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불중도 팔불중관(八不中觀), 八不中道반대로 발생한 반야부의 공사상을 예리한 논파로 재정립한 용수(龍樹, Nāgārjuna: 150~250)의 중관사상이 담긴 『중론(中論, Madhyamaka śāstra)』과 『십이문론(十二門論, Dvādaśamukha śāstra)』, 그리고 그의 제자인 제바(提婆, Ā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Śataśāstra)』 등은 대역경사 구마라습(鳩摩...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구마라집과 현장은 어떤 인물인가에서 《아비달마(阿毘達磨)》의 여러 논서와 초기경전을 배웠다. 또 사차국(莎車國)의 왕자 수리야소마(須利耶蘇摩)에게 《중론》 · 《백론(百論)》 · 《십이문론》을 배웠다. 20세에 구자국의 왕궁에서 구족계를 받고 사원에서 여러 대승경론을 연구했는데, 그의 학문적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382...
-
-
용수의 영향과 저서진리의 본질에 관한 그릇된 견해를 논파했다. 그가 썼다고 하며 한역본만 전해지는 세 편은 〈대지도론 大智度論〉·〈십주비바사론 十住毘婆沙論〉·〈십이문론(十二門論) Dvādaśa-dvāra-[nikāya-]ś āstra〉이다. 티베트 불전에서만 발견되며 대체로 용수의 저서로 인정되는 세 편은 〈육십송여리론 六十頌如理論...
-
삼론종 三論宗내용 인도의 고승 용수(龍樹)의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제바(提婆)의 『백론(百論)』 등 삼론을 주요경전으로 삼아 성립된 종파이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 이 종파가 성립되었으며, 특히 고구려의 승랑(僧朗)은 중국에서 삼론학을 집대성하여 새로운 삼론종의 성립에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 성격 :
- 불교종파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