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도와 전투 Battle of Adowa
    에티오피아 중북부의 아도와에서 메넬리크 2세의 에티오피아군과 이탈리아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1896. 3. 1). Adowa는 Adwa, Adua라고도 씀.|전투에서는 에티오피아군이 대승을 거둠으로써 아프리카에 프랑스와 영국에 버금가는 식민제국을 세우려 했던 이탈리아의 시도를 저지했다. 에티오피아의 승리는 또한 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두와 전투 (관련어 아도와 전투) Battle of Adwa, アドワの戦い
    전쟁 정보 아두와 전투는 1896년 3월 1일 에티오피아 제국과 이탈리아 왕국이 에티오피아 티그레 주 아두와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절정에 도달한 전투였다. 1889년 에티오피아 제국의 요한네스 4세가 사망하자 에티오피아는 큰 혼란에 빠졌고 이 혼란을 틈타 이탈리...
    도서 위키백과
  • 에릭 아도 Eric Addo, エリック・アッド
    일했다. 일찍이 그의 힘과 페이스, 그리고 포즈의 조합 덕분에 아프리카의 위대한 선수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던, 수비형 미드필로도 활약할 수 있는 전투적인 센터백인 아도는 무릎 부상으로 인해 그의 어린 경력에 타격을 입었다. 가나의 수도 아크라에서 태어난, 아도는 1996년 클뤼프 브뤼허에서 그의 유럽 경력을...
    도서 위키백과
  • 고지마 다카노리 児島高徳, 儿岛高德
    세웠다. 하지만, 공을 논하는 논공행상에는 다카노리에 관한 기록이 없고, 이는 고지마 다카노리 부정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 겐코 3년(1333년) 센조 산 전투에서 승리한 고다이고 천황은 나와 다카토리의 기반인 주고쿠 지방 부근 근왕파의 여러 무장을 집결시켜 교토 탈환을 노렸다. 지구사 다다아키를 총대장으로...
    도서 위키백과
  • 애틀랜타 Atlanta, アトランタ
    동안 애틀랜타는 중요한 철도와 군사 공급지로 지냈다. 1864년 도시는 북군의 주요 침입의 목표가 되었다. 이제 애틀랜타에 의하여 덮어진 지역은 몇몇 전투들의 장면이었다. 북군의 윌리엄 T. 셔먼 장군은 교회와 병원들을 살려두었어도 자신의 남부로 행렬을 위한 준비에 애틀랜타가 땅으로 불에 타도록 명령을 내렸다...
    도서 위키백과
  • 메넬리크 2세 Menelik II
    큰 규모의 전투 가운데 하나인 아도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 군대에게 패하고 말았다. 그 전투가 끝난 뒤에 맺어진 협정으로 우치알리 조약이 무효가 되고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주권과 독립이 인정되었으나,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를 계속 보유할 수 있었다. 아도와 전투 이후 유럽 열강들은 에티오피아를 실질적인 정치...
    출생 :
    1844. 8. 17, 에티오피아 셰와 앙코버
    사망 :
    1913. 12. 12, 아디스아바바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이산들와나 전투 Battle of Isandlwana, 伊散德爾瓦納戰役
    평원에서 벌어진 영국군과의 싸움에서 줄루족 전사 2만 명이 대승을 거둔 전투로 총기와 신식 무기로 무장한 유럽 서방 군대가 아프리카 군대에게 최초로 패배한 전투이다. 1896년 이탈리아 군대가 에티오피아 군대에게 패한 아도와 전투와 함께 아프리카 역사에서 손꼽히는 유럽인에 대한 항쟁이다. 나탈 식민지 줄루 왕국
    도서 위키백과
  • 어드벤처 게임 Adventure game, アドベンチャーゲーム
    것은 좋으니까 어쩔수 없어!! 토가이누의 피 Lamento -BEYOND THE VOID- 귀축안경 풀 하우스 키스 졸업M 막말연화 신선조 머나먼 시공 속으로 시리즈:전투 등 RPG나 시뮬레이션 요소 있다. 별의 황녀 시리즈 MUD 로그라이크 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도서 위키백과
  • 바라티에리 Oreste Baratieri
    분위기였다. 에리트레아에서 개인 자본의 투자와 광범위한 토지 개척의 길을 연 뒤, 1895년에 국경을 에티오피아 영토까지 넓히려 했으나 1896년 아도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의 군대에게 크게 패했다. 결국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주권과 독립을 인정했다. 그는 아도와에서 패주한 일 때문에...
    출생 :
    1841. 11. 13, 오스트리아령 롬바르디아 콘디노(지금의 이탈리아에 있음)
    사망 :
    1901. 8. 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티롤 스테르칭(지금의 이탈리아 비피테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움베르토 1세 Umberto I
    국가자원에도 불구하고 열강의 군비경쟁 대열에 끼여들었으며, 아프리카 식민지 개척을 촉구했다. 프랑스와의 관세전쟁으로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으며(1888), 아도와 전투(1896)에서 에티오피아에 패배함으로써 이탈리아의 식민주의는 실패로 끝났다. 사회불안이 점점 심해지자 계엄령 선포(1898)와 특히 밀라노에서...
    출생 :
    1844. 3. 14, 사르데냐 왕국 피에몬테 토리노
    사망 :
    1900. 7. 29, 이탈리아 몬차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세계사
  • 우치알리 조약 Treaty of Ucciali
    주장을 반박했으며 1893년에는 공식적으로 조약의 파기를 선언했다. 무력을 사용하여 에티오피아를 보호국으로 선포하려는 이탈리아의 시도는 1896년 3월 1일 아도와 전투에서 패함으로써 무산되었다. 같은 해 10월 26일 아디스아바바 조약에 의해 마레브 강과 무나 강 이남 지역이 에티오피아로 반환되었으며,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에티오피아의 역사
    에티오피아가 서명한 우치알리(위찰레) 조약은 그 자체가 분쟁의 원인이 되었고, 이어서 다시 대립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1896년 메넬리크 2세가 아도와 전투에서 이탈리아를 확실하게 물리쳤다. 메넬리크 2세 당시 에티오피아는 지금의 규모로 팽창했으며, 아디스아바바와 지부티 사이에 철도가 건설되었고 수도는 신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아도와 전투(Battle of Adowa)
아도와 전투(Battle of Adow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