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천시립극단 仁川市立劇團설립목적 인천시립극단은 1990년 7월 한국의 연극예술을 도모하고, 인천 시민의 연극 관람 기회를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창단되었다. 시민의 사랑을 받는 극단, 기능과 이론을 고루 갖추도록 공부하는 단원, 미래연극을 창조하는 작업을 운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재미와 의미가 공존하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연극을...
- 시대 :
- 현대
- 위치 :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로 94(구월동 1408번지)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 설립 :
- 1990년 6월 28일
- 성격 :
- 관립연극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윤조병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서울시극단 ─市劇團설립목적 서울시극단은 시민의 사랑을 받는 친화력 있고 참신성 있는 연극예술의 창달, 연극인과 동호인은 물론 전 시민 전 계층을 포용하는 축제적 연극 및 발랄한 현실인식과 투철한 역사의식의 바탕 아래 ‘시민연극’의 수립을 목표로 창단되었다. 또한 이 극단은 공공성·예술성·대중성을 균형 있게 추구하며...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1-3 세종문화회관
- 설립 :
- 1997년 1월 1일
- 성격 :
- 연극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의경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부산시립극단 釜山市立劇團[설립 목적] 부산시립극단은 부산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연극 감상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 의식을 고양하고, 연극인들에게는 고정적인 수입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연극 예술 활동에 전념하게 하여 수준 높은 작품 제작으로 시민들에게 예술 감상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시립극단은...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남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오슨 웰스 조지 오슨 웰스, Orson Welles머큐리극단의 배우들과 함께 CBS 라디오에 출연하며 드라마를 만들기도 했는데, 1938년에 제작한 <우주전쟁>(War of the Worlds)은 화성인이 지구를 침공했다는 가상 드라마를 속보 보도 형식으로 연출하여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화성인들이 뉴저지 주를 공격하고 있다고 알리는 부분에서, 방송 내용을 실제상황으로...
- 출생 :
- 1915년 5월 6일
- 사망 :
- 1985년 10월 10일
- 본명 :
- 조지 오슨 웰스(George Orson Welles)
- 수상 :
- 1941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감독상 및 최우수남우주연상(<시민 케인>), 1942년 아카데미 최우수각본상(<시민 케인>), 1952년 칸국제영화제 심사위원대상(<오셀로>), 1966년 칸국제영화제 기술대상(<심야의 종소리>)
- 데뷔 :
- <시민 케인>(Citizen Kane, 미국, 1941)
-
-
-
폴 포트, 불량 시민은 교도시키는 것보다 제거하는 편이 수월 역사 인물 미스터리가까운 시민이 아무런 대비책이 없이 자기 거주지에서 쫓겨났다. 그리고 강제 행군, 무더위, 식량과 식수 · 의약품의 부족으로 무려 40만 명이 사망했다. 하지만 폴 포트는 노동의 순수성을 굳게 믿었으므로 개인주의는 마땅히 제거되어야 한다고 확신했다. 개인주의적 사고를 철저히 파괴할 때 비로소 집단주의 체제에...
-
전문청소년극단 눈동자 專門靑少年劇團 눈瞳子저변 확대를 통해 건전한 청소년 문화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2013년 현재 극단 대표는 박태룡이며, 단원으로 부산 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0여 명이...청소년극단 눈동자는 청소년 스스로의 연극 작업을 통해 스스로 주체적인 시민 사회의 공동 구성원임을 자각하고, 건전한 삶을 가꾸어 나가게 지원하는...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극단 열린 무대 劇團 열린 舞臺8월에 열린 소극장 운영권이 극단 이그라의 최성우에게 넘어가면서 열린 아트 홀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사실상 극단이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극단 열린 무대는 1990년 3월 2일부터 그해 3월 5일까지 부산 시민 회관 소극장에서 「금강 1894」로 창단 공연을 하면서 부산 지역의 창작극 중심 공연...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