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스팀슨 Henry L(ewis) Stimson
    미국의 정치가.|1930~40년대 미국 외교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11~45년 대통령이 5번이나 바뀌었으나 계속 행정부에서 일했다. 1891년 뉴욕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고 1906~09년 뉴욕 주 남부지역에서 미국 정부 변호사로 일했다. 1911~13년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이 이끄는 내각에서 육군장관을 역임했으며 ...
    출생 :
    1867. 9. 21, 미국 뉴욕 시
    사망 :
    1950. 10. 20, 뉴욕 헌팅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언더우드관 · 아펜젤러관 · 스팀슨관 · 핀슨관 옛 캠퍼스에서 누리는 고딕풍..
    연세대 캠퍼스에는 고풍스런 옛 건물이 참 많다. 백양로 끝자락에는 언더우드관·아펜젤러관·스팀슨관 세 개의 사적이 모였다. 가을날 담쟁이가 무성하니 옛 캠퍼스를 걷는 낭만이 고스란하다. 핀슨관기숙사을 나선 시인 윤동주도 이 길 위에서 시상을 떠올렸으려나. 독수리 다방 지나 백양로를 걸어 차들로 빽빽한...
    위치 :
    연세대학교
    소재지 :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262 연세대학교
    가는 법 :
    지하철 2호선 신촌역 2·3번 출구. 연세대 방면 직진. 연세대 정문 지나 직진 백양 삼거리. 간선버스 153, 163, 171, 172, 272, 370, 470, 601, 606, 607, 708, 710, 750A, 750B번, 지선버스 6714, 7017, 7613, 7713, 7720, 7726, 7727, 7728, 7737번, 마을버스 서대문03번 연세대 앞 하차
    사이트 :
    http://www.yonsei.ac.kr
  •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 서울 延世大學校 Stimson館
    개설 1981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연세대학교에 최초로 세워진 석조 건물로서,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던 찰스 스팀슨(Charls S. M. Stimson)의 기부금으로 1919년에 착공하여 1920년에 완성되었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석조 마감의 건물이다. 역사적 변천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 언더우드(한국 이름 원두우) 목사가 고향인 미국으로 돌아가서 항구적인 학교 건축을 위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던 찰스 스팀슨의 기부금을 얻어놓고 세상을 떠난 뒤 후임 교장인 에비슨이 그 기부금으로 건립한 것이다. 유가족인 언더우드 부인이 초석을 놓았고 당시 화학과 교수인 밀러가...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문화재 지정 :
    사적 제275호(1981년 9월 25일 지정)
  • 연세대학교 스팀슨
    이 학교는 1917년에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도서 위키백과
  • 정복 征服, conquest
    결국 그러한 전쟁으로 얻은 이익에 대한 합법적인 승인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1932년 1월 미국의 국무장관 헨리 L. 스팀슨이 발표한 스팀슨 선언에는 이러한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스팀슨 독트린). 국제연맹 총회와 미국 공화당의 몇몇 위원회가 이 선언을 지지하고 나섰다. 1949년에 UN의 국제법위원회가 마련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번디 McGeorge Bundy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내면서 대외정책 입안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뉴잉글랜드의 명망가 출신으로 아버지 하비 H. 번디는 후버 행정부 시절 헨리 스팀슨 국무장관 밑에서 차관으로 일했다. 1940년 예일대학교를 졸업한 뒤 다음해 하버드대학교의 석사과정에 들어갔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정보장교가...
    출생 :
    1919. 3. 30,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사망 :
    1996. 9. 16, 보스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프랭크퍼터 Felix Frankfurter
    미국에서 영주했던 프랭크퍼터는 뉴욕시립대학과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공부했고, 1914~39년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06~09년 헨리 L. 스팀슨이 뉴욕 남부지구 연방검사를 지낼 때 그를 보좌했고(1906~09),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 재임시 육군장관으로 봉직했다(1911~13). 프랭크퍼터는...
    출생 :
    1882. 11. 15, 오스트리아 빈
    사망 :
    1965. 2. 22, 미국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핵분열무기의 역사
    투입될 예정이었던 핵무기가 일본으로 그 목표를 이동하게 되었다. 1945년 4월 12일 루스벨트 대통령 사후 그 뒤를 이은 트루먼 대통령은 전쟁장관 헨리 스팀슨으로부터 원자폭탄 개발상황에 대해 간단한 브리핑을 받았다. 그후 4월 25일 스팀슨은 그로브스의 도움을 받아가며 트루먼 대통령에게 더욱 자세하게 진행상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이대와 연대 색다른 대학로를 걸어보시길
    귀퉁이의 아름다운가게 신촌책방과 조금 떨어진 연희교차로의 연희동 프로젝트까지 둘러본다면 알맞게 배부른 느낌의 산책이 될 듯. 코스1 아트하우스 모모 → 연대동문길 → 김옥길기념관 → 서대문 안산 코스2 아트하우스 모모 → 아름다운가게 신촌책방 → 언더우드관·아펜젤러관·스팀슨관·핀슨관 → 연희동 프로젝트
  • 덕종어보 德宗御寶
    몸체 위에 거북 모양의 어보 손잡이가 있으며, 거북의 눈과 코, 입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거북 길이 13㎝, 높이 9.2㎝이다. 덕종어보는 토머스 D. 스팀슨이 1962년 미국 뉴욕에서 구입해 이듬해 2월 시애틀미술관에 기증했다. 시애틀미술관이 소장 중이었던 덕종어보는 2015년 4월 1일 한국으로 공식 반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유물
  • 스워프 Herbert Bayard Swope
    동안 〈뉴욕 월드〉지는 퓰리처상을 3차례 수상했으나 1929년 그가 은퇴하자 더이상 수상의 영광을 얻지 못했다. 은퇴한 후, 스워프는 미국 행정부에서 여러 고문직을 지냈고, 1934년부터 11년간 뉴욕 주 자동차경주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대전중인 1942~46년 미국방장관 헨리 L. 스팀슨의 고문역을...
    출생 :
    1882. 1. 5, 미국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사망 :
    1958. 6. 20, 뉴욕 롱아일랜드 샌즈포인트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론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1건

스팀슨, 샤도네이
스팀슨, 메를로
스팀슨, 까베르네 소비뇽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 아펜젤러관 · 스팀슨관 · 핀슨관
연세대학교스팀슨관(Stimson Hall)
연세대학교스팀슨관(Stimson Hall)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정측면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정측면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정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