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트레우스의 보고 아가멤논의 묘, Treasury of Atreus
    BC 1300경~1250년에 그리스 미케네에 세워진 무덤. Tomb of Agamemnon, Beehive Tomb, Tholos라고도 함.|미케네 문명의 건축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이 무덤은 역암질 석재 덩어리를 돌출식으로(즉 내쌓기로) 쌓아올린 뾰족한 반구형 건축물로서, 진짜 둥근 천장 같은 느낌을 주도록 돌을 잘라서 다듬었다. 무덤의 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그리스건축, 아트레우스의 보고와 둥근 천장
    지붕까지 갖추지 못하고 평면만 원형에 머물렀던 것에 비해 미케네에서는 지붕까지도 원형으로 해서 평면과 일체가 되는 종합적 구성을 완성했다. 〈아트레우스의 보고〉는 대표적인 예이다. 미케네문명 전반에 걸쳐 왕의 무덤이 여럿 지어졌는데 대부분 톨로스 형태였다. 순장 전통이 남아 있어서 많은 금은보화도 함께...
  • 메넬라오스 Menelaos
    왕인 아트레우스와 아이로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가멤논과 형제였다. 후에 아름다운 헬레네와 결혼하여 헬레네의 잉태로 헤르미오네를 낳았다. 일화와 영향 헬레네에게 구혼 당시 많은 경쟁자가 있었고, 헬레네의 남편 될 사람이 싸움에 휘말리면 모두 함께 싸워 주기로 했기 때문에 이때 헬레네에게 구혼했던 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미케네 건축
    번영을 누렸다. 미케네 건축은 에게 건축의 융성·쇠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유적은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은 편이나, 아치 대용품으로 사용한 3각형태의 상인방에 사자 조각을 한 미케네의 사자문과 아트레우스의 보고가 있고, 특히 티린스 궁전의 생활 중심지인 메가론은 그리스 고대 신전 건축의 모태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하인리히 슐리만 Heinrich Schliemann
    슐리만은 이것이 아가멤논과 클리템네스트라의 무덤이기를 기대했고, 또 그렇게 믿었으며 발굴 결과를 〈미케네 Mykenä〉(1878)라는 책으로 출간했다(아트레우스의 보고). 1878년 이타카 발굴이 실패로 끝난 뒤 같은 해 히사를리크 발굴을 다시 시작했다. 1882~83년에는 3차 트로이 발굴, 1888년부터 죽을 때까지 4...
    출생 :
    1822. 1. 6,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노이부코
    사망 :
    1890. 12. 26, 나폴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티에스테스 (세네카) Thyestes (Seneca)
    뒤에 오는 고요함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형제 간의 증오와 차이를 제쳐 둔 아트레우스의 형제애를 찬양한다. 자리에 있던 한 전달자가 아트레우스의 잔혹한 행위...아이가 살해되어 티에스테스에게 끔찍한 연회의 요리로 나갔는 지를 보고한다. 해가 지는 것을 지켜보던 합창단은 우주의 모든 구조가 산산조각으로 분해...
    도서 위키백과
  • 독부 클리타임네스트라
    있었기 때문이다. 동생은 이미 형수 아에로페(Aerope)와 정을 통하면서 형의 일거수일투족을 훤히 내다보고 있었던 것이다. 드디어 상징물을 보이는 날 아트레우스는 없어진 황금양피가 동생의 손에 들려 있는 것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지만 동생 티에스테스에게 왕위를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그 황금양피는 원래 자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도 1-7 〈아트레우스의 보고〉
'아트레우스의 보고'라 불린 미케네식 무덤
'아트레우스의 보고'라 불린 무덤의 내부
도 1-8 〈아트레우스의 보고〉, 둥근 천장 실내
‘아트레우스의 보고’라 불린 미케네식 무덤과 무덤의 내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