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야광운 극중간권운, 夜光雲
    다른 구름보다 높은 고도(약 82㎞)에서 형성되며 빙정과 유성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여겨지는 구름형.|은빛 또는 푸른빛을 띤 흰색이며, 드물게 나타나기 때문에 고위도 지방에서 여름 밤에만 볼 수 있다. 고위도는 공기가 희박하여 수증기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층대기 가운데 가장 기온이 낮기 때문에 빙정이 형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야광운 Noctilucent cloud, 夜光雲
    야광운(夜光雲)은 고위도지방 70~90도 부근 고도 76 ~ 85 km 높이의 중간권에 생기는 구름을 말한다. 약 120년 전에 처음 관측되었으나 그 높이에서 왜 생기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온도는 -120˚C(-184˚F)정도이며, 열대의 상승 기류나 메탄이 주요 수증기원으로 될 것으로 추정된다. 초고층대기물리학 채운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자개구름과 야광운
    자개구름(nacreous)은 기온이 -78℃ 이하이며, 고도 15~25km인 성층권 안에 있다. 이 구름들 역시 굴 껍데기에서 볼 수 있는 선명한 색깔 때문에 극 성층권 구름 또는 자개구름(mother-of-pearl cloud)으로 알려졌다. 야광운은 하늘의 가장자리에서 생성되며, 그 고도는 약 80km 정도이고, 온도는 -100℃가 된다. 자개...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더 높은 곳에 생겨요. 이 구름은 20~30km의 높은 곳에서 발달하는데 전복 껍데기처럼 알록달록 무지갯빛으로 반짝여요. 가장 높이 떠 있는 구름은 야광운인데 약 75~90km 고도에서 발달하며, 해가 지고 나서도 한동안 볼 수 있어요. 우주선 발사 직후에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로켓 엔진의 배기가스에서 나온 수증기와...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 상층운
    이르는 고도 사이에 위치한다. 낮은 고도에서 높은 고도 순으로 기술하면, 상층운형에는 적란운, 권운, 권적운, 자개구름(nacreous), 그리고 야광운이 있다. 자개구름과 야광운은 권계면 위에 존재한다. 이곳에서의 구름 입자들은 얼음 입자, 우박, 빙정 그리고 눈이 만들어지는 낮은 기온역에서 성장하나, -40℃ 이상...
  • 상층 대기 上層大氣, upper atmosphere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약 100km 이상, 주로 E층 이상에 있는 대기. 이 층 가운데의 F층은 단파의 원거리 통신의 주요 반사층으로 알려져 있다. 야광운(夜光雲)이나 극광(極光)도 이 영역 가운데에 포함되어 있다. 최근 이 용어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 C/2020 F3 (니오와이즈) C/2020 F3 (니오와이즈), Comet NEOWISE
    주지치에서 관측한 혜성 파일:Comet C2020 F3 (NEOWISE) over Klis fortress, Croatia.jpg|2020년 7월 8일,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클리스요새에서 촬영한 야광운과 혜성 파일:Comet 2020 F3 (NEOWISE).jpg|2020년 7월 8일, 야광운이 낀 채 보이는 혜성 Comet Neowise C-2020 F3.jpg|2020년 7월 9일, 11인치 망원경으로...
    도서 위키백과
  • 피닉스 (우주선) Phoenix (spacecraft), フェニックス (探査機)
    2003년 스피릿, 오퍼튜니티와 1996년 마스 패스파인더가 있다. 야광운웹 인용 이 델타 II 7925 로켓에서 방출된 배기 가스에 의해 생겨났다. 이 야광운은 피닉스 마스 랜더의 로고에 쓰인 붉은 색과 푸른 색을 연상하게 했다.웹 인용 제트 추진 연구소는 2008년 5월 25일 피닉스가 화성 대기로 강하한 뒤 착륙 후 1분 뒤...
    도서 위키백과
  • NLC NLC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일부 중국국가도서관(National Library of China) 내셔널 리그 중부(National League Central) 자연어와 연산(Natural language and computation) 뉴턴의 냉각 법칙(Newton's Law of Cooling) 국제 선형 충돌기(Next Linear Collider) 야광운(Noctilucent cloud)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몽스의 천사 Angels of Mons, モンスの天使
    이용해 구름에 영상을 투영하여 전투에 영향을 미치게 하려는 독일군이 개발한 무기라는 설, 스트레스, 수면부족, 탈진 등 심신미약 상태로 인해 집단적으로 히스테릭을 나타낸 것이라는 설,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야광운이라는 설 등이 제시된다. 《신비한 TV 서프라이즈》2010년 5월 30일 코팅리 요정 키이우의 유령
    도서 위키백과
  • 대기광학 Atmospheric optics, 大氣光學
    근처에 가능한 무지개가 나타나 보기가 어렵고 관찰자의 눈과 땅 사이에 빗방울이 거의 없어 무지개가 매우 희박해진다. 노을 대기광 오로라 비너스의 띠 브로켄의 요괴 천정호 채운 틈새빛살 지진광 녹색 광선 무리 (물리학) 연무 빛기둥 번개 신기루 달무지개 무지개 환일 틴들 효과 상층대기 번개 야광운 해넘이 해돋이
    도서 위키백과
  • 얼음구름 Ice cloud
    얼음구름, 빙운은 공기 중에 분산된 얼음 입자의 교질(콜로이드)이다. 이 용어는 화성의 얼음과 이산화 탄소 얼음으로 이루어진 구름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웹 인용 해당 구름은 화성 표면에 그림자를 드리울 만큼 충분히 크고 밀도가 높다. 지구상의 권운과 야광운에는 얼음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야광운
야광운
야광운
야광운(noctilucent clou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