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アセチルコリン
    ACh)은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유기 분자이다. 아세트산과 콜린의 에스터이다. 아세틸콜린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자율신경절의 기본적인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모두에 작용하며, 원심성 체성신경계에 작용하는 유일한 신경전달물질이다. 심장 조직에서 아세틸콜린을 통한 신경...
    도서 위키백과
  •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수많은 신경계 또는 시냅스와 골격근의 운동신경 종판에서 충격을 전달하는 물질이다. 그 외에도 아세틸콜린은 혈관확장제로서 사용되며, 심혈관계 뿐 아니라 위장관계, 비뇨계, 호흡계 등 많은 신체기관에 작용한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충격을 전달받는 모든 샘들도 아세틸콜린에 의해 분비작용이 촉진된다. 아세틸콜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콜린의 아세트산에스테르로 조해성이 강한 염기성 물질. 동물의 부교감신경이나 운동신경 말단에서 자극에 의해 유리되어, 시냅스부분이나 운동종판(motor end plate)에서 흥분전달(신경전달)물질이 된 아세틸콜린은 혈압 강하, 심장박동억제, 장관 수축, 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생체내에서는 콜린과 아...
  • 근육 구성 단백질섬유 (관련어 아세틸콜린) 근육 구성 단백질섬유의 대이동
    골격근은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그 답은 아세틸콜린과 칼슘, 액틴섬유와 미오신섬유의 상호작용에 있습니다. 대뇌 피질에서 출력된 운동명령은 운동신경로를 통해 척수전각의 하위운동신경원으로 전달됩니다. 운동신호를 받은 하위운동신경원은 신경-근 연접 부위에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죠. 아세틸콜린은 아세트산과 ...
  • 아세틸콜린 Ach, Acetylcholine
    콜린의 아세트산에스테르로 조해성이 강한 염기성 물질. 동물의 부교감 신경이나 운동 신경 말단에서 자극에 의하여 유리되어, 시냅스 부분이나 운동 종판(motor end plate)에서 흥분 전달(신경 전달) 물질이 된 아세틸콜린은 혈압 강하, 심장 박동 억제, 장관 수축, 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 작용을 나타낸다. 생체 내에...
    분야 :
    방호
  •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 콜린가수분해효소 I(choline esteraseⅠ),..
    콜린가수분해효소 중에서 기질 특이성이 높고, 특히 아세틸콜린을 중심으로 아세트산에스테르를 분해하는 효소. EC 3.1.1.7.
  • 아세틸콜린 수용체 AchR, acetylcholine receptor
    AchR라고 약기. 콜린작동성 뉴런의 시냅스후막에 존재하고 아세틸콜린과 특이하게 결합하는 고분자단백질. 아세틸콜린과 결합하면 시냅스막은 막전위를 바꾸어 흥분을 전달한다.
  •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Acetylcholinesterase inhib..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ChEIs, 종종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자율신경절, 신경근 접합부에서 증가한다.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는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의 일종으로,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는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와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로...
    도서 위키백과
  • 아세틸콜린 수용체 Acetylcholine receptor, アセチルコリン受容体
    아세틸콜린 수용체(acetylcholine receptor, AChR) 또는 콜린성 수용체(cholinergic receptor)는 아세틸콜린의 수용체로, 니코틴 중독과 알코올 중독에 관여하는 수용체로 알려져 있다. 다른 막관통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약리학적 특징, 즉 서로 다른 분자들에 대한 친화력과 민감성에 따라 분류...
    도서 위키백과
  •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Muscarinic acetylcholine r..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특정 뉴런저널 인용과 다른 세포의 세포막에서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복합체를 형성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이다. 이들은 부교감 신경계의 신경절이후 신경섬유에서 방출되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자극되는 주요 말단 수용체 역할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무스카린성 수용체...
    도서 위키백과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icotinic acetylcholine rec..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내의 시냅스전 세포에서 시냅스 후 세포로 나가는 신호를 전달하고, (2) 근육 수축을 위한 신호로 방출되는 아세틸콜린을 받는 골격근에서 발견되는 수용체이다. 면역 체계에서 nAChR은 염증 과정을 조절하고 뚜렷한 세포내 경로를 통해 신호를 보낸다. 곤충의...
    도서 위키백과
  •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Acetylcholinesterase, 乙酰胆碱酯酶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acetylcholinesterase)는 아세틸콜린을 아세틸과 콜린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부교감 신경을 지배하는 기관과 자유 신경절 등에 있다. 이 효소는 시냅스 신호 전달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Neurotransmission 도중에, ACh는 presynaptic neuron에서 synaptic cleft로 방출되어, post...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의 활성부위와 아세틸콜린과의 결합양상
아세틸콜린 생성과 분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아세틸콜린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전뇌기저부 마이네르트 기저핵의 아세틸콜린 신경축삭과 중격해마신경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