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메니아 성가 Armenian chant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성악과 그 가사로 쓰이는 신앙 시.|아르메니아는 일찍부터 시리아와 지중해 동부 그리스어 사용권에서 온 선교사들에게서 복음을 받아들였으며, 300년경에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르메니아의 독특한 전례는 여러 요인들에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4세기말에 접어들면서 아르메니아 교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단성성가 單聲聖歌, plainchant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가진 노래를 뜻했다. 그레고리오 성가 이외의 단성성가들로는 서방의 암브로시오 성가, 갈리아 성가, 모사라베 성가와 동방의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콥트 성가, 에티오피아 성가, 아르메니아 성가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지녔다는 점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성 로마노스 Romanos the Melodist
    칼케돈 공의회 이후에 살았고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가 비칼케돈 교회라는 점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노스의 음악은 아르메니아 성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article from the (가톨릭 백과사전) St. Romanos (해외 러시아 정교회)백과사전 인용서적 인용EB1911 71 selections...
    도서 위키백과
  • 미사곡 mass
    처음 2부분인 연민송(Kyrie)과 영광송(Gloria)만으로 이루어진다(→ 루터교). 다른 근대 개신교 교회들도 예배의 목적이나 특별한 음악적 목적에 맞게 기존의 미사곡들을 자유롭게 빌려다 사용하고 있다(동방교회에 대해서는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아르메니아 성가', '에티오피아 성가' '콥트 성가' 항목 참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코미타스 Komitas
    11세에 고아가 된 그는 성가 창법을 배우기 위해 아르메니아의 바가르샤파트에 있는 신학교에 들어갔다. 1893년 그곳을 졸업했으며 7세기 아르메니아의 찬송가 작가 이름인 코미타스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았다. 일찍이 교회음악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의 민속음악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1896~99년 베를린에서...
    출생 :
    1869. 10. 8, 오스만 제국(지금의 터키) 퀴타히야
    사망 :
    1935. 10.22, 파리
    국적 :
    아르메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에코스 echos
    비잔틴 성가의 8개의 에코스(8개 전체를 oktoechos라고 함)는 시리아 음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에코스 개념은 아르메니아·러시아·콥트 성가에도 등장한다. 기존에는 다마스쿠스의 요한네스(749 죽음)가 8개의 비잔틴 에코스를 만들었다는 설이 전해내려오지만, 6세기초 시리아의 문헌에 이미 오크토에코스라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캔털레이션 cantillation
    비잔틴·아르메니아·콥트)의 7~9세기 필사본에 나타난다. 처음에는 성서를 보다 분명하게 읽기 위한 방편이었지만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다양한 선율형들을 기억하기 쉽도록 고안한 기억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실제 소리에 대한 해석은 그러한 선율 공식들의 구전 전통에 대한 지식에 의존했다. 캔털레이션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다비트 4세 David IV, ダヴィド4世
    또한 다비트의 찬양은 그가 셀주크에 대항한 투쟁에서 자신과 자연스레 동맹이 되었던 동시대의 유럽의 십자군에 대한 이상주의의 열정도 성가에 함께 표현되어 있다. 루수단, 아르메니아 공주 (1107년에 이혼) 구란두크트, 킵차크 오크로크 지도자의 딸(약 1107년경 결혼) 데메트레 1세 바흐탕(추아타) 왕자 게오르게...
    도서 위키백과
  • 그레고리오 Gregorio (disambiguation), グレゴリオ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 이탈리아 수학자 계몽자 그레고리오: 아르메니아 교회의 첫 수장이며 성인 그레고리오 푸엔테스: 쿠바의 어부이자 헤밍웨이 소유...가톨릭교회 고위 성직자 그레고리오 성가: 천주교의 전통적인 단선율 전례 성가의 한 축을 이루는 성가로서 로마 전례 양식 때 사용하는 무반주의 종교...
    도서 위키백과
  • 삼성송 Trisagion, 聖三祝文
    대한 전승과는 상충되는 것이다. 콥트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서는 이 기도가 니코데모로부터 유래한다고 믿고 있다. 니코데모가 아리마태아의 요셉과...것으로 보인다. 라틴 교회에서는 성금요일 십자가 경배 예식 때 삼성송을 부른다. 예식이 진행되는 동안 두 명의 성가대원이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교대로...
    도서 위키백과
  • 산 미니아토 알 몬테 성당 San Miniato al Monte, 圣米尼亚托大殿
    복무했던 아르메니아의 대공이었다. 그는 운둔자가 되고 나서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고 피렌체의 문 앞에서 숙영 중이던 데키우스 황제의 앞에 끌려왔다. 황제는 그를 원형극장에 있는 짐승들에게 던져주라고 명했으나 원형극장에서 한 표범이 그에게 접근했지만 그를 잡아먹기를 거부하였다. 황제가 보는...
    도서 위키백과
  • 레온 5세 Leo V the Armenian, レオーン5世
    바르다네스로 아르메니아 계통의 혈통이라고 한다. 803년 바르다네스 투르쿠스가 니키포로스 1세에게 반기를 들었을 때 바르다네스의 반란에도 관여했다가 나중에 니키포로스 쪽으로 돌아섰다. 니키포로스 1세와 미하일 1세 랑가베 밑에서 장군으로 명성을 얻었고 아나톨리아 지역의 총독(스트라테고스)이 되었다. 812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