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장 鞍裝, saddle
    말이나 망아지와 같은 동물의 등에 올라탈 때 기수가 앉는 자리.|사람은 오랜 세월 동안 안장을 얹지 않거나 기껏해야 얄팍한 헝겊이나 담요를 말의 등에 얹고 올라탔지만, BC 3세기~AD 1세기에 가죽 안장이 개발되자 움직이는 말 위에 앉아 있기가 훨씬 쉬워졌으며, 특히 전쟁에서 말이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안장 자전거 용품
    안장은 용품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지만, 가장 많이 교체를 고려하는 대상이기도 하므로 이곳에 적어본다. 먼저 신체와 접촉하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이 안장이다. MTB를 처음 타는 사람들은 대부분 안장에 적응하지 못해 고통을 많이 받는다. 특히 레이싱 종류의 날렵하게 생긴 안장은 엉덩이에 주는 부담감이 더 ...
    도서 자전거 홀릭 | 태그 취미
  • 안장 鞍裝
    나귀나 말의 등에 얹어 사람이 타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기구.|내용 본디 길마처럼 나무로 짜서 얹었는데 뒷가지는 뒤로 어스러지고 속대는 평평하다. 가죽으로 만든 것은 목제보다 휠씬 뒤에 나왔다. 기마민족으로 알려진 스키타이족은 서기전 4세기경에 가죽제품의 안장을 만들어 썼다. 안장이 우리 나라에 언제 들어...
    성격 :
    생활도구, 깔개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가죽
    용도 :
    말안장용
    분야 :
    생활/주생활
  • 안장 安長
    9세기 신라의 귀금에게 「표풍」 등을 전수받은 거문고명인.|내용 경문왕 때 거문고의 거장 귀금선생(貴金先生)이 지리산에 들어가 나오지 아니하자 왕이 금도(琴道)의 단절을 우려하여 이찬(伊飡) 윤흥(允興)을 남원군수로 임명하고, 윤흥은 안장과 청장(淸長)을 간택해서 귀금에게 보내어 거문고를 배우게 하였다. ...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거문고명인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안장 Saddle, 鞍
    다른 뜻 안장(鞍裝, saddle)은 말의 등에 얹어서 사람이 타기 편하도록 가죽으로 만든 마구를 말한다. 용도별로 승마용 안장, 장애물용 안장, 경주용 안장, 조교용 안장으로 나뉘며, 중량별로는 1kg, 1.5kg, 2kg로 각각 다르다(경주용 안장). 안장의 크기는 안장머리와 안장꼬리 끝 사이의 거리로 측정한다. 안장은 말의...
    도서 위키백과
  • 말갖춤 (관련어 안장) 마구, 馬具
    말[馬]을 부리거나 꾸밀 때 사용하는 각종 도구. 마구.|개설 말은 뛰어난 기동성과 힘을 갖추고 있어 기계문명이 발달하기 전에는 사람의 이동, 정보전달, 물자수송, 전쟁 등 여러 분야에 이용되어 인류문화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말을 부리기 위한 말갖춤은 말을 부리기 위해서 말에게 장착하였...
    시대 :
    고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안장 (신라)
    안장(安長, ? ~ ?)은 신라의 거문고 명인이다. 이찬 윤흥(尹興)에게 발탁되어 청장(淸長)과 함께 지리산에 묻혀 사는 귀금(貴金)으로부터 희귀한 거문고의 음악을 전수받고 아들 극상(克相)·극종(克宗)에게 계승시켰다.
    도서 위키백과
  • 집안장천1호분 집안통구고분군 장천묘구 제1호묘, 집안장천일호분
    개설 고분은 압록강 대안의 장천분지(長川盆地) 동부 낮은 언덕 한가운데 있으며, 장천2호분과 함께 장천고분군 최대의 봉토돌방무덤〔封土石室墓〕이다. 고분의 서북 가까운 거리에 장천2호분이 자리잡고 있다. 장천1호분은 1970년에 길림성 문물공작대와 집안현 문물보관소가 발굴조사하였다. 발굴 당시 이미 도굴...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고구려시대(5세기 후반)
    성격 :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유형 :
    유적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집안시 황백향(黃伯鄕) 장천촌(長川村)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단종 어린 왕,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되다
    12세에 왕이 되다 단종은 1441년(세종 23)에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홍위(弘暐)이다. 어머니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이 세자이던 시절 소실로 들어왔다가 두 명의 세자빈이 폐출된 후 왕비가 되었다. 그러나 단종을 낳고 사흘 만에 죽었고, 후에 추존되었다. 문종이 더 이상 세자빈을...
    시대 :
    조선
    출생 :
    1441년(세종 23)
    사망 :
    1457년(세조 3)
    본명 :
    이홍위(李弘暐)
    본관 :
    전주(全州)
  • 안장천사호분 장천사호무덤, 集安長川4號墳
    개설 장천4호분은 집안 장천고분군에 속해 있는데, 집안 시가지에서 동북으로 20㎞ 떨어진 곳에 있는 장천분지의 간구하(干溝河) 서쪽 낮은 구릉 위에 있다. 무덤의 서북 100m 거리에 대형 계단식돌무지무덤〔階段式積石塚〕인 장천3호분이 있으며, 동남 10m 지점에 흙무지돌방무덤〔封土石室墳〕인 장천5호분이 있다...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건립시기 :
    고구려시대, 5세기 중엽
    성격 :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유형 :
    유적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집안시 황백향 장천촌
    분야 :
    역사/고대사
  • 대일여래 마하비로자나여래, 大日如來
    행해지기도 한다. 대변조여래(大遍照如來)·변조여래(遍照如來)라고도 하며 경전에 따라 다양한 이명이 있다. 『금강정의결(金剛頂義訣)』에서는 최고현광명안장여래(最高顯廣明眼藏如來), 『이취경(理趣經)』에서는 무량무변구경여래(無量無邊究竟如來)라 하며, 이외에 광박신여래(廣博身如來)·일체법자재모니(一切...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주름안장버섯 <일>ノボリリュウ
    형태 자실체는 머리와 자루로 구분되며 머리 부분은 안장 모양이고 불규칙하며 깊게 째져 있다. 머리는 폭 6㎝, 높이 2~5㎝ 정도다. 가장자리는 자루와 분리되어 있다. 표면의 자실층은 유백색-황토색이며 주름이 잡혀 있고 울퉁불퉁하다. 머리의 아랫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고 미세한 털이 눌려 있다. 자루는 유백색...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주발버섯강 > 주발버섯목 > 안장버섯과 > 안장버섯속
    학명 :
    Helvella crispa (Scop.) Fr.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발생시기 :
    늦여름~늦가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81건

안장
안장
안장
말안장
곽재우 유물 일괄 중 마구
불타는 안장
안장버섯
안장버섯
안장버섯
안장버섯
안장버섯
안장버섯
안장버섯
말안장
융단안장말미잘
회백색안장버섯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