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을 흐르는 쿠로시오계의 해류|북태평양의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는 서경 150° 부근에서 남북으로 양분되는데, 미국 서해안의 알래스카 만에서 연안을 따라 북상하여 흐르는 것이 알래스카해류이고 남쪽으로 흐르는 것이 캘리포니아 해류이다. 북태평양의 고위도인 북아메리카 ·캐나다 북서해안으로 북상했다...
알래스카 만을 반시계 방향으로 환류하는 서풍 취송류의 한 지류.|수온은 4℃ 이상이고 표면 염분은 32.6‰ 이하로, 전형적인 아북극 태평양 해수와 비교된다. 수심 5m에서 남쪽 해류의 속도는 83㎝/s 정도로 빠르다고 보고되었다. 초당 운반되는 물의 양은 1,000만~2,000만㎥이다.
알래스카해류(Alaska Current)는 약 48~50°N에서 시작하여 북아메리카 대륙 서해안을 따라 흐르는 남서부의 얕은 난류이다. 알래스카해류는 하이다과이 서쪽(Haida Eddies)과 알래스카주 싯카 서쪽(Sitka Eddy)의 두 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큰 소용돌이를 생성한다. 알래스카해류는 북태평양 해류의 일부가 북쪽으...
다시 따뜻한 물을 필리핀 해 쪽으로 보낸다. 원래의 쿠로시오 해류 나머지 부분은 동쪽으로 계속 흘러 캐나다 해안에서 갈라져 알래스카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이룬다. 쿠로시오 해류는 계절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5~8월에 가장 강하며 늦여름과 가을에 약간 약화되고 1~2월에 강해지다가 이른봄에 다시...
사이에 두고 있는 쿡 만과 프린스윌리엄 해협들이 그 예이다. 서시트나 강과 코퍼 강이 이 만으로 흘러들어간다. 거대한 빙산에서 떨어져나온 큰 빙하들이 알래스카해류를 타고 바다로 흘러나간다. 만의 해안 쪽에는 추가치·케나이·페어웨더·세인트일라이어스 산맥 들이 우뚝 솟아있다. 항구로는 앵커리지·수어드와...
이 해류는 북아메리카 연안으로 접근하여 알래스카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로 나누어진다. 알류샨 해류의 또다른 지류는 베링 해로 들어가서 시계 반대 방향의 환류를 이룬다. 해류의 수면 부근에서는 냉각에 의해 수온이 낮아지고 과도한 강수량으로 염분도 낮아진다. 수심 2,000m 이상에서는 초당 1,500만㎥ 부피의 물...
북태평양해류는 북위 40~50도 사이에 위치한 북태평양에서 동쪽으로 느린 속도로 흐르는 난류이다. 북태평양해류는 쿠로시오해류와 오야시오 한류가 만나서 형성되며, 태평양의 동쪽을 기준으로 남과 북 두 지류로 나뉘게 된다. 한 지류는 캘리포니아 해류에 합류하며, 나머지 한 지류는 알래스카해류와 합류한다.
특히 일본의 해안을 따라서 북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와 북극해에 가까운 서북 태평양을 반시계반향으로 순환하는 오야시오 해류의 충돌로 형성된다. 북태평양 해류는 북 태평양 아열대 순환의 부분을 형성한다. 동북 태평양에서 그것은 나뉘어서 남향의 캘리포니아 해류와 북향의 알래스카해류가 된다.토막글
해류라고 불리며 북태평양 해류의 북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이다. 그것은 쿠로시오 해류의 북쪽 지류인데 북동쪽으로 흐르며 북위 40°와 50° 사이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그것이 북아메리카의 해변으로 접근함에 따라 나뉘어서 북방으로 흐르는 알래스카해류와 남방으로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가 된다.토막글
그러나 래브라도 해류의 일부 차가운 해류는 먼 남쪽까지 흘러간다. 북태평양에서 아한대 환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알래스카해류와 알류샨 해류(아한대 해류라고도 함), 남쪽으로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쿠릴 해류라고도 함)로 이루어져 있다. 북태평양 해류는 북태평양의 아한대 환류와 아열대 환류를 분리하는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