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Ammianus Marcel..
    로마의 역사가.|로마 제국 말기의 역사를 378년까지 기록했다. 그리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콘스탄티우스 2세의 군대에 들어가 갈리아와 페르시아에서 싸웠다. 율리아누스 황제의 페르시아 원정에 참가했으며, 율리아누스가 전사한 뒤에는 그뒤를 이어 로마 황제가 된 요비아누스의 철수 작전에 참여했다. 안티...
    출생 :
    330경, 시리아 안티오크
    사망 :
    395, 로마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관련어 암미아누스마르켈리누스) A..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Ammianus Marcellinus, 325 경제적 쇠퇴, 외부 민족의 침입 등이 로마의 쇠퇴를 가속화했다고 설명한다. 암미아누스는 325년에서 330년 사이 그리스어를 사용하는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Classical World, Israel Shatzman, Michael Avi-Yonah, 1975 Harper and Row, p.37, George Fre...
    도서 위키백과
  • 훈족 Hun
    살고 있던 서고트족을 정복했으며 이로써 로마 제국의 도나우 강 국경지역에까지 세력을 뻗게 되었다. 훈족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기록은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395년경에 쓴 기록들이다. 이 기록에 의하면 이들은 농경(農耕) 방법조차 몰랐던 원시적인 유목민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착해서 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포조 브라치올리니 Gian Francesco Poggio Bracciolini
    루크레티우스의 〈물성론(物性論) De rerum natura〉, 마닐리우스의 〈천문학 Astronomica〉, 실리우스 이탈리쿠스의 〈푸니카 Punica〉,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전적(戰績) Res gestae〉, 아피키우스의 요리책, 그밖의 작품들을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1417년에는 랑그르에서 키케로의 연설문 〈카이시나를 변호함...
    출생 :
    1380. 2. 11, 이탈리아 토스카나 테라누오바
    사망 :
    1459. 10. 30,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마르첼리노 Marcellinus, マルケリヌス
    마르첼리노 또는 마르켈리누스(Marcellinus)는 다음을 가리킨다. 교황 마르첼리노(Pope Marcellinus)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Ammianus Marcellinus) 동명이인
    도서 위키백과
  • 에르마나리크 Ermanaric
    아니라 중세 게르만 문학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에르마나리크의 이름 표기는 작가들에 따라, 또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달라진다. 그의 이름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책(이 책의 31부는 에르마나리크의 활동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에서는 에르멘리쿠스로 나오며 요르다네스의 책에서는 헤르마나...
    출생 :
    미상
    사망 :
    370(~376)
    국적 :
    동고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살리족 Salian Franks, サリ族
    부족이라기 보다는 당시 상황상 여기 저기에서 밀려들어온 사람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살리족에 대한 모든 고전적 언급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쓴 《프랑크인, 그들이 살리라 부르는 관습》을 원전으로 하고 있는데, 암미아누스는 로마 군대에서 복무 한 일을 기록하면서 살리가 자신들의 고향...
    도서 위키백과
  • 코스토보키족 Costoboci
    얼마 안 있어 코스토보키족의 영토는 반달족계 하스딩기족에게 공격을 받아 점령당하였고 코스토보키족은 서기 400년경에 쓰인 후기 로마 작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언급을 제외하고는 현존하는 사료에서 사라졌다. 코스토보키족의 명칭은 라틴어로는 Costoboci, Costobocae, Castaboci, Castabocae, Coisstoboci...
    도서 위키백과
  • 사마라 전투 Battle of Samarra (363)
    않게 되어 전투에 패하게 되었다고 평가한다. 결국 율리아누스가 잘못된 전략을 수립한 것이 패전의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당대의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더 이상 싸울 여력이 없게 된 율리아누스의 군대가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코르두에네로 후퇴하면서 계속되는 기습 공격을...
    도서 위키백과
  • 포이데라티 Foederati, フォエデラティ
    부여되었다. 로마 제국 말기에는 포이데라티의 의미가 확장되어 로마 제국 내의 영주권을 인정받는 대가로 병력을 제공할 의무를 띠게 된 이민족들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이 이민족들은 보통 반달족, 프랑크족, 알라니족, 그리고 서고트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바랑기아 친위대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에르마나리크 Ermanaric, エルマナリク
    인물 정보 에르마나리크, ? ~ 376년)는 그레우퉁기 고트족의 왕으로,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일대에서 큰 판도를 형성했다. 그와 동시대인이었던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저술들과, 6세기 인물인 요르다네스의 《게티카》에서 언급된다. 그는 한때 북쪽으로는 발트해, 남쪽으로는 흑해, 동쪽으로는 우랄산맥에 닿는...
    도서 위키백과
  • 요비아누스 Jovian (emperor), ヨウィアヌス
    돌아오는 길에 요비아누스는 비티니아와 갈라티아의 국경 지역에 있던 다다스타나에서 죽었다. 아마도 독버섯이나 난방을 위해 피운 불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죽은 것으로 보인다. 요비아누스의 뒤를 이어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황제가 되었다. 로마 황제 목록 동로마 황제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로마황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