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문론 十二門論, Dvadasamukha-Sastra
    인도의 불교학자 용수가 쓴 논서.|후진의 구마라집(鳩摩羅什:344~413)이 홍시 11년(409)에 한역했으며 산스크리트 원전이나 티베트어 번역은 모두 전해지지 않는다. 이 논서는 대승불교의 여러 가지 이해를 들고 대승의 뜻은 공이며 공에 통달하지 않으면 대승에 통달할 수 없다고 하고 전체를 12문(門:章)으로 나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이문론 十二門論, 十二門論
    이문론》(十二門論, 용수(龍樹, 나가르주나)가 썼다고 전하는 불교 논서의 하나이다. 후진(後秦) 홍시(弘始) 10년(408년, 또는 11년(409년))에 쿠마라지바(鳩摩羅什, Kumarajiva)가 장안의 대사(大寺)에서 한역했으며, 별칭으로 《이문관론》(十二門觀論) ㆍ 《십이품목》(十二品目)이라고도 한다. 《중론》(中論)...
    도서 위키백과
  • 삼론 三論
    인도 용수(Nāgārjuna:150~250경)의 〈중론 中論〉·〈이문론 十二門論〉과 그의 제자 데바(Āryadeva:170~270경)의 〈백론 百論〉을 가리킨다. 이들은 모두 구마라집에 의해 중국에서 번역되었으며, 삼론종은 이 구마라집을 종조(宗祖)로 삼는다. 공통적으로 일체의 법이 공임을 설한다. 〈중론〉에서는 생성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十号, 如來十號
    95부가 있는데, 오늘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연기(緣起), 즉 공(空)에 의해 불교의 근본사상을 서술한 <중론송(中論頌)>·<이문론(十二門論)>. (2) <반야경>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부류에 속하는 <대품반야(大品般若)>의 초역으로, 당시의 여러 사상·전설·교단의 규정 등을 해설하고...
    도서 위키백과
  • 팔불중도 팔불중관(八不中觀), 八不中道
    반대로 발생한 반야부의 공사상을 예리한 논파로 재정립한 용수(龍樹, Nāgārjuna: 150~250)의 중관사상이 담긴 『중론(中論, Madhyamaka śāstra)』과 『이문론(十二門論, Dvādaśamukha śāstra)』, 그리고 그의 제자인 제바(提婆, Ā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Śataśāstra)』 등은 대역경사 구마라습(鳩摩...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구마라집과 현장은 어떤 인물인가
    에서 《아비달마(阿毘達磨)》의 여러 논서와 초기경전을 배웠다. 또 사차국(莎車國)의 왕자 수리야소마(須利耶蘇摩)에게 《중론》 · 《백론(百論)》 · 《이문론》을 배웠다. 20세에 구자국의 왕궁에서 구족계를 받고 사원에서 여러 대승경론을 연구했는데, 그의 학문적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382...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구마라집 鳩摩羅什, Kumarajiva
    逍遙園)에 머물게 하여 승조(僧肇), 승엄(僧嚴) 등과 함께 역경에 전념하게 했다. 그리하여 그는 403년(후진 弘始 5) 4월부터 〈중론 中論〉·〈백론 百論〉·〈이문론 十二門論〉·〈반야경 般若經〉·〈법화경 法華經〉·〈대지도론 大智度論〉·〈아미타경 阿彌陀經〉·〈유마경 維摩經〉·〈십송률 十誦律〉 등...
    출생 :
    구자국(龜玆國), 344
    사망 :
    413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용수의 영향과 저서
    진리의 본질에 관한 그릇된 견해를 논파했다. 그가 썼다고 하며 한역본만 전해지는 세 편은 〈대지도론 大智度論〉·〈주비바사론 十住毘婆沙論〉·〈이문론(十二門論) Dvādaśa-dvāra-[nikāya-]ś āstra〉이다. 티베트 불전에서만 발견되며 대체로 용수의 저서로 인정되는 세 편은 〈육십송여리론 六十頌如理論...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삼론종 三論宗
    내용 인도의 고승 용수(龍樹)의 『중론(中論)』과 『이문론(十二門論)』, 제바(提婆)의 『백론(百論)』 등 삼론을 주요경전으로 삼아 성립된 종파이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 이 종파가 성립되었으며, 특히 고구려의 승랑(僧朗)은 중국에서 삼론학을 집대성하여 새로운 삼론종의 성립에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성격 :
    불교종파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중국불교의 공
    三論宗)에서 잘 표명된다(→ 삼론종). 삼론종이란 구마라집이 한역한 세 논서를 중시하는 중국의 중관학파라고 말할 수 있는데, 3론은 용수의 〈중론〉과 〈이문론 十二門論〉, 그의 제자 아리아데바의 〈백론 百論〉이다. 이 삼론종에서는 공이 지닌 부정의 의미를 '파사'(破邪)라 칭하여 이것이 바로 '현정'(顯正...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삼론종 파상종, 三論宗
    '3론'(〈중론 中論〉·〈백론 百論〉·〈이문론 十二門論〉)을 널리 내세움으로써 이러한 이름을 얻었다. "모든 것은 본성적으로 실체가 없다"는 설을 거듭 천명했기 때문에 '법성종'이라고도 불린다. 삼론종은 법랑(法朗:507~581) 때부터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긴 했으나 실질적인 창시자는 길장(吉藏:549~62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중관학파 中觀學派, Madhyamika
    학파 사상가는 용수(龍樹 Nāgārjuna:150경~250경)인데, 그는 모든 것이 공이라는 교의를 발전시켰다. 이 학파의 주요경전은 용수가 쓴 〈중론 中論〉·〈이문론 十二門論〉과 그의 제자 아리아데바(Āryadeva:제바[提婆]라고 한역함)가 쓴 〈백론 百論〉이다. 불교는 세계가 순간적이며 상호연관된 사건의 우주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