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미타경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阿彌陀經
    아미타경은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이다. 『무량수경』·『관무량수경』과 함께 정토삼부경이라 한다. 아미타경은 정토에 왕생하는 길이 아미타불을 칭명염불(稱名念佛)하는 데 있다는 내용이다. 경의 유포가 공덕을 지닌다 하여 수많은 판본이 간행, 유포되었다. 1464년(세조 10)에 세조가 번역하여 ...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미타경 阿彌陀經, Sukhavativyuho nama mahayanasutrm
    정토사상(淨土思想) 계통의 대승불교 경전.|1권. 산스크리트 원전의 명칭은 〈무량수경 無量壽經〉과 같으며, '성스런 극락장엄(極樂莊嚴)이라 칭하는 대승경전'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무량수경〉을 대경(大經)이라 하고, 〈아미타경〉을 소경(小經)이라 하여 구별한다. 〈무량수경〉·〈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아미타경, 原州 古版畵博物館 所..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原州 古版畵博物館 所藏 德周寺版 佛說阿彌陀經)은 조선 전기 충청도 충주 덕주사에서 간행된 불경이다. 이 불경은 1572년(선조 5) 충주의 덕주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은 『육경합부(六經合部)』에 편입되어 간행된 사례는 제법 있다. 그...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아미타경, 原州 古版畵博物館 所..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原州 古版畵博物館 所藏 龍泉寺版 佛說阿彌陀經)은 조선 전기 전라도 담양의 용천사에서 간행한 불경이다. 이 불경은 1577년(선조 10) 담양의 용천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담양 용천사는 전라도 지역의 큰 규모의 사찰로 1570년(선조 3) 이후 임진왜란 이전까지 18종의 ...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교경전 요약, 아미타경 일체제불소호념경, 阿彌陀經
    아미타(阿彌陀)는 아미타유스(Ⓢamitāyus) 또는 아미타바(Ⓢamitābha)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이고, 아미타유스는 ‘무량수’, 아미타바는 ‘무량광’이라 번역한다. 대부분의 경들이 제자들의 간청으로 설하거나 제자들과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데 반해, 이 경은 세존이 스스로 사리불에게 설했다. 《무량수경》과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통영 연화사 불설아미타경 (관련어 아미타경)
    문화재 정보 통영 연화사 불설아미타경(統營 蓮花寺 佛說阿彌陀經)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연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2019년 8월 1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65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지사, 2019-08-01 「불설아미타경[언해]」은 정토삼부경의 하나인 「불설아미타경」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
    도서 위키백과
  • 통영 연화사 불설아미타경 소무량수경(小無量壽經), 統營 達花寺 佛說阿彌陀經
    저자 및 편자 후진(後秦)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402년에 장안(長安)의 소요원(逍遙園)에서 한역(漢譯)하였다. 서지사항 통영 연화사 『불설아미타경』은 목판본 1권이다. 장정은 선장(線裝)으로 장수 30장이고, 광곽(匡郭) 형태는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이다. 광곽 크기는 세로 20.2㎝, 가로 14.8...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미타경변상도 阿彌陀經變相圖
    내용 및 현황 『아미타경』은 402년경 요진(姚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하였으며 『무량수경』 및 『관무량수경』과 함께 정토삼부경을 이루는 정토사상의 근본 경전이다. 서방 극락의 모습과 이곳의 교주인 아미타불에게는 한없는 광명과 한없는 수명이 있다는 성격을 설하고, 그곳에 왕생하기 위해 아미타불을...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아미타경언해 阿彌陀經諺解
    개설 세조가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의 하나인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일명 아미타경)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 내용 불분권(不分卷) 1책. 언해문은 『월인석보』 권7의 후반부에 나오는 『석보상절』 부분과 거의 같다. 내제(內題) 다음에 ‘어제역해(御製譯解)’라 한 점과 함께 세조의 언해임...
    시대 :
    조선
    저작자 :
    세조
    창작/발표시기 :
    1974년(영인)
    성격 :
    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1464), 쌍계사(1558), 운흥사(1702), 동화사(1753), 정양사(1958)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감지금은니불설아미타경 紺紙金銀泥佛說阿彌陀經
    글씨는 금니로 썼는데, 당당하고 힘있는 해서체(楷書體)이다. 마지막 장에는 발원문이 보이는데, 비구(남자 스님) 총고(聰古)가 그의 어머니를 위해 이 아미타경을 바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총고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진 내용이 없지만, 일본에도 총고라는 이름으로 발원한 연화경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말기에...
    시대 :
    고려
    창작/발표시기 :
    1341년(충혜왕 복위 2)
    성격 :
    아미타경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22㎝, 가로 8.5㎝
    재질 :
    종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영국 대영박물관
  •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
    내용 1책. 목판본.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울 대한불교천태관문사에 있다. 원문에 국문 현토(懸吐)와 국한문혼용의 번역, 한문주석으로 되어 있다. 이 가운데 한문주석은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설로 보인다. 이 판본은 인출(印出)하자 바로 불복(佛腹)에 봉안하여 잘 보존되어 종이가 희고 표지가 없다. 권말...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미타경의기 阿彌陀經義記
    목록집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제1권과 승려 문웅(文雄)이 편찬한 『연문류취경적록(蓮門類聚經籍錄)』에는 1권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다만 신라 화엄종을 일으킨 의상이 정토신앙의 근본경전인 『아미타경』에 대한 주석서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의상(義湘, 625∼702)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8건

아미타경
아미타경
아미타경 권상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용천사판 불설아미타경
아미타경변상도
불설아미타경
불설아미타경(언해)
불설아미타경(언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