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로폰 목금, xylophone
    실로폰은 동남아시아나 오세아니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근대 실로폰은 목재판이 틀에 붙어 있고 공명체도 붙어 있다. 인도네시아의 감방은 공명체 역할을 하는 나무통 가장자리에 나무막대들을 연결·고정시켰다.|나무막대들의 매듭점(nodal point : 전혀 진동하지 않는 지점으로, 변위량이 0임)에 해당하는 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실로폰 Xylophone
    테킬라, 카카오브라운리큐르를 주재료로 하는 칵테일|만드는 법 1. 블랜더에 테킬라, 카카오브라운리큐르, 크림, 설탕시럽, 크러쉬아이스를 넣는다. 2. 블랜더에 클러쉬드아이스를 넣고 블랜더로 10초간 갈아준다. 3. 준비된 글라스에 따라준다.
    주재료 :
    데킬라 : 카카오브라운리큐르 = 30ml : 15ml
    부재료 :
    크림 : 설탕시럽 = 30ml : 15ml
    제조법 :
    블렌딩
    글라스 :
    칵테일
    장식 :
    카카오파우더
    도서 칵테일백과 | 태그 술/음료
  • 실로폰 Xylophone, シロフォン
    악기 정보 실로폰 또는 목금(木琴)은 길고 짧게 만들어 조율된 다수의 나무 조각을 늘어놓고 두드려 가락을 연주하는 타악기이다. 글로켄슈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타악기라면, 실로폰은 목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목금'이라고도 한다. 실로폰은 세계 각지, 특히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도서 위키백과
  • Xylophone 실로폰, シロフォン
    The xylophone (from the Greek words —xylon, "wood" + —phōnē, "sound, voice", meaning "wooden sound") is a musical instrument in the percussion family that consists of wooden bars struck by mallets. Each bar is an idiophone tuned to a pitch of a musical scale, whether pentatonic or heptatonic ...
  • 공포의 실로폰 Monster in the Closet, 壁櫥裡的怪物
    영화 정보 《공포의 실로폰》은 1986년 공개된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도널드 그랜트 데니즈 두레이 클로드 아킨즈 하워드 더프 헨리 깁슨 도널드 모팻 폴 둘리 존 캐러딘 제시 화이트 프랭크 애쉬모어 폴 워커 스텔라 스티븐스 협력프로듀서: 마이클 빌롯 협력프로듀서: 테렌스 코리 협력프로듀서: 로버트 록 미술...
    도서 위키백과
  • 마림바 marimba
    마림바는 아프리카에서 실로폰을 가리키는 여러 이름들 중 하나이며 소리막대 각각에 음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호리병박을 공명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몇몇 음악인류학자들은 호리병박을 공명체로 삼은 실로폰을 그밖의 실로폰과 구별하기 위해 마림바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실로폰은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몸울림악기의 역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율을 연주할 수 있게 되며, 선율적 기능도 증가하게 된다. 조율된 나무판들을 해머로 쳐서 소리내는 실로폰이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되었다. 최초의 실로폰은 나무판들이 밀짚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밀집 피들(straw fiddle)이라고 했다. 심벌즈·캐스터네츠·트라이앵글은 르네상스 시대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죽음의 무도 카미유 생상스, La Danse macabre Op.40
    이용함으로써 더욱 환상적이고 생생한 묘사를 하였는데, 특히 죽음에 의해 연주되는 바이올린의 음산한 불협화음과 해골들이 부딪히는 소리를 형상화한 실로폰 음은 생상스 특유의 표현력을 잘 보여준다. 또한 〈죽음의 무도〉에서는 원작시의 묘사만이 아니라 죽음에 대한 생상스 자신의 해학적인 해석도 엿볼 수 있다...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교향시
    제작시기 :
    1874년
    작곡가 :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Saëns, 1835~1921)
    초연 :
    1875년, 파리
    출판 :
    1875년
    헌정 :
    Madame C. Montigny Remaury(1843~1913)
    구성 :
    1악장
    편성 :
    오케스트라(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실로폰, 베이스 드럼, 심벌즈, 트라이앵글, 하프, 현악기)
  • 타악기의 종류
    타악기는 크게 음정이 있는 팀파니·실로폰·벨 등과 음정이 없는 큰북·작은북·심벌즈·트라이앵글·탬버린·캐스터네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는 몸 자체가 울리는 몸울림 악기와 막이 울려 소리를 내는 막울림 악기로 나누기도 한다. 타악기는 재료와 모양도 다양하지만 소리를 내는 방법도 다채롭다. 몸울림 악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현과 타악기,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벨라 바르토크, Music for Strings, Percussion and Celesta (Musik für Saiteninstrumente, Schlagzeug und Celesta) Sz.106 BB114
    바르토크는 이 악장에서 독특한 주법들을 통해 민속음악과 수학적 원리를 함께 구현해 내고 있다. 팀파니가 이례적인 주법인 글리산도를 구사하고, 실로폰이 매우 큰 비중으로 사용되었다. 독특한 리듬의 실로폰 연주로 악장이 시작되는데, 이 리듬은 피보나치수열에 따른 것이다. 수학적 원리를 음악으로 구현하려 했던...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36년
    작곡가 :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1881~1945)
    초연 :
    1937년 스위스 바젤
    편성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하프, 실로폰, 스네어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즈, 탐탐, 팀파니, 첼레스타, 피아노
  • 타악기의 특징
    타악기는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연주법이 단순해서 지역이나 민족별로 셀 수 없이 많은 종류가 있다. 팀파니나 실로폰처럼 음정이 있는 타악기도 있지만 북처럼 음정 없이 반복적인 리듬으로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음의 세계로 몰입하게 하는 것이 타악기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타악기는 재료에 따라 음색이 다양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음악
  • 타악기 打樂器, percussion instrument
    막울림악기는 북같이 부착된 막을 진동시켜 소리내는 타악기이다. 두 그룹 모두 음높이가 분명한 악기와 불분명한 악기의 2가지로 나뉜다. 팀파니·벨·실로폰은 분명한 음높이를 낼 수 있으며, 작은북·트라이앵글·딱딱이·딸랑이(rattle)·심벌즈는 음높이가 불분명하다. 음높이를 지닌 것은 선율에 사용되지만 본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실로폰
실로폰
실로폰(xylophone)
물실로폰
실로폰으로 만든 와인 오프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