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열대고기압 온난고기압, 亞熱帶高氣壓
    남북 양반구의 위도 20~35°부근에 존재하는 반영구적인 고기압. 온난고기압|내용 적도 주변은 연중 열이 과잉되므로 저기압대가 동서 방향으로 넓게 분포한다. 적도저기압대에서 상승한 공기는 남・북위 25~30°에서 하강하므로 그 구역에는 고기압대가 형성된다. 이를 아열대 고기압대 혹은 중위도 고기압대라고 한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아열대 고기압 亞熱帶高氣壓, subtropical high
    북반구·남반구의 위도 35° 근처 해양에 위치한 반영구적인 고기압.|열적 기원이라기보다 역학적 기원으로 생기는 이 고기압은 여름철에 가장 강하고 극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고기압 주위의 순환은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이다. 고기압 동쪽과 적도 방향 쪽의 대류권(지표에서 1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아열대고기압 亞熱帶高氣壓, subtropical high
    북반구·남반구의 위도 20° ~35° 근처 해양에 위치한 반영구적인 고기압|북반구·남반구의 위도 20° ~35° 근처 해양에 위치한 반영구적인 고기압이다. 적도 주변은 연중 열 과잉이므로 동서 방향으로 넓게 저기압대가 분포한다. 적도 저기압대에서 상승한 공기는 남?북위 25~30°에서 하강하므로 그 구역에는 고기...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아열대 고압대 (관련어 아열대고기압) Horse latitudes, 亜熱帯高圧帯
    아열대 고압대 편서풍대와 무역풍대 사이에 있는 무풍대로 공기가 위에서 지표면 쪽으로 천천히 내려오기 때문에 바람이 약하고 날씨가 좋다. 그래서 고기압을 띤다. 중심은 북위와 남위 약 30°부근의 대양에 있다가 북반구가 여름일 때에는 더 북쪽으로, 남반구가 여름일 때에는 더 남쪽으로 옮겨간다. 북반구의 무풍...
    도서 위키백과
  • 아열대기후 亞熱帶氣候, subtropical climate
    극 쪽 경계는 월평균기온이 10℃인 달이 8개월인 선이다. 이 지역에는 때때로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 수도 있으나 곧 사라진다. 아열대기후는 대양에 존재하는 아열대 고기압의 동쪽과 서쪽에서 나타나는 두 기후 지역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아열대 고기압의 동쪽 부분인 대륙의 서안에는 아열대여름건조기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아열대 亞熱帶, subtropical zone
    평균기온 6.1℃ 이상, 독일의 트롤(C. Troll)은 최한월 평균기온 2℃(남반구의 경우 6℃)로 구분하고 있다. 동기후학적으로 볼 때 여름에는 아열대고기압이나 열대고기압이 지배하며 겨울철에는 중위도편서풍대에 의해 동반되는 전선이나 저기압(또는 한대전선)이 지배하는 지역이다. 아열대에 속하는 대륙지역은 비가...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북태평양고기압 北太平洋 高氣壓
    내용 북태평양에서 발원한 해양성 아열대 기단으로 한반도에는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미치며 고온다습한 특성을 가진다. 북태평양기단은 한반도의 한여름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북태평양기단이 영향을 미치는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아서 대체로 장마가 끝난 7월 하순부터 늦장마가 시작되기 전인 8월 중순까지이다. 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고기압 高氣壓, anticyclone
    바깥쪽으로 바람이 불게 되는데,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게 되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분다. 온난고기압아열대지방 상공에 공기가 모이면서 형성된 것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이 대표적이다. 한랭고기압은 극지방의 낮은 기온으로 공기가 냉각되면서 기압이 높아진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바람 wind
    서로 연결되어 있는 지면 근처의 고기압과 저기압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들의 진행과 발달을 유도한다. 고위도에서 바람은 일반적으로 지면 근처에서 서쪽으로...좁은 지대인 열대수렴대의 양쪽에서는 공기의 수직상승으로 적란운(積亂雲)이 형성되어 소나기가 자주 내린다. 북·남 반구 아열대지역의 대류권 상부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고기압 高氣壓
    일양(一樣)하고 광대한 공기덩어리인 기단이 발달하기 적합하여 기단은 주로 고기압 구역에서 발달한다. 중위도에 위치하여 광대한 기단 형성이 어려운 한반도는...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한대기단(寒帶氣團)인 시베리아기단과 아열대기단(亞熱帶氣團)인 북태평양기단(北太平洋氣團)은 대부분 발원지 명칭에 해당하는...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아열대 환류 亞熱帶環流, subtropical gyre
    아열대 환류의 에크만 해류층 내에서 해수의 이동은 위도 20°~30° 부근에 아열대 수렴해역을 발생시켜 표층수를 가라앉게 한다. 아열대 환류의 중심은 서쪽으로 이동한다.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가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미국의 기상학자이자 해양학자인 헨리 M. 스토멜(1948)은 수평을 이루는 코리올리 힘 때문에 위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제트류 jet stream
    전선과 연관되어 있다. 한대전선은 중위도에 놓여 있고 기단의 차이(전선)가 스콜·폭풍 및 저기압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또다른 뚜렷한 계는 아열대 제트류로 아열대 고기압 위에 놓여 있고, 대개 맑은 날씨가 나타난다. 여름 동안 3번째 계가 동남아시아, 인도, 아라비아 해와 열대 아프리카에 걸쳐 발생하는데,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아열대 고기압
아열대 고기압(subtropical high)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