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라고 (Dominique-) François(-Jean) Arago
    아라고는 자성을 띠지 않는 도체를 회전시키면 자기장이 생긴다는 원리를 발견하고 빛의 파동설을 증명하는 실험을 고안했다. 그는 또 다른 사람들과 함께 빛이 횡파인 것을 입증하여 편광법칙을 발견했다. 페르피냥과 파리의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공부했고 23세에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해석기하학교수가 되었다. 후에...
    출생 :
    1786. 2. 26, 프랑스 루시용 에스타젤
    사망 :
    1853. 10. 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프랑수아 아라고 François Arago, フランソワ・アラゴ
    인물 정보 도미니크 프랑수아 장 아라고, 약칭 프랑수아 아라고(François Arago[fʁɑ̃swa aʁaɡa])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프리메이슨이며, 이탈리아 카르보나리당의 지지자이며 정치가이다. 아라고는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트 지방 페르피냥 근처에 있는 인구 3,000의 작은 마을 에스타겔(Estagel)에서...
    도서 위키백과
  • 아라고 반점 Arago spot, アラゴスポット
    아라고 반점, 푸아송 반점, 빛이 파동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기본적인 실험 설정에는 조명이 비추는 핀홀이나 발산하는 레이저 빔과 같은 점광원이 필요하다. 설정의 크기는 프레넬 회절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즉, 프레넬 수가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F = \frac{d^2}{\ell \lambda...
    도서 위키백과
  • 누가 태양의 채층을 발견했는가?
    프랑수아 아라고(François Arago, 1786~1853)는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프랑스의 선구적인 천문학자였다. 아라고의 업적 중 하나는 태양의 채층을 발견한 것이다. 그는 별들이 반짝이는 현상에 대해 선구적인 설명을 내놓았으며, 그의 조수 중 하나였던 위르뱅 르베리에(Urbain Leverrier, 1811~1877)가 해왕성을 발견...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아라고의 원판 Arago's rotations, アラゴーの円板
    아라고의 원판(Arago's disc) 또는 아라고의 회전(Arago's rotations)은 자석 바늘과 움직이는 금속 원판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반하는, 관찰 가능한 자석 현상이다. 이 현상은 1824년 프랑수아 아라고에 의해 발견되었다. 도체(導體)로 된 원판의 테두리에서 조금 사이를 떼어 영구자석을 대고 자석을 이동하면 그에...
    도서 위키백과
  • 질경이과 Plantaginaceae, オオバコ科
    생물 분류 질경이과는 꿀풀목의 과이다. 과거에는 현삼과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3속의 약 3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유럽, 북아메리카 및 칠레에 각각 1종씩이 분포하는 리토렐라속과 페루에서 아르헨티나의 안데스고지에 단 1종만이 자라는 보우구에리아속을 제외하면 모두...
    도서 위키백과
  • 바이올린을 위한 환상곡의 귀재, 파블로 사라사테 Pablo de Sarasate
    은 1883년 작으로,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중에서 스페인풍의 음악을 뽑아 바이올린을 위한 곡으로 편곡한 것이다. 이 곡은 〈카르멘〉 4막의 전주곡인 〈아라고네즈〉로 시작한다. 오케스트라 파트의 피치카토 반주에 맞추어 독주 바이올린이 관능적인 멜로디를 연주한다. 같은 멜로디가 옥타브를 바꾸어 가며...
    출생 :
    1844년 03월 10일
    사망 :
    1908년 09월 20일
    국적 :
    스페인
    대표작 :
    〈지고이네르바이젠〉, 〈카르멘 환상곡〉, 《스페인 무곡집》 등
  • 나방 moth
    쓰지 않았다. 조선시대의 어휘사전 <물명고>의 누에 항목은 “번데기가 변하여 아(蛾)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번데기가 변한 것이 날개를 드리우면 아라고 한다.”라 하고, 문아(文蛾)를 설명하기를 “접류(蝶類)중에서 날개를 드리우는 것들”이라 하여 나비와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형태 나비처럼 날개·몸...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원산지 :
    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서식지 :
    숲, 나무, 인가
    크기 :
    약 0.4cm ~ 14cm
    식성 :
    초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나나망베레 Nana-Mambere
    풀라니 유목민들이 사는 방목장의 중심지에 있음을 잘 말해준다. 바야 농민들은 가축·농작물·목화를 경작하는 혼합농업을 하고 있다. 이 지방 수공예품으로는 목각과 상아조각이 있다. 나나망베레는 부아르(동쪽)와 바부아(서쪽)라는 2개의 준주로 이루어져 있어 1960년대 중반까지는 이곳을 부아르바부아라고 불렀다...
    위치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서부
    인구 :
    300,000명 (2014 추계)
    면적 :
    26,600㎢
    언어 :
    상고어, 프랑스어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다게르 Louis-Jacques-Mandé Daguerre
    현상한 다음 소금물로 정착시키면 영구히 사라지지 않는 영상이 남는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했다. 1839년 1월 9일, 뛰어난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인 D. F. J. 아라고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다게레오타이프를 발표했고 다게르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839년 니에프스의 상속자와 다게르는 사진기술을 개발...
    출생 :
    1787. 11. 18, 프랑스 파리 근처 코르메유
    사망 :
    1851. 7. 10, 브리쉬르마른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기레순 Giresun
    둘러싸고 있는 비잔틴 요새들의 유적이 있다. 옛날에는 아레스라고 부른 기레순 섬이 가까이에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기레순을 코에라데스 또는 파르나시아라고 불렀으며, 로마인들은 케라소우스 또는 케라수스라고도 불렀다. 케라수스(라틴어로 cerasum, 프랑스어로 cerise)라는 이름은 버찌(cherry)의 어원이...
    위치 :
    튀르키예 북동부 기레순 주, 흑해 남동쪽 연안
    인구 :
    90,921명 (2021년 추계)
    면적 :
    317㎢
    언어 :
    아랍어, 쿠르드어, 튀르크어
    대륙 :
    중동
    국가 :
    튀르키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미하일로브그라드 Mikhaylovgrad
    채소재배, 가축사육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주택지와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삼림과 사슴·꿩·토끼가 서식하는 금렵구가 있다. 로마 시대에는 몬타넨시아라고 불리던 촌락이 있었으며, 나중에는 골리야마쿠틀로비차와 페르디난트(1891~1945)라고 불리게 되었다. 지금의 이름은 실패로 끝난 1923년 봉기를 주도...
    위치 :
    불가리아 북서부 몬타나 주
    인구 :
    36,455명 (2023년 추계)
    면적 :
    69.2㎢
    대륙 :
    유럽
    국가 :
    불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