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파닐아미드 분자구조를 포함하는 합성 정균제.|술파닐아미드·술파디아진·술파피리딘·술파티아졸 및 다른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5,000여 종 이상의 술파제가 약으로 만들어져 유효성 시험을 했으나 대부분 세균에 투여한 후 초기에 이 약에 대해 내성이 생겨 20여 종만이 치료제로서 가치가 있다. 술파제는 흡수...
1940년대 중반에는 술파티아졸이 술파제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나 전신감염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술파티아졸은 이보다 독성이 적은 술파제와 후에 발견된 페니실린 및 다른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1969년경에 이르러서는 이들 약물로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다. 이 약은 수의학에서 포도상구균·연쇄상구균...
것이 특징이다. 결핵양라는 무활동성으로 남거나 증세가 좋아지기도 하고, 저절로 병소가 사라지면서 완전히 낫기도 한다. 현재 쓰이는 치료법은 2종류 모두 술파제를 장기간 복용하도록 하는 것인데 대부분은 즉시 감염이 그치며 병이 호전되나 심한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고 심지어 증상이 더 나빠질 수도 있다. 때로...
의한 ABO식 혈액형의 발견과, 1914년 A.휴스틴에 의해 고안된 항응혈제(抗凝血劑)의 사용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수혈을 가능하게 했다. 1929년 A.플레밍에 의한 페니실린의 발견, 1932년 G.도마크에 의한 술파제의 발견 등이 이루어져, 이후 많은 항생물질의 개발의 계기가 되었으며 보다 큰 수술에 도전할 수 있게...
게르하르트 도막은 프론토질이라는 붉은색 염료가 연쇄상구균감염증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이 설파닐아미드는 곧 더 안전하고 강력한 새로운 술파제제로 대치되었다. ③ 항생제: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은 페니실리움 노타툼(Penicillium notatum)이라는 곰팡이가 포도당구균에 억제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생성한다. 대부분의 할로젠화아실은 물에 녹지 않는 액체로서,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점막(粘膜)을 자극한다. 염화술포닐(RSO2Cl)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술파제를 포함하는 술폰아마이드를 만든다. 흔한 무기산(無機酸) 할로젠화물로는 클로로황산(ClSO3H, 전에는 클로로술폰산이라고 했음)과 염화술푸릴(SO2Cl2)이...
세균성 감염, 당뇨병, 부종, 고혈압, 통풍 등을 치료하는 몇 종류의 약물들로 사용된다. 보통 술파제라고 하는 세균발육을 억제하는 술폰아미드계 약물에는 술파닐아미드와 이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화합물이 있다. 그밖의 술폰아미드계 약물은 술파닐아미드 유도체에 대한 임상평가를 하는 동안 이루어진 관찰을...
시간 안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 데에 기인했다. 손상의 종류나 부위에 따른 전문화 경향이 심화되었으나 가장 큰 변화는 상처 부위의 감염을 술파제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① 기술공학 분야에서의 도움:외과의사들은 혼자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지만, 여러 가지 실패를 경험한...
만드는 데 사용된다. 황의 유기 화합물은 유기물질의 다양하고 중요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황을 포함하고 있는 아미노산(시스테인·메티오닌·타우린)은 호르몬·효소·조효소의 주요구성성분이다. 합성 유기 황화합물도 중요한데, 수많은 조제약(술파제·외피용제)·살충제·용매·고무·레이온을 만드는 데 사용...
그 구조는 1868년에서야 밝혀졌다. 널리 알려진 피리미딘 화합물들 중 시토신?티민?우라실 등은 핵산에 존재하며, 술파디아진?술파메라진?술파메타진 등의 술파제는 세균성?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된다. 티아민(비타민 B1)도 이 계열에 속하는 화합물인데 다발성(多發性) 신경염(신경계병변), 전신무기력, 동통...
1837~64년 몇 가지 피리미딘 화합물이 분리되었으나 그 구조는 1868년에서야 밝혀졌다. 널리 알려진 피리미딘 화합물들 중 시토신·티민·우라실 등은 핵산에 존재하며, 술파디아진·술파메라진·술파메타진 등의 술파제는 세균성·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된다. 티아민(비타민 B1)도 이 계열에 속하는 화합물이다.
중요하게 사용하는 아마이드로는 에테인아마이드라고도 하는 아세트아마이드(CH3CONH2)와 디메틸포름아마이드(HCON(CH3)2)가 있는데, 이들은 용매·술파제·나일론에 사용된다. 요소 즉 카바마이드 (CO(NH2) 2)는 단백질 대사과정의 최종생성물이며 포유동물의 요(尿)로 배설되는 결정성 화합물이다. 이 물질은 암모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