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보가드로 법칙 Avogadro's law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서로 다른 기체라도 부피가 같으면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이상기체를 가정하면 기체분자 운동론을 써서 이 실험식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기체라도 압력이 충분히 낮고 온도가 높으면 이 법칙을 근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분자량을 그램으로 정의한 물질 1g·mol 속의 분자 개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아보가드로법칙 -法則, Avogadro's law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서로 다른 기체라도 부피가 같으면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서로 다른 기체라도 부피가 같으면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이다. 이상기체(理想氣體)를 가정하면 기체분자 운동론을 써서 이 실험식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기체라도 압력이 충분히 낮고 ...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아보가드로 가설(법칙) Avogadro's law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서로 다른 기체라도 부피가 같으면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이상기체(理想氣體)를 가정하면 기체분자 운동론 을 써서 이 실험식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기체라도 압력이 충분히 낮고 온도가 높으면 이 법칙을 근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분자량을 그램으로 정의한 물질 1g?mol 속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아보가드로 법칙 Avogadro's law, アボガドロの法則
    아보가드로 법칙은 이탈리아의 아메데오 아보가드로가 1812년 발표한 같은 압력에서 같은 부피속에 같은 개수의 입자(분자)를 포함한다는 내용이다. 산소의 분자는 산소 원자 2개로 이루어져 있고, 물의 분자는 수소 원자 2개와 산소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분자에는 같은 종류의 원자가 결합하여 이루어...
    도서 위키백과
  • 아보가드로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Avogadro, A.
    1820년에는 토리노 대학교의 수리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또한 도량형 위원회 등 정부 기관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아보가드로아보가드로법칙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아보가드로 법칙은, 기체의 종류가 다를지라도 온도와 압력이 같다면 일정 부피 안에 들어 있는 입자 수는 같다는 법칙이다. 실제로는 이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물리
  • 아보가드로 Avogadro's number
    개수는 6.022×1023개로 이 숫자를 아보가드로 수 또는 아보가드로 상수라 한다. 예를 들어 산소의 분자량이 32.00이므로 산소 1g·mol은 32.00g이고 6.022×1023개의 산소분자로 이루어진다. 1g·mol이 차지하는 부피는 0℃, 1기압인 표준상태에서 약 22.4ℓ로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라 모든 기체에서 같은 값을 갖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화학 , 과학 일반
  • 아보가드로법칙 Avogadro’s law
    동일한 압력과 온도하에서 동등한 체격의 기체는 어느 것이나 동등한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mol
    1몰 보다 정확한 1몰의 입자 수는 약 6.0221438×1023개다. 이 1몰의 수를 아보가드로 수(NA: Avogadro's number)라고 부르는데, 아보가드로 법칙을 밝힌 19세기 물리학자 아보가드로를 기념하여 붙인 것이라 한다. 'mol'은 분자를 뜻하는 Molecule의 앞부분을 이용한 것으로 몰 단위 기호로 쓰며 mol 또는 mole로 표시...
  •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Amedeo Avogadro, アメデオ・アヴォガドロ
    원자의 부피에 대한 많은 논문을 썼고, 논문집 Fisica di corpi ponderabili 4권을 1837년부터 1841년까지 출판하였다. 아보가드로아보가드로법칙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아보가드로 법칙은, 기체의 종류가 다를지라도 온도와 압력이 같다면 일정 부피 안에 들어 있는 입자 수는 같다는 법칙이다. 실제로는...
    도서 위키백과
  • 원자와 원소
    것이 못되었다. 몇 년 뒤인 1811년에 이탈리아의 화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아보가드로법칙을 발견한 뒤에야 돌턴의 오류는 수정될 수 있었다. 아보가드로법칙은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같은 부피의 기체 안에 들어있는 분자의 개수(아보가드로의 상수(常數) 6.0221415×1023개/mol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 연금술의 개과천선
    Aurora)와 무역풍 등을 포함하는 기상에 관한 저서 《기상학상의 관찰과 논문》(1793)도 발표했다. 비슷한 시기의 역사를 논할 때 빠뜨릴 수 없는 ‘아보가드로법칙(Avogadro's law)’을 발견한 이탈리아의 화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Amedeo Avogadro, 1776~1856)는 0℃, 1기압 하에서 여러 가지 기체의 1몰(mol...
    도서 호모 케미쿠스 | 태그 화학
  • 보일-샤를의 법칙 combined gas law
    동시에 변화할 때 이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PV/T=일정) 이 법칙은 이상기체의 경우 성립하며 실제기체의 경우 근사적으로 성립한다. 이것과 아보가드로법칙을 종합하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 나온다. 보일-샤를의 법칙이 나올 당시에는 기체를 구성하는 분자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순전히 경험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