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일랜드 문예부흥 Irish literary ren..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걸친 아일랜드 문학의 번영기.|강력한 정치적 민족주의 및 아일랜드 게일어 문학 전통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난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 운동은 게일어 부흥, 스탠디시 오그레이디의 〈아일랜드 역사 History of Ireland〉(1880), 더글러스 하이드의 〈아일랜드 문학사 A Literary History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문화 일반
  • 게일어 부흥 Gaelic revival
    진행되었지만 널리 확산되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국민의 관심이 정치적 민족주의와 토지개혁의 요구에 쏠리면서 문화적 민족주의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미약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운동은 아일랜드의 문학적 재능이 크게 꽃핀 19세기말과 20세기초의 아일랜드 문예부흥에 학문적·민족주의적 토대를 제공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일랜드의 신비주의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William Butler Yeats
    그레고리 부인의 후원으로 더블린에 아일랜드 문예극장을 설립하고, 아일랜드와 켈트 극을 발표했다. 미망인인 그레고리 부인은 아일랜드의 역사와 민속에 조예가 깊었고, 아일랜드 문예 부흥운동에도 앞장선 인물로, 예이츠를 비롯한 아일랜드 작가들을 후원하고 있었다. 이 문예극장에서 모드 곤을 주연으로 한...
    출생 :
    1865년 06월 13일
    사망 :
    1939년 01월 28일
    국적 :
    아일랜드
    대표작 :
    〈캐슬린 백작부인〉, 《켈트의 여명》, 《환상》 등
  • 애비 극장 아일랜드 국립극장, Abbey Theatre
    주축이 되어 설립한 아일랜드 국립극협회가 아일랜드 문예극장을 인수함으로써 애비 극장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1903년에 아일랜드 국립극협회는 아일랜드 국립연극협회가 되어 아일랜드문예부흥을 주도하는 여러 뛰어난 인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여기서 공연되는 작품의 수준은 곧 인정을 받게 되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문화 일반
  • 에드워드 마틴 마틴, Edward Martyn
    개인적인 갈등뿐만 아니라 '시골 사람을 소재로 한 극'이나 '켈트 황혼기의 낭만주의'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애비(Abbey) 극장으로 이어지는 아일랜드 문예부흥의 주류와 결별했다. 1914년에는 '시골 사람을 소재로 하지 않는 극'과 아일랜드어로 된 극, 유럽의 위대한 극작품 상연을 위한 더블린의 아일랜드 극장...
    출생 :
    1859. 1. 30, 아일랜드 골웨이 툴리라
    사망 :
    1923. 12. 5, 툴리라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John Millington Synge
    이탈리아에서 음악공부를 계속했다. 그러나 1899년경 파리에서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를 만난 후 문학비평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예이츠는 싱에게 아일랜드 문예부흥을 위해 온 힘을 쏟도록 격려하는 한편, 더이상 학업을 계속하지 말고 애런 제도로 가서 그곳 사람들의 삶에서 문학의 소재를 구하라고 충고했다. 결국...
    출생 :
    1871. 4. 16, 더블린 근처 래스파
    사망 :
    1909. 3. 24, 더블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고거티 올리버 조셉 세인트 존 고거티, Oliver St. John Gogarty
    아일랜드 문예부흥에 참여했으며, 젊은 시절을 보낸 더블린을 생생하게 재현한 회고록을 썼다. 제임스 조이스와 함께 왕립대학(지금은 더블린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다녔다. 그는 나중에 조이스의 〈율리시스 Ulysses〉에 벅 멀리건이라는 인물로 등장하게 되는데, 고거티 자신은 이 인물과 동일시되는 것을 끔찍이...
    출생 :
    아일랜드 더블린, 1878. 8. 17
    사망 :
    1957. 9. 22, 미국 뉴욕 뉴욕시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오그레이디 Standish James O'Grady
    아일랜드의 영웅 사가를 영어로 번역하여 널리 보급함으로써 '아일랜드 문예부흥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얻었다. 오그레이디는 1868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했다. 게일어학자 유진 오커리가 번역한 아일랜드의 고대 영웅담과 낭만적인 문학작품을 접한 뒤 아일랜드 고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1878...
    출생 :
    1846. 9. 18, 아일랜드 코크 캐슬타운
    사망 :
    1928. 5. 18, 잉글랜드 햄프셔 와이트 섬 섕클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아일랜드 연극 Irish theatre
    아일랜드의 연극 역사는 19세기 말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아일랜드에 중세 전통극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19세기 말 더블린연극은 이미 전통과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다만 영국에서 온 순회극단의 영국 연극만이 판을 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정한 아일랜드 극작가를 키우고, 참된...
    도서 위키백과
  • 그레고리 Isabella Augusta, Lady Gregory
    민간설화를 번역했으며, 민담(民譚)을 토대로 한 농촌희극과 환상적인 작품들, 애비 극장(The Abbey Theatre)을 위한 작품들을 써서 19세기 후반 아일랜드 문예부흥에 큰 공헌을 했다. 1880년 이웃의 지주이며 상원의원인 윌리엄 헨리 그레고리 경과 결혼했으며, 1892년 남편이 죽은 뒤 문학활동을 시작했다. 1898...
    출생 :
    1852. 3. 5, 아일랜드 골웨이 록스보로
    사망 :
    1932. 5. 22, 쿨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레녹스 로빈슨 Lennox Robinson
    연극감독으로 애비 극장에 관계했으며 아일랜드 문예부흥 말기의 지도적 인물이다. 어렸을 때 이미 애비 극장이 코크에서 상연한 연극들을 보면서 아일랜드 민족주의 실현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여, 조국의 어려운 현실을 많은 작품의 주제로 삼았다. 처녀작 〈클란시라는 이름 The Clancy Name〉은 1908년 더블린의 애비...
    출생 :
    1886. 10. 4, 아일랜드 코크 더글러스
    사망 :
    1958. 10. 14, 더블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오페일론 Sean O'Faolain
    중산층에 관한 글을 썼으며, 흔히 민족주의 투쟁의 몰락과 아일랜드 가톨릭의 쇠퇴를 주제로 다루었다. 그의 작품에는 20세기초의 아일랜드 문예부흥에 자극받아 일어난 아일랜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오페일론은 아일랜드 봉기(1918~21)에 가담했는데, 이 경험이 작품의 주제에 영향을 주었다. 더블린에...
    출생 :
    1900. 2. 22, 아일랜드 코크 코크
    사망 :
    1991. 4. 20, 더블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