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God Save the Qu..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케리(1687경~1743)가 원작자일 가능성이 높다. 가사는 1745년에 출판된 〈신사 잡지〉에 처음 나타나며, 그 가락은 〈음악사전〉이라는 선집에 나온다. 1745년 런던에 있는 두 극장에서 연주된 뒤 그 가락은 작곡가들이 빈번히 사용하였다. 이 가락은 유럽 대륙으로 건너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신이여 뉴질랜드를 보호하소서 God Defend New Zealand
    곡을 붙인 것으로서 1876년 처음으로 공개 연주되었다. 1940년 정부는 이 노래를 비공식 국가로 채택하고(뉴질랜드의 공식 국가는 그때까지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였음) 곡의 판권을 샀다. 이어서 1977년 이 노래가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와 동등한 공식 국가로 인정받게 됨에 따라 뉴질랜드의 국가는 2개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영국의 국가 God Save the King, 国王陛下万歳
    되어야 함을, 만국이 보게 하소서.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5 보이지 않는 모든 적들로부터, 모든 암살자의 습격으로부터 우리 국왕(여왕) 폐하를 구하소서! 그 팔을 국왕(왕) 폐하 위에 펼치사 브리튼을 위하여 지키소셔. 우리 국모와 황태자와 벗을 지키시길!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6...
    도서 위키백과
  • 오스트레일리아여 굳세게 전진하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Advance Australia F..
    1984년 4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로 채택된 이 곡은 1974년 처음으로 국가로 정식 제기되었다. 따라서 1788년부터 국가로 불리던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God Save the Queen〉는 1984년부터 왕족 일가가 국민 앞에 공식적으로 나타날 때 연주하는 왕실송가로 바뀌게 되었다(→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국가 國歌, national anthem
    개요 한 나라를 상징하기 위해 제정되고 통용되는 노래. 주로 민족적·애국적 정서가 나타나 있다. 가장 오래된 국가는 영국의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God Save the Queen)〉이며 18세기 중엽 이후 애국적인 노래로 널리 알려져 황실 의식에서도 자주 부르다가 1825년 국가로 지정되었다.영국의 뒤를 이어 19, 2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오 캐나다 O Canada
    1980년 7월 1일 제정되었고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God Save the Queen〉는 계속 캐나다의 왕실 송가로 남아 있다. 이 곡은 1880년 베르세즈 출신 피아니스트인 칼릭사 라발리(1843~91)가 퀘벡 주를 방문했을 때 당시 캐나다의 총독이었던 론 경(후일 아르길 공작이 됨)과 부인 루이 공주(빅토리아 여왕의 딸)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헨리 캐리 케리, Henry Carey
    소극, 벌레스크, 발라드 오페라, 막간촌극 등의 대사와 곡을 쓰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은 〈정직한 요크셔 사람 The Honest YorkshireMan〉(1735)이다. 그가 목을 매 자살한 뒤 그의 아들은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 God Save the Queen〉가 아버지의 작품이라고 주장했지만 아직 입증되지 않고 있다...
    출생 :
    1687경, 잉글랜드
    사망 :
    1743. 10. 4,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God Save the Quee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