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앞니 incisor
    포유동물에서 잡아뜯고 자르고 무는 역할을 하도록 적응된 이. 절치(切齒)라고도 함.|앞니는 치아뿌리가 하나이며, 이 중에서 가장 앞에 있다. 초기포유류는 단순한 원추형의 앞니만 있었고, 이로부터 여러 가지 독특한 형태로 발달했다. 설치류는 턱깊숙이 난 구부러진 앞니가 있는데 평생 동안 계속 자란다. 산토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체
  • incisor 문치 앞니, 門齒
    포유류 위턱의 전악골(premaxillary)에 심어진 치아와 교합하는 아래턱의 치아.
  • 앞니 Incisor, 切歯
    앞니는 앞쪽으로 아래위에 각각 네 개씩 나 있는 이다. 앞니는 대부분의 포유류에 존재한다. 이것들은 위의 전상악골(premaxilla)과 아래의 하악골에 있다. 인간은 총 8개(상하 각 2개씩)를 가지고 있다. 주머니쥐는 18개지만 아르마딜로는 하나도 없다. 고양이의 경우 앞니는 작다. 고기를 물어뜯는 일은 송곳니와 육식...
    도서 위키백과
  • 어금니-앞니 저광화 MIH, Molar-Incisor Hypominerali..
    정의 어금니-앞니 저광화는 비교적 최근에 정의된 임상양상으로서, 한 개 혹은 다수의 제1대구치(첫 번째 큰 영구치 어금니)에 발생하는 법랑질 저성숙을 말한다. 제1대구치와 전치(앞니)는 비슷한 시기에 발육하기 때문에 제1대구치가 저성숙을 보이는 경우 전치에도 저성숙 양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신체기관...
    진료과 :
    소아치과
  • Incisor 앞니, 切歯
    Incisors (from Latin incidere, "to cut") are the front teeth present in most heterodont mammals. They are located in the premaxilla above and on the mandible below. Humans have a total of eight (two on each side, top and bottom). Opossums have 18, whereas armadillos have none. Adult humans normal...
  • 인시시보사우루스 예리한 절단용 앞니가 있는 도마뱀, Incisivosaurus
    특징 지질시대에 인시시보사우루스는 이빨이 달린 커다란 닭이었습니다. 몸에는 원시깃털로 둘러 싸여 있었으며 앞발과 꼬리는 깃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타조 같은 긴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가 그리 크지 않은 공룡입니다. 부리처럼 생긴 앞턱에는 몇 개의 강한 이빨이 발달해 있으며 비교적 작은 머리와 짧은...
    분류 :
    용반류, 수각류, 코엘루로사우리아
    연대 :
    전기 백악기(1억 4500만 년 전~1억만 년 전)
    크기 :
    1~1.25m
    무게 :
    6~7kg
    학명 :
    인시시보사우루스( Incisivosaurus)
    분포지역 :
    중국
  • 삽모양 앞니 shovel-shaped incisor
    사람의 치관 설측면(齒冠舌側面)의 변연융선(邊緣隆線)이 잘 발달하여 뒷면이 삽모양으로 패인 특징을 갖는 상악절치(上顎切齒).
  • 삽 모양 앞니 Shovel-shaped incisors
    삽 모양 앞니는 안쪽 면의 가운데가 패인 채로 가장자리가 융기한 국자 형태를 이루는 앞니를 가리킨다. 삽 모양 앞니에 대한 최초의 묘사는 1870년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세기 중반에 삽 모양 앞니는 인종을 분류하기에 좋은 특징으로 인식되었다. 1964년의 어떤 연구는 당대의 많은 인류학자들이 삽 모양...
    도서 위키백과
  • 치아 벌어짐
    이와 이 사이 간격이 넓어짐
    발생 부위 :
    관련 질환 :
    만성 치주염
    도서 증상백과 | 태그 증상
  • 인시시보사우루스 앞니 도마뱀, 切齒龍
    분류 :
    용반류 > 수각류
    원산지 :
    아시아 (중국)
    연대 :
    백악기 전기
    크기 :
    약 1m
    무게 :
    약 20kg
    식성 :
    초식
  • 레밍 나그네쥐, Lemming
    무늬처럼 나타나며 얼굴 아래 부분부터 배 쪽은 연한 황토색이다. 생태 초식성으로 나뭇잎이나 풀, 싹, 뿌리 등을 먹는다. 다른 설치류와 마찬가지로 강한 앞니를 가지고 있다. 평소에는 바위틈이나 굴 속에서 지낸다. 봄에서 가을까지 번식하며 20~22일의 임신기간을 거쳐 최대 9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레밍의 집단이동...
    분류 :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설치목 > 비단털쥐과
    먹이 :
    식물의 잎, 풀, 싹, 뿌리 등
    크기 :
    약 7 ~ 15cm
    무게 :
    약 30 ~ 110g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20 ~ 22일
  • 포유동물의 분류
    예를 들면 고슴도치·땃쥐·두더지가 있다. 도약땃쥐목(Macroscelidea):올리고세 전기로부터 현세까지 아프리카에 존재했다. 앞쪽에 있는 앞니에는 틈이 있으며, 뒤쪽의 앞니는 송곳니의 모양이다. 윗송곳니는 작은어금니의 모양을 하고 있다. 큰어금니는 4각형이다. 현생종들의 두동장(頭胴長)은 12~20cm이고 미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영구치 앞니와 첫번째 큰 어금니에서 관찰되는 어금니-앞니 저광화 (MIH)
영구치 앞니와 첫번째 큰 어금니에서 관찰되는 어금니-앞니 저광화 (MIH)
영구치 앞니와 첫번째 큰 어금니에서 관찰되는 어금니-앞니 저광화 (MIH)
어금니-앞니 저광화를 보이는 치아를 기성금속관으로 치료한 경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