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방 중격 결손 Atrial septal defect정의 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 혈류가 새는 기형을 의미합니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갑니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 분류 :
- 소아청소년질환,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심방 부정맥, 심잡음, 운동 시 호흡곤란, 잦은 상기도 감염, 청색증, 피부 긴장도 저하
- 진료과 :
- 심장내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심실 중격 결손, 방실 중격 결손, 폐성 고혈압
-
-
방실 중격 결손 Atrioventricular septal de..정의 방실 중격 결손은 방실 중격의 결손(심방 중격 결손과 심실 중격 결손)과 방실 판막의 기형이 동반된 심장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방실 중격 결손은 선천성 심장병의 4~5% 정도를 차지하는 질환입니다. 선천적 심장병은 태아의 심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하며, 태아의 심장 형성은 임신 3...
- 분류 :
- 소아청소년질환,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무증상, 빈맥, 심방 부정맥, 심부전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심장내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울혈성 심부전, 선천성 심장 질환, 심실 중격 결손, 심방 중격 결손, 승모판 기능부전, 폐성 고혈압, 다운 증후군
-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 Pulmonary atresia wit..역류로 인하여 우심방이 커집니다. 환아들은 대부분 생후 수일 내에 동맥관이 막혀서 폐혈류가 줄어들어, 심한 청색증과 대사성 산증이 나타납니다. 심방 중격 결손이 작으면 우심방 혈류가 좌심방으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심박출량이 줄어듭니다. 이에 따라 대사성 산증, 간 비대, 부종, 복수 등 우심부전증의 증상이...
- 분류 :
- 소아청소년질환,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간비대, 대사성 산증, 복수, 심방 부정맥, 전신 부종, 청색증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심장내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선천성 심장 질환, 엡스테인 심기형, 폐성 고혈압, 대사성 산증
-
사이막 Septum않는다면, 좌심방의 혈액이 우심방으로 흘러들어가 심방에 무리가 생기는 동시에 전신 조직의 산소도 부족해집니다. 이외에도 심방이나 심실의 중격에 결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격의 구조 및 이상은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기능 심장의 중격이 각각의 심실과 심방을 완벽하게 분리시켜 4...
- 관련 질환 :
- 심실중격결손, 심방중격결손, 선천성 심장질환, 동맥관개존증, 방실중격 결손
- 관련 인체 :
- 심방, 우심실, 좌심실
- 관련 검사 :
- 식도경유심장초음파검사, 심장초음파검사, 개흉술, 개심술
-
심장 心臟, heart교체한다. 선천성 심장 질환이란? 선천성 심장 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은 태어나면서부터 심장의 일부 구조가 비정상적이어서 생기는 질환으로, 심방중격결손(心房中隔缺損, atrial septal defect), 심실중격결손(心室中隔缺損, ventricular septal defect)이 대표적이다.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
-
전폐정맥연결 이상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가며, 나머지는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실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우심방에서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서 좌심방과 좌심실로 흘러들어온 혈류만이 체혈류량, 즉 심박출량을 결정하므로 심방 중격 결손이 커야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모든 폐정맥의 혈류가 우심방으로 유입되므로 단순 심방 중격 결손보다 폐혈류...
- 분류 :
- 소아청소년질환,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발육부전, 부정맥, 빈호흡, 수유 곤란, 운동 시 호흡곤란, 잦은 상기도 감염, 청색증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선천성 심장 질환, 심방 중격 결손, 풍진
-
단심실 Single ventricle완전히 막혀 있습니다. 우심실이 작으며, 여기에서 대동맥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심실 중격 결손이 작으면 대동맥으로의 혈류에 지장이 생깁니다. 또한 심방 중격 결손도 커야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에게 이런 기형이 발견되면 즉시 풍선을 이용한 심방 중격 절개술을 해 주어야 합니다. 대동맥궁의 축착이나...
- 분류 :
- 소아청소년질환,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무산소 발작, 심부전, 청색증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선천성 심장 질환, 심실 중격 결손, 방실 중격 결손, 대혈관 전위,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
-
홀트-오람 증후군 Holt-Oram syndrome모두에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이며, 환자의 75% 정도가 선천성 심장기형을 갖고 있습니다. 이 질환의 발생 빈도는 10만 명당 1명 꼴입니다. 심방중격결손이나 심실중격결손과 같은 심장 기형을 가진 신생아의 500명당 1명 정도가 이 질환의 환자일 수 있습니다. 원인 홀트-오람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 분류 :
- 유전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진료과 :
- 의학유전학과
- 관련 질환 :
- ARC 증후군, 베크위트-위드만 증후군, 코넬리아드랑게 증후군 ,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 연골외배엽 이형성증 , 판코니범혈구감소증, 골덴하 증후군, 클리펠-트라우네이-베버 증후군, 다발성 흑자 증후군, 마르판 증후군 , 누난 증후군 , 루빈스타인 테이비 증후군 , 러셀 실버 증후군 , 대뇌성 거인증 ,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 , 바르덴부르크 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