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진속이제 (관련어 승의제) Two truths doctrine, 二諦
    불교 진속이제(眞俗二諦)는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통칭하는 불교 용어로, 줄여서 이제(二諦)라고도 한다. 진제(眞諦, 속제(俗諦)는 세속제(世俗諦) 또는 세제(世諦)라고도 한다.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진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제(諦)란 진리를 뜻하나, 속제는 세상의 일...
    도서 위키백과
  • 해심밀경 解深密經
    위하여 설하여진 것이다. 여러 가지 한역본 가운데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것은 당나라 현장(玄奘)의 번역본이다. ① 서품(序品), ② 승의제상품(勝義諦相品), ③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④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⑤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 ⑥ 분별유가품(分別瑜伽品), ⑦ 지바라밀다품(地波羅蜜...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해심밀경 解深密經
    연구되었다. 범어 원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장의 한역본과 티베트역, 북위(北魏)의 보리유지[菩提流支]가 번역한 한역본이 전한다. 본문은 〈서품 序品〉·〈승의제상품 勝義諦相品〉·〈심의식상품 心意識相品〉·〈일체법상품 一切法相品〉·〈무자성상품 無自性相品〉·〈분별유가품 分別瑜伽品〉·〈지바라밀다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중관학파의 공
    한편으로 사람들을 깨우치기 위해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논리에 따라 중관학파의 학자들도 역시 변증론을 전개한다. 여기에는 용수의 중요한 교설로서 승의제(勝義諦:최고의 진리, 반야에 의한 직관의 대상)와 세속제(世俗諦:세간적인 진리)라는 이제설(二諦說)이 있다. 승의제는 항상 세속제를 초월하여 사유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진속이제 眞俗二
    제(諦)는 산스크리트 사트야(satya)의 번역어로 '거짓이 없는 참다운 진리', '변하지 않는 진리' 등을 뜻하는 말이다. 진제는 제일의제·승의제라고도 하는데, 성자가 깨달은 참다운 진리의 가르침으로 출세간적인 진리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 'paramārtha-satya'를 번역 한 것이다. 속제는 세속제·세제라고도 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가사 소수의, 袈裟
    오래된 가사이다. 고려시대에는 위로는 금란가사(金爛袈裟)에서 아래로는 백저착의(白紵窄衣)까지 그 종류가 다양했다.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실려 있는 승의제도(僧衣制度)에 의하면, 국사(國師)·율사(律師)는 장수편삼(長袖偏衫)·가사(袈裟)·자상(紫裳)을 입었고, 대덕(大德)은 단수편삼(短袖偏衫)·토황색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여래장연기 如來藏緣起
    實際)·허공계(虛空界)·부사의계(不思議界)·무상(無相)·승의(勝義)·실상묘유(實相妙有)·여여(如如)·불성(佛性)·중도(中道)·제일의제(第一義諦)·승의제(勝義諦)·일심(一心)·본각(本覺)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의 일상적 안목이나 감각적 표상(表象)이 아닌 진실한 세계라는 뜻이다. 대승불교의 제파(諸派...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업감연기 業感緣起
    결과가 중첩되면서 수레바퀴처럼 계속 윤회하는 인과관계를 삼세양중인과(三世兩重因果)라고 부른다. 의의와 평가 원측(圓測: 613~696)은 '궁극적 진리인 승의제(勝義諦)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일체의 유위법은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해심밀경(解深密經)』 경문에 대한 주석에서 진제(眞諦...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