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질임금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명목임금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실제 구입할 수 있는 수량 즉,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것을 실질임금이라고 한다. 물가상승률이 명목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
  • 실질임금 實質賃金, real wage
    생산과정에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임금실질적인 구매력.|노동자가 지불받는 임금의 가격을 단순히 화폐액으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하는 데 반해, 실질임금은 그 명목임금으로 실제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의 수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질임금은 화폐액이 아니라 상품수량을 단위로 해서 표시한다. 명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실질임금 實質賃金
    실질임금이란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한다. 물가상승률이 명목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어 실제 구매력은 감소하게 된다.
  • 실질임금
    실제구매력 변화를 평가할 수 있도록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화폐임금이다. 물가상승 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임금, 즉 실질적인 구매력으로 나타낸 임금으로서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즉, 실질임금=(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100이다. 명목임금은 특정 시점의 통화가치로 파악한 임금으로 그 시...
  • 실질임금 實質賃金, real wage
    실제구매력 변화를 평가할 수 있도록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화폐임금이다. 물가상승 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임금, 즉 실질적인 구매력으로 나타낸 임금으로서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실질임금 실질임금 =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 × 100 명목임금은 특정 시점의 통화가치로 파악한 임금으로 ...
  • 명목소득/실질소득 Nominal income/Real income
    하락하므로 수시로 발표되는 다양한 경제지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명목(nominal)과 실질(real)의 개념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국내총생산에 대한 명목GDP ・ 실질GDP, 임금에 대한 명목임금실질임금, 이자율에 대한 명목이자율 ・ 실질 이자율 등은 명목지표와 실질지표를 구분하는 한 예라...
  • 임금 賃金
    따라서 형성된 개념이다. 넓은 의미의 임금은 제도와 체제를 불문하고 노동의 대가로 받는 모든 재화를 화폐가치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임금은 명목임금실질임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정한 범위내의 노동자들의 평균임금임금수준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임금수준은 그 분석목적에 따라 명목임금을 물가...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명목 소득 / 실질 소득
    경제 형편은 얼마나 물가가 상승했는지에 따라 좋아졌을 수도 있고 나빠졌을 수도 있다. 만일 물가가 10%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10이 되었다면 현재의 실질 임금은 기준 연도와 마찬가지로 500만원으로 변함이 없다. 그러나 물가가 5%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05가 되었다면 실질 임금은 524만 원이 되어 경제 형편은...
  • 지표 · 지수 지표, 지수가 뚜렷하게
    연봉이 5% 올랐다면 명목임금 상승률은 5%. 실질이 붙은 통계는 모두 물가상승분만큼을 빼준 거야. 작년보다 올해 물가가 6% 올랐다면 광필이의 실질 임금 상승률은 명목임금 상승률 5%에서 물가상승률 6%를 빼야 하므로 -1%로 오히려 줄어든 셈이야. 올해 10월에 추석이 있으면 소매판매액이 껑충 뛰겠지? 그래서 다음...
  • 노동과 임금의 분배
    한편 맬서스는 인구법칙을 토대로 하여 임금은 노동의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는 임금생존비설을 제시했다. 노동의 공급은 무한하기 때문에 임금은 노동의 수요와 무관하게 결정되며, 실질임금은 최저생계비 수준으로 하락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임금생존비설은 맬서스 이후 고전학파 임금결정이론의 중심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임금이론
    증가될 수 있으나 어느 한 순간에는 이미 사전적으로 결정되어져 있다는 것으로 임금수취계급은 이 기금을 자기들 사이에 배분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평균실질임금수준은 근로자의 수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게 되며 임금기금을 근로자수로 나눈 것이 임금수준이라는 것이다. 노동가치설은 K. 마르크스에 의해 주창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임금의 하방 경직성
    근로자들이 명목 임금이 하락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고전학파에 따르면 노동 시장에서 실질 임금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시장은 항상 균형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자발적 실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케인스학파는 경기 침체기에 물가가 하락하더라도 명목 임금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