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알라르코스 전투 Battle of Alarcos
    이슬람 지배의 스페인에서 카스티야 왕 알폰소 8세에게 알모아데가 큰 승리를 거둔 전투(1195. 7. 18).|1190년 알모아데의 칼리프 아부 유수프 야쿠브는 스페인의 이슬람 점령지를 공격한 카스티야와 레온의 그리스도교도 왕들의 공격을 물리친 뒤 그들에게 휴전을 강요했다. 휴전 기간이 만료(1194경)되자 알폰소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투
  • 라스나바스데톨로사 전투 우카브 전투, Battle of Las Navas d..
    8세는 알라르코스에서 알모아데군에게 대패해(1195) 몇 년 동안 군대를 일으킬 수 없었는데 이 때문에 톨레도 대주교 로드리고 히메네스 데 라다에게 동정을 샀다. 대주교는 이슬람교도가 그리스도교도를 이겼다는 사실에 분노해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에게 십자군 파병선언을 얻어냈고 몇몇 프랑스 주교들도 십자군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알 만수르 Abū Yūsuf Ya ⁽qūb al-Manṣūr
    평정했으며 포르투갈과 카스티야인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스페인 영지로 돌아왔다. 그의 노력은 알폰소 8세의 카스티야군을 결정적으로 패퇴시킨 알라르코스 전투(1195. 7. 18)에 이르기까지 7년 동안 계속되어, 알 만수르('승리자')의 칭호를 얻었다. 이듬해 마드리드까지 진출했으나 그 도시를 수중에 넣지는 못했다...
    출생 :
    1160경
    사망 :
    1199. 1. 23, 모로코 마라케시
    국적 :
    무민 왕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알폰소 8세 Alfonso VIII of Castile, アルフォンソ8世 (カスティーリャ王)
    관계는 계속해서 갈등으로 얼룩져 있었다. 1194년, 교황 특사가 이 분쟁을 일시적으로 끝내기 위해 이들 간의 협상에 착수했다. 허나, 카스티야가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패하자, 레온의 알폰소는 친척을 다시 공격할 기회로 삼았다. 카스티야는 교황청의 지지와 함께 막아냈다. 카스티야의 알폰소의 딸 베렌겔라가 1197년...
    도서 위키백과
  • 알모아데 Almohade
    야쿠브 알 만수르(1184~99)의 통치 시절에는 아랍인들의 반란이 거세게 일어나 제국의 동쪽 지역이 황폐화하기도 했다. 한편 스페인에서는 알 만수르가 알라르코스에서 승리(1195)를 거두었으나 그리스도교도들의 위협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다. 뒤이어 벌어진 라스나바스데톨로사 전투(1212)에서 알모아데인들은 레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Battle of Las Navas de Tol..
    알려져 있다. 1195년 7월 19일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파 야쿱 알 만수르와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가 시우다드 레알 주에 위치한 알라르코스에서 맞붙었는데 무와히드 왕조가 이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스페인가톨릭국토회복운동인 레콩키스타의 기세가 꺾였다. 당시 2만 5천명의 카스티야 군대 중 2만명이 죽거나 포로로...
    도서 위키백과
  • 알폰소 9세 Alfonso IX of León, アルフォンソ9世 (レオン王)
    알폰소 9세는 1188년 페르난도 2세가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 그는 왕국을 통일하고 싶어, 사촌인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8세와 대립하다, 1195년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져, 알폰소 9세는 기회를 삼고 공격했다. 1171년 페르난도 2세와 아폰수 1세의 딸 우라카(Urraca) 사이에서 태어났다. 테레사와 결혼해, 산차(Sancha...
    도서 위키백과
  • 야쿱 알만수르 Yaqub al-Mansur, ヤアクーブ・マンスール
    철학, 과학 발전에 집중했으며 영토 확장에는 더욱 적극적이었다. 1191년 기독교군이 지배하던 알가르브 지역을 점령하면서 포르투갈 군대를 내쫓았다.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카스티야 왕국 군대를 물리치면서 "신에 의한 승리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는 지금의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죽었다. 수 개의 주요 프로젝트를...
    도서 위키백과
  • 메디아 (지역) Media (region)
    지방은 알라로디족(Ἀλαρόδιοι)과 아르메니아 동부의 사스페이레스족 등과 같이 있었고, 제18 사트라피를 형성하였다. 캅카스 알바니아 (오늘날 아제르바이잔 북동부와 다게스탄 남부 등으로 대략적으로 구성)는 후대에 아케메네스의 페르시아군에 빠르게 합병되었고 메디아 샤트라프의 통치 하에 있었다Chaumont...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