종을 찾는 것이다. 확보한 종자는 스발바르 저장고를 비롯한 여러 종자은행에 보관되고...
  • 문명의 시작과 요리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야생 곡물을 직접 재배하면 어떨까? 야생 동물을 길들이면 어떨까? 인류가 처음으로 재배한 작물은 보리, 호밀, 귀리 따위라고 한다. 여러 야생 잡풀 가운데 가장 먹기 적합한 식량으로 선택된 것이다. 사람들은 오랜 관찰을 통해 식물이 씨앗에서 싹이 돋아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는 사실은...
  • 영원군 寧遠郡
    黃峰, 1,736m)·검산령·차일봉(1,743m) 등이 연이어 솟아 있으며, 대동강이 면의 중앙을 남류하고 있다. 밭농사를 주로 하며, 조·옥수수·콩·팥·메밀·귀리·녹두·감자 등이 많이 생산된다. 특용 작물로 잎담배와 대마를 재배하며, 대마 재배가 많아 삼베를 생산한다. 특히 야생 뽕나무가 많아 누에고치를 생산해...
    시대 :
    근대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2,249㎢(광복 전), 면적 1,182㎢(현재)
    소재지 :
    평안남도 북동부 대동강 상류 유역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카라코람 산맥 Karakoram Range
    교통 사정이 훨씬 나아졌다. 자연조건이 열악하여 카라코람 산맥에는 주민이 거의 살지 않는다. 20만 7,200㎢ 면적에 수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들 대부분이 4,500m 고지의 마을에서 농사를 짓고 사는 티베트족이다. 이들은 보리·귀리·수수를 재배하고, 가축을 기른다. 흰표범·야생들소·티베트영양 등이 서식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아빌라 Avila
    밀 재배면적은 증가하고 있다. 호밀·보리·귀리·옥수수·담배 등도 재배하고 있다. 현대식 영농방식이 확산되면서 곡물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여 여분이...아레나스데산페드로 세브레로스)에 국한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전에 이 산맥들에는 사냥감이 많았으나 그레도스 산맥의 야생염소가 줄어들어 1905년 야생염소...
    위치 :
    스페인 중부 카스티야라비에하 고원
    인구 :
    159,764명 (2024년 추계)
    면적 :
    8,050.15㎢
    언어 :
    스페인어
    대륙 :
    유럽
    국가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식물육종 植物育種, plant breeding
    많은 야생식물들이 빠른 진화적 변화를 거쳐 재배작물로 바뀌었다. 18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식물의 성적 특성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1900년 이후 비로소 '식물육종'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후 우수한 식물과의 의도적인 교배가 급속도로 이루어졌으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농작물과 원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시베리아의 민족과 언어
    얻었으며, 계절별로 정해진 길을 따라 이동했다. 툰드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야생 순록을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아 생활하던 유목민들보다 더 원시적인 단계의...행하지 않았다. 현재도 농업은 남부 지역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주로 밀·호밀·귀리·해바라기 등이 재배된다. 반면에 가축사육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 보미족의 경제생활
    밀, 보리, 강낭콩, 벼, 돌피를 산출하고 고산 지구에서는 감자, 쌀보리, 귀리, 메밀 등을 생산한다. 보미족의 생산도구로는 나무, 대죽, 철, 돌 등 네 가지이다...가공하고 보존하는 데 쓰인다. 보미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야생약재들이 많이 산출되고 야생약재를 캐어 판매하는 일 외에 일부 약재를 재배하여 상품으로...
    분류 :
    장면어족 민족 > 보미족
  • 바빌로프 의태 Vavilovian mimicry, ヴァヴィロフ型擬態
    수확되면 야생 호밀은 다음 해에 같은 밭에 자손을 남기기 힘들다. 그런데 어느 순간 돌연변이가 일어나 재배종 호밀은 한해살이 식물이 되었다. 낫질에 의한 선택이 작용하여 식물의 한살이 기간이 바뀐 것이다. 지금은 호밀 역시 작물로서 재배되기 때문에 이런 선택압이 더 이상 작동하지는 않는다.저널 인용 호밀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