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마쿠스 Quintus Aurelius Memmius Symmachus
    로마 원로원 의원, 귀족.|친구인 철학자 보이티우스가 그의 딸 루스티키아나와 결혼했다. 심마쿠스와 보이티우스는 동고트족의 왕 테오도리크에게 반역죄로 처형당했다. 485년에 콘술(집정관)이 된 심마쿠스는 사위인 보이티우스와 마찬가지로 테오도리크의 정부에서 관리로 일했다. 보이티우스가 반역 혐의를 받게 되...
    출생 :
    미상
    사망 :
    524, 리구리아 파비아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교황 심마코 (관련어 심마쿠스) Pope Symmachus, シンマクス (ローマ教皇)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심마코이다. 그의 재위기간은 대립교황과의 알력으로 잠시도 평화스러웠던 날이 없었다. 사후 기독교의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7월 19일이다. 심마코는 당시 반달족의 영토였던 사르데냐 태생으로 포르투나투스의 아들이었다. 본래 이교도로 태어난 그는 대부분 귀족 집안 출신이었던 ...
    도서 위키백과
  • 구약성서의 초기 역본
    역을 개정한 것인지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2세기 후반에 테오도티온이라는 사람이 개정했다. 히브리어 음역의 빈도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심마쿠스의 역본 2세기말 심마쿠스가 번역했다. 번역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번역은 우수하지만 영향력은 미미했다. 예로니모가 그의 불가타 역에서 심마쿠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심마코 Saint Symmachus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것으로 보이며, 로마 교회에서 대부제로 있다가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에 이어 교황이 되었으나, 이때 소수파는 비잔티움 일파의 강한 후원으로 대사제 라우렌티우스를 교황으로 선출했다. 498년 11월 22일에 두 사람 모두 축성을 받자 이들을 지지하는 일파들은 각각 동고트족의 테오도리쿠스 대왕...
    출생 :
    ?, 사르데냐
    사망 :
    514. 7. 1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 Quintus Aurelius Symmachus..
    간단히 심마쿠스는 로마의 귀족이다. 심마쿠스의 아버지는 갈리아 출신의 고위관료였다. 심마쿠스는 회계감사관으로 공직을 시작한 뒤, 원로원 의원이 되어 원로원에 들어갔고, 그 다음은 법무관으로 선출되었다. 이탈리아 반도 내의 주지사를 거쳐 집정관으로 진출하였다. 그리고 수도관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그는...
    도서 위키백과
  • 라우렌티우스 Laurentius
    11. 19) 두 파벌이 서로 대립했는데, 그중 하나는 아나스타시우스의 정책을 옹호한 대사제 라우렌티우스가 이끌었고, 다른 하나는 사르디니아 출신 부제 성 심마쿠스가 이끌었다. 3일 뒤 소수파 성직자들은 라우렌티우스를, 다수파 성직자들은 심마쿠스를 교황으로 선출했다. 당시 이탈리아를 지배하던 동고트족의 왕 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프루덴티우스 Prudentius
    또 〈영혼의 경쟁〉에서는 우상숭배적 신앙과 그에 따르는 악덕에 대항하는 기본덕목에 입각한 신앙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이교도 원로원 의원이었던 심마쿠스가 원로원 내에 '승리의 제단'을 복원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자, 그에 대한 반론을 〈심마쿠스에 대한 반박 Contra Symmachum〉(2권)이라는 책을 통해 제시했다...
    출생 :
    348, 스페인 카에사라우구스타
    사망 :
    405 이후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그라티아누스 Gratianus
    재임 후반기에 성 암브로시우스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리스도교를 존중했고, 로마 황제 가운데 처음으로 칭호에서 폰티펙스 막시무스[大神官]라는 말을 뺐으며, 로마 원로원에 있는 승리의 여신상을 없애라고 명령했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가 이끄는 원로원 사절단이 이 명령의 취소를 종용했으나 거절당했다...
    출생 :
    359, 판노니아 시르미움
    사망 :
    383. 8. 25, 루그두넨시스 루그두눔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우렐리우스 씨족 Aurelia gens, アウレリウス氏族
    오레스티데스 일족은 '그나이우스'를 추가하였다. 제정 시대의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일족은 '티투스, 마르쿠스, 루키우스'를 사용한 반면,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 일족은 '퀸투스와 루키우스'를 사용했다. 공화정 시기에는 '코타(Cotta, Cota), 오레스테스(Orestes), 스카우루스(Scaurus)' 등 코그노멘으로 구분되는...
    도서 위키백과
  • 교황 보니파시오 1세 Pope Boniface I, ボニファティウス1世 (ローマ教皇)
    장악했기 때문에 보니파시오 1세의 로마 주교 착좌식은 하는 수 없이 산 마르첼로 알 코르소 성당에서 거행되었다. 로마 시 총독 아우렐리우스 아니키우스 심마쿠스는 로마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보니파시오 1세와 에울랄리오 양측에게 불상사를 일으키지 말라고 사전에 경고하는 한편, 에울랄리오가 먼저 선출되었기...
    도서 위키백과
  • 마크로비우스 Macrobius, マクロビウス
    마크로비우스 테오도시우스"로 불렀으며, 생전에는 "테오도시우스"로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데 디페렌티이스》의 헌정사는 "테오도시우스가 그의 심마쿠스에게"(Theodosius Symmacho suo)라고 되어 있으며, 아비아누스의 《우화집》에 대한 헌정 서한에서는 "가장 위대한 테오도시우스"(Theodosi optime)로 언급...
    도서 위키백과
  • 천주의 어린 양 天主∼羊, Agnus Dei
    53,7에서 나왔다). 그러나 이 문구의 반복은 ‘하늘에는 천주께 영광’(Gloria in excelsis)에서 처음 발견되며 로마에서 미사에 소개된 것은 교황 성 심마쿠스(St. Symmachus, 재위 : 498∼514)에 의해서였으며 시리아의 세르지오(Sergius) 1세(재위 : 687∼701)는 이것을 독립시켜서 성체 분할(分割) 때 부르게 하였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