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Battle of Eylau 아일라우 전투, アイラウの戦いThe Battle of Eylau or Battle of Preussisch-Eylau, 7 and 8 February 1807, was a bloody and inconclusive battle between Napoléon's Grande Armée and a Russian Empire army under Levin August, Count von Bennigsen near the town of Preußisch Eylau in East Prussia. Late in the battle, the Russians re...출처 영어 위키백과
-
바클라이 드 톨리 Mikhail Bogdanovich, Knyaz Barclay de T..러시아군에 입대하여 투르크(1788~89)·스웨덴(1790)·폴란드(1792~94)와의 전쟁에 참가했다. 1806~07년 나폴레옹과 대적한 풀투스크 전투에서 뛰어난 공을 세웠고, 아일라우 전투에서 부상을 입은 뒤 중장으로 진급했다. 1808~09년 핀란드에서 러시아군을 지휘하여 스웨덴과 싸웠고, 1810~12년에는 러시아 육군 장관...
- 출생 :
- 1761. 12. 27(구력 12. 16), 러시아 리보니아 루흐다그로스쇼프
- 사망 :
- 1818. 5. 26(구력 5. 14), 동프로이센 인슈터부르크
- 국적 :
- 러시아
-
술트 Nicolas-Jean de Dieu Soult맡았고(1800~02), 1804년에는 프랑스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1805~06년 울름·아우스터리츠·예나에서 승리해 명성은 더욱 높아졌지만 폴란드의 아일라우 전투와 하일스베르크 전투에서는 별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807). 달마티에 공작작위를 받고 1808년말 스페인으로 파견되었으며 곧 반도 전쟁에 참전한...
- 출생 :
- 1769. 3. 29, 프랑스 생타망라바스티드(지금의 생타망술트)
- 사망 :
- 1851. 11. 26, 생타망술트
- 국적 :
- 프랑스
-
바그라티온 Pyotr Ivanovich, Knyaz Bagration주력부대가 모라비아로 안전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그후 아우스털리츠 전투(1805. 12. 2), 아일라우 전투(1807. 2. 7~8), 하일스부르크 전투(1807. 6. 10), 프리트란트 전투(1807. 6. 14)에 참가했지만 모두 패배했다. 그후 러시아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어(틸지트 조약 1807. 7. 7...
- 출생 :
- 1765, 러시아 키즐랴르
- 사망 :
- 1812. 9. 24(구력 9. 12), 블라디미르 시마
- 국적 :
- 러시아
-
베니히센 Leonty Leontyevich, Graf von Bennigsen1805) 뒤에는 육군 사령관이 되어 프랑스의 공격(1806. 12. 26)에 맞서 푸우투스크(바르샤바 근처)를 성공적으로 방어했으며 나폴레옹에게 타격을 준 뒤 아일라우 전투(1807. 2. 8)에서 후퇴했다. 그러나 1807년 6월 14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는 완패했다. 결국 러시아가 프랑스와 틸지트 조약(1807. 7)을 맺은 뒤 은퇴...
- 출생 :
- 1745. 2. 10,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브라운슈바이크(지금의 독일에 있음)
- 사망 :
- 1826. 10. 3, 하노버 힐데스하임 근처 반텔른(지금의 독일에 있음)
- 국적 :
- 러시아
-
-
한스 카를 폰 디비치 Johann (Karl Friedrich Anton) Graf Di..데 큰 공을 세웠다. 독일 태생으로 베를린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1801년 러시아군에 입대했다. 나폴레옹 전쟁중에 아우스터리츠·아일라우·프리틀란트·스몰렌스크 전투에 참가한 뒤 육군 소장이 되었다. 서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을 통하여 탁월한 군사적·외교적 능력을 발휘했고(1812~14), 1815년 나폴레옹을...
- 출생 :
- 1785년 5월 13일, 프로이센 슐레지엔 그로슬라이페
- 사망 :
- 1831년 6월 10일, 폴란드 푸투스크 근처 클레체보
- 국적 :
- 독일/러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