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알헤시라스 회의 Algeciras Conference
    스페인 알헤시라스에서 열린 국제회의(1906. 1. 16~4. 7).|프랑스와 모로코정부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유럽 강대국들과 미국이 개최한 이 회의는 제1차 모로코 위기때 절정에 이르렀다. 2년 전에 영국과 프랑스가 조인한 화친 협상에는 영국이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특별한 이해를 지지한다는 조항이 들어 있었다....
  • 알헤시라스 회담 (관련어 알헤시라스회의) Algeciras Conference, ア..
    알헤시라스 회담 (Algeciras Conference)는 제1차 모로코 위기(탕헤르 사건) 도중, 독일과 프랑스의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1906년 스페인 알헤시라스에서 일어난 회담이다. 영국, 미국, 프랑스 등 13개국이 참여하였다. 회담 끝에 독일의 모로코 진출은 실패로 돌아갔고,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의 배경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도서 위키백과
  • 알헤시라스 Algeciras
    재정복하여 파괴했다. 히브랄타르에서 온 스페인 난민들이 1704년 이곳을 다시 세웠으며 1760년 카를로스 3세가 지금의 직4각형으로 재건했다. 1906년 알헤시라스 회의가 카사콘시토리알(시청)에서 열렸다. 이 도시의 주요 상업활동은 항구와 관련되며 대서양 횡단 선박의 기항지인 이 항구에는 많은 승객 특히 탕헤르를...
    위치 :
    스페인 남서부 카디스 주 남동부
    인구 :
    118,534명 (2020년 추계)
    면적 :
    85.9㎢
    언어 :
    스페인어
    대륙 :
    유럽
    국가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알헤시라스 Algeciras, アルヘシラス
    왕국의 무함마드 5세가 알헤시라스를 파괴했고 결국 알헤시라스는 폐허로 남게 된다. 그 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한창이던 1704년에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힌 지브롤터 출신 스페인 이민자들이 알헤시라스를 재건했으며 1906년에 이 곳에서 알헤시라스 회의가 열렸다. 언어링크 알헤시라스 시 의회 공식 웹사이트
    도서 위키백과
  • 모로코 위기 Moroccan crises
    요트에서 모로코의 독립과 주권국가임을 선포했다. 이로 인해 제1차 모로코 위기라 불린 국제적 위기상황이 발생했다. 결국 1906년 1~4월에 열린 알헤시라스 회의로 위기를 벗어났는데, 여기서 독일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경제적 권리가 보장되었으며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의 치안담당 권리를 확보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루스벨트의 대통령기
    싶은 심정이 강했다. 중립정책의 위반은 의회와 국민으로부터 강력한 항의를 받게 마련이었다. 따라서 모로코 위기로 인한 전쟁발발을 예방하기 위해 알헤시라스 회의(1906)가 소집되었을 때 미국 대표들에게 내려진 훈령은 대단히 모호한 내용을 가지고 있었다. 사절단이 받은 지시는, 미국의 중립을 지키되 기존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캉봉 Jules(-Martin) Cambon
    마치고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1897. 10) 미국-스페인 전쟁 후 전개된 평화협상에 한몫했다. 스페인 대사(1902~07)와 독일 대사(1907~14)를 거치면서 알헤시라스 회의(1906)와 아가디르 위기(1911) 때 표출된 프랑스와 독일 간의 분쟁에 관여했다. 영국 대사였던 형 폴과 함께 독일과의 전쟁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제1차...
    출생 :
    1845. 4. 5, 파리
    사망 :
    1935. 9. 19, 스위스 브베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모로코 사건(모로코 위기) Moroccan crises
    했다. 그러나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1905년 3월 31일 자신의 요트에서 모로코의 독립과 주권국가임을 선포했다. 결국 1906년 1~4월에 열린 알헤시라스 회의를 통해 모로코에서의 프랑스의 '특수한 정치적 이익'과 북아프리카에서 독일의 경제적 이익이 인정되었다. 1911년 발생한 2차 모로코 사건은 아가디르 사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건/사고
  • 비스콘티 베노스타 Emilio Marchese ViscontiVenosta
    친선우호정책을 재개하고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각자 모로코와 리비아 문제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1902년 협정의 바탕을 마련했다. 1906년에는 알헤시라스 회의에 이탈리아 대표로 참가했다. 비스콘티가 사망할 무렵, 그가 추진해온 친프랑스 정책은 2가지 결실을 거두게 되었다. 첫째는, 이탈리아가 1911~12년 터키와의...
    출생 :
    1829. 1. 22, 이탈리아 밀라노
    사망 :
    1914. 11. 24,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제1차 모로코 위기 First Moroccan Crisis, 第一次モロッコ事件
    모로코의 독립과 주권국가임을 선포했다. 이로 인해 "제1차 모로코 위기"라 불린 국제적 위기상황이 발생했다. 결국 이 사건은 1906년 1~4월에 열린 알헤시라스 회의로 위기를 벗어났는데, 여기서 독일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경제적 권리가 보장되었으며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의 치안담당 권리를 확보했다. 1908년...
    도서 위키백과
  • 테오필 델카세 Théophile Delcassé, テオフィル・デルカッセ
    들어갈 수 없으리란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6월 6일 장관회의에서 모두에 의해 버려진 델카세는 사임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다음 해 알헤시라스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모로코에 대해 프랑스가 지니는 권리의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1911년 1월달, 아리에주 하원의원이던 델카세는 장관직으로 돌아오는데, 해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 Conference)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 Conferenc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