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로 인한 사망 및 부상의 원인과 예방을 연구하는 학문.|안전공학은 통일되고 전문화된 학문분야로 발달한 것은 아니다. 안전공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산업체나 손해방지 보험회사에서의 그 직위나 직무, 책임, 보고수준 등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전문적인 안전공학자 또는 안전전문가들이 수행하는 주요기...
안전공학(安全工學, Safety Engineering)은 현대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의 원인과 과정을 공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사고로 인한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학문이다.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은 엔지니어링된 시스템이 허용 가능한 수준의 안전을 제공...
공학적안전설비는 원자로냉각재 상실사고 등 가상의 설계기준사고 시 원자로 노심을 냉각하고 원자로냉각재계통으로부터 핵분열생성물의 유출에 대한 방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반 안전설비를 말한다. 이 설비는 방사성물질의 유출에 대한 방어벽인 핵연료, 피복재, 원자로냉각재계통과 격납건물을 보호함...
유지하기 위해 빼어 놓을 수 없는 과정. 또는 상태중의 하나(예를 들어, 긴급(-)의 반응도투입, 사고 후의 열제거, 긴급로심냉각, 사고 후의 방사능제거 및 격납용기 격리). 주 : 안전기능은 원자로 정지계 및 공학적 안전시설에 요구되는 모든 보호작동완료에 따라 달성된다.(실례로는, IEEE Std 603-1980의 부록 A...
압력이 설정값을 넘었을 때, 자동적으로는 작동하는 판으로 탱크 또는 회로의 최고 압력을 한정해서 안전을 꾀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조적으로는 시트 밸브형의 직동형 릴리프 밸브와 동등하다. 안전판에서는 즉응성이 가장 중시된다. 릴리프 밸브의 설정 압력은 전량 압력이지만 안전판의 그것은 크래킹 압력이다.
하중의 성질이나 재료의 성질에 응용하는 것으로 인장강도, 항복점, 피로한도, 크리프한도 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안전율 S의 값은 하중 견적의 불확실성, 응력계산의 근사성, 재료의 불균일성 공작정도나 예상하는 부식마모 작용 요구하는 수명을 고려하여 정한다. S=σs/σa으로 정의하는 수치 S>|1은 안전율이라...
소용 제1E종 전력시스템 용어. 안전보호기능에 연계시켜 신호의 발생에 관계되는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측정 프로세스 변수부터 안전보호 동작계의 입력 단자까지) 이것의 신호는 원자로정지, 공학적 안전시설(예를 들어 격새용기격리, 노심스프레이, 안전주입, 감압 및 공기정화) 및 보조시설을 시동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원전 안전성 기술
technology related to the nuclear power..
보호하기 위한 원전의 안전성 기술은 적절한 운전조건 확보, 사고의 사전방지 및 사고발생 시 사고 완화를 수행하는 기술인 다중방어 설계기술, 공학적안전설비 설계기술, 안전해석 및 중대사고 해석기술로 구분 된다. 다중방어 기술은 방사성물질의 생성원인인 원자로 노심에서부터 최종적인 환경으로 방출되는 방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