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물리학자.|전신술·광학·사진술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했다. 1825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832년 뮌헨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849~52년 오스트레일리아 전신체계를 조직한 다음 뮌헨으로 돌아가 상업장관의 기술고문이 되었다. 1838년 전선 끝을 땅에 묻으면 지구...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는 있지만 시야가 좁고 작업거리(초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전면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결점이 있다. ④ 슈타인하일(Steinheil)과 헤이스팅스(Hastings) 색지움렌즈:현재 사용되고 있는 확대경용 색지움 이중렌즈 또는 삼중렌즈는 거의 모두 여기에 속한다(→ 슈타인하일...
1787년 로몬드가 부호의 관념을 도입했고, 1832년 실링이 5개 전선으로 단위 펄스의 병렬 전송에 의한 조합으로 통신을 시도했다. 1836년에 독일의 슈타인하일이 2가지 음을 내는 음향기에 의한 청음 수신을 시작했으며, 1837년에는 미국인 모스가 모스 부호와 모스 인자기를 발명했다. 이어 모스는 1844년 세계 최초로...
렌즈이다. 고스트 현상을 줄였으므로 투과율이 약간 개선이 되고, 마주치는 렌즈 면의 곡률차로 인해서 발생한 오차도 줄였다. 슈타인하일 이중렌즈는 칼 아우구스트 폰 슈타인하일이 고안한 플린트 렌즈가 앞에 있는 이중렌즈다. 프라운호퍼 이중렌즈와는 달리 네거티브 렌즈가 앞에 있고, 포지티브 렌즈가 뒤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