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질임금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명목임금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실제 구입할 수 있는 수량 즉,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것을 실질임금이라고 한다. 물가상승률이 명목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
-
-
명목소득/실질소득 Nominal income/Real income하락하므로 수시로 발표되는 다양한 경제지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명목(nominal)과 실질(real)의 개념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국내총생산에 대한 명목GDP ・ 실질GDP, 임금에 대한 명목임금 ・ 실질임금, 이자율에 대한 명목이자율 ・ 실질 이자율 등은 명목지표와 실질지표를 구분하는 한 예라...
-
임금 賃金따라서 형성된 개념이다. 넓은 의미의 임금은 제도와 체제를 불문하고 노동의 대가로 받는 모든 재화를 화폐가치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임금은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정한 범위내의 노동자들의 평균임금을 임금수준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임금수준은 그 분석목적에 따라 명목임금을 물가...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명목 소득 / 실질 소득경제 형편은 얼마나 물가가 상승했는지에 따라 좋아졌을 수도 있고 나빠졌을 수도 있다. 만일 물가가 10%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10이 되었다면 현재의 실질 임금은 기준 연도와 마찬가지로 500만원으로 변함이 없다. 그러나 물가가 5%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05가 되었다면 실질 임금은 524만 원이 되어 경제 형편은...
-
-
노동과 임금의 분배한편 맬서스는 인구법칙을 토대로 하여 임금은 노동의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는 임금생존비설을 제시했다. 노동의 공급은 무한하기 때문에 임금은 노동의 수요와 무관하게 결정되며, 실질임금은 최저생계비 수준으로 하락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임금생존비설은 맬서스 이후 고전학파 임금결정이론의 중심을...
-
임금의 하방 경직성근로자들이 명목 임금이 하락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고전학파에 따르면 노동 시장에서 실질 임금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시장은 항상 균형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자발적 실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케인스학파는 경기 침체기에 물가가 하락하더라도 명목 임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