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암브로시오 성가 Ambrosian chant
    라틴 미사와 암브로시우스 전례의 성무일도(聖務一禱) 시간에 부르는 단선율 성가.|'암브로시오'라는 명칭은 374~397년 밀라노의 주교였던 성 암브로시우스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때문에 종종 밀라논 전례라고 불리기도 한다. 명칭에 대한 이런 전설과는 정반대로 암브로시오 성가 중 암브로시우스 주교가 쓴 것은 한 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단성성가 單聲聖歌, plainchant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가진 노래를 뜻했다. 그레고리오 성가 이외의 단성성가들로는 서방의 암브로시오 성가, 갈리아 성가, 모사라베 성가와 동방의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콥트 성가, 에티오피아 성가, 아르메니아 성가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지녔다는 점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그리스도교의 영향과 서양 중세음악
    발전시켰다. 4세기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는 정형시 운율에 의한 찬미가를 기초로 성가들을 최초로 집대성하는 시도를 했으며 이후 이것은 암브로시오 성가라 불리게 되었다. 이후 조금 시간이 지나서 스페인에서는 모사라베 성가, 프랑스에서는 갈리아 성가라고 하는 양식이 독특한 개성을 갖추면서 발전했다(성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라틴어성가 ~語聖歌, Lati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라고도 하며 천주교회의 공인된 전통적 전례음악(典禮音樂). 구약시대, 유대민족의 성가로부터, 또 초대 교회의 성가암브로시오(Ambrosius) 성가의 영향을 받았으며, 멜로디도 그런 고전적인 형태를 갖는다. 교황 성 그레고리오(St. Gregorius) 1세 때에 교회 전례의 확립과...
  • 암브로시오 Ambrosius
    당시 암브로시오는 예비자일 뿐 세례를 받지 않았으나 밀라노교회 내부의 분쟁, 즉 아리안파(派)와 반(反)아리안파를 중재하면서 양측의 호의를 얻어 주교로 뽑힌 것이다. 그는 세례받은 지 1주일 만에 주교로 서품되었다. 그는 교리나 신학에 있어 크게 독창성을 가진 학자는 아니었으나 용기 있는 정통신학의 수호자...
  • 시편영창 詩篇詠唱, psalmody
    동방과 서방을 가릴 것 없이 이러한 시편영창법들을 채택했다. 초대 그리스도교인들의 시편영창으로부터 고전 그레고리오 성가, 비잔틴 성가, 암브로시오 성가를 비롯한 다른 그리스도교 성가들이 발전했다(→ 시편송). 16세기 개혁주의 교회들에서는 회중 영창이 다시 도입되었다. 1700년경까지 루터교를 제외한 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종교음악학 宗敎音樂學, religious music
    여겼다. 이후 기독교가 다양해짐에 따라 각각의 분파와 지역은 그들만의 의식을 발전시켰으며, 이에 따라 성가의 형식도 다양해진다. 그레고리오 성가, 비잔틴 성가, 암브로시오 성가, 구로마 성가들은 성가의 다양한 갈래를 보여 준다. 중세 교회음악 중세 유럽의 음악은 기독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교적 의식은...
    분류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종교음악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가톨릭음악 ~音樂, Catholic music
    예수 탄생 이전의 히브리어의 시편(詩篇) 성가들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들을 그리스, 로마, 비잔틴 음악과 성 암브로시오 성가 및 프랑스 지역과 스페인 지역의 성가들이었다. 이러한 성가들을 수집 · 편찬 · 발전 · 계승시키는 데 공헌한 교황 성 그레고리오(St. Gregorius) 1세의 이름에서 성가의 명칭이...
  • 찬송가 讚頌歌, hymn
    위치를 차지했고, 따라서 비잔티움 찬송가는 카논이나 콘타키온(→ 비잔티움 성가)과 같은 복잡한 유형들로 발전했다. 4세기 메소포타미아의 부사제이자 시인...찬송가 가사집을 만들었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밀라노의 성 암브로시오는 회중들이 부르는 시편송과 찬송가를 모아 책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일면 정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연송 Tract (liturgy)
    노래이다. 암브로시오 전례에서는 cantus라고 불린다. 연송은 미사의 고유문에 속한다. 그러므로 그 본문은 거행하는 전례의 성격에 따라 바뀐다. 연송은 찬가와 함께 미사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을 이룬다. 연송은 신자들의 응답에 유래하는 데, 그 결과 연송은 중단하지 않고 부르며, 독서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다...
    도서 위키백과
  • 수단 (기독교) Cassock, キャソック
    한다. 암브로시오 전례식 수단은 허리 부분에 띠를 두르고 목 아래로 겨우 다섯 개의 단추만 줄지어 단다. 그리고 프랑스식 수단은 슈트 방식에 따라 소맷자락에 단추를 달며 옷자락이 약간 더 넓다. 단추가 일렬로 달린 예수회 수단은 옷깃에 갈고리로 고정된 덮개가 있으며 오른편에는 매듭된 검은색 허리띠를 허리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