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순수예술 純粹藝術, fine art
    비실용적인 시각예술 또는 주로 미의 창조에 관련된 예술.|일반적으로 회화·조각·건축을 포함하며 때로 시·음악·무용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엄밀한 의미의 순수예술은 실용성을 목적으로 하는 벽화·도예·직조·금속세공·가구제조 등과 같은 장식예술과 공예와 구별되기도 한다(건축가는 이 점에서 건설업자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순수미술과
    독창성 있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과특성 실용성을 목적으로 미술 활동을 하는 실용미술과와는 다르게 순수미술과는 예술적 창작 표현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수미술은 수묵화, 수채화, 정물화, 인물화 등으로 작가의 정신적 내면을 표현하는 작품...
    분류 :
    대학교 > 예체능계열
  • 예술 藝術, art
    하나의 미적 표현의 실례로 두드러지게 내세우는 경우에 쓰이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그런 드로잉이나 태피스트리는 예술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예술순수예술과 교양예술로 나뉘며 후자는 언어·표현력·추론 등의 표현기술과 관련되어 있다(→ 인문학). 프랑스어 보자르(beaux-arts)의 번역어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장식예술 裝飾藝術, decorative art
    포함되기도 하는데, 실상 이 2가지 명칭은 뚜렷하게 구별할 수 없다. 서양 역사에서 쓰던 미술과 공예라는 용어에 대해 오늘날 장식예술이란 명칭으로 쓰고 있지만 장식예술순수예술이 구분된 것은 현대에 와서의 일이다. 이 명칭은 산업혁명으로 기존의 수공예가 변화를 겪기 시작할 무렵에 보조적인 용어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문화 일반
  • 순수 문학 동인지
    이루는 쓰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회 참여적 목소리를 높였다. 순수 문학은 신경향파 문학에 대한 반발과 일제의 탄압이 거세지자, 현실에서 도피하여 순수예술의 세계에 몰두하려는 문인들이 늘어나면서 생겨났다. 1930년대 대표적인 순수 문학 동인지는 <시문학>(1930), <문예 월간>(1931), 문학(1934), <시원...
    도서 다음백과
  • 미국의 예술
    호머와 20세기의 조지아 오키페 등의 화가들이 그 전형적인 예에 속한다(→ 미술). 사진 20세기 전반기 동안 미국의 뛰어난 사진작가들은 대체로 사진술을 순수예술의 하나로 보려고 했고, 순간의 기록물로서 도처의 일반적 장면을 담는 것이 아니라 옛 미술전통에 접목시킴으로써 순수예술화하려고 노력했다. 그렇지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순수 문학 경향 純粹文學傾向
    쓰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회 참여적 목소리를 높였다. 순수문학은 한편으로는 신경향파 문학에 대한 반발과 일제의 탄압이 거세지자 현실에서 도피하여 순수예술의 세계에 몰두하려는 문인들이 늘어나면서 생겨났다. 1930년 박용철·김영랑·정지용 등을 중심으로 한 ‘시문학파’는 언어예술가로서의 시인의 고유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의 문화
    조선예술극장 등의 극단을 두었다. 한편 조선연극건설본부에서 이탈한 우익계 연극인들은 1947년 유치진 등을 중심으로 극예술협회를 성립시켜 순수연극과 순수예술주의를 지향했다. 이후 대한민국 수립으로 좌익계 연극인 대부분이 월북해버리자, 극예술협회가 연극계의 중심이 되었다. 결국 이러한 단체들의 결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바로크 예술의 상상력 육체와 감각을 해방시키다
    미학사에서 건축은 그것 자체가 아름다움이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신을 모시거나 인간이 살게 한다는 목적을 위한 도구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순수예술에 포함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헤겔은 그러한 건축 자체의 목적에 가장 충실한 전범으로 고대 그리스의 신전을 들고 있다. 그리스의 신전은 신의...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위, 韓國文化藝術委員會
    Agencies)의 정회원이 되었으며, 2014년 9월 ‘아르코비전 2020’을 선포하였다. 기능과 역할 주요 사업은 ①문학·시각·연극·음악·무용·전통·다원예술순수예술 전 분야의 고른 발전을 위한 창작 지원, ②문화소외계층의 향유권 신장을 위한 문화바우처, 복권기금문화나눔 등 문화복지 사업, ③크라우드펀딩...
    시대 :
    현대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40,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 352
    설립 :
    구 한국문화예술진흥원(1973년 3월),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05년 8월)
    성격 :
    문화예술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곽종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모간산루 50호 상하이 최고의 예술 거리, 莫干山路 M50
    예술의 메카’라는 유명세 때문에 임대료가 가파르게 상승해 현재는 초창기 입주했던 예술가들은 많이 떠났다고 하니 안타까운 현실이다. 다행히 지금도 순수 예술 작품뿐 아니라 사진,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응용 예술까지 볼 수 있어 상하이 예술의 중심가라는 타이틀은 지키고 있다. 여러 블록으로...
    위치 :
    지하철 1 · 3 · 4호선 상하이훠처잔(上海火车站) 역 3번 출구
    소재지 :
    上海市普陀区莫干山路50号
    사이트 :
    www.m50.com.cn/zh
    이용 시간 :
    10:00~17:00(월요일 휴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韓國文化藝術委員會, Arts Council Korea
    공공영역의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공공영역이 민간에 참여하는 동시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요 사업은 ① 문학·시각·연극·음악·무용·전통·다원예술순수예술 전 분야의 고른 발전을 위한 창작 지원, ②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문화바우처, 복권기금문화나눔 등 문화복지 사업, ③ 크라우드펀딩, 재능기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