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에즈 운하 Suez Canal
    이집트 북동부 수에즈 지협에 있는 운하. 운하 길이는 지중해 포트사이드로부터 남쪽 수에즈 만까지 168㎞이다. 1869년 프랑스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전에는 인도양에서 유럽을 가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대륙을 돌아가야 했으나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후에는 유럽과 인도양 및 서태평양을 연결하는 최단거리의 항로가 되...
    위치 :
    이집트 북동부,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수에즈 지협
    대륙 :
    아프리카 북동부
    국가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수에즈 운하 Suez canal
    수에즈 운하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세계 무역의 핵심 통로로, 전 세계 교역량의 12%를 담당한다. 2020년에만 약 1만9000척, 하루 평균 51.5척이 수에즈 운하를 통과했다. 수에즈 운하는 프랑스인 페르디낭 드 레셉스에 의해 1869년 개통됐다. 수에즈 운하는 런던과 봄베이 간 거리를 희망봉 경유보다 약 9000km 단...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교통
  • 수에즈 운하 (관련어 수에즈운하) Suez Canal, スエズ運河
    좌표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수에즈 지협을 통해 잇는 이집트의 운하로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구분하는 운하다. 1858년 페르디낭 드 레셉스가 운하 건설을 위해 수에즈 운하 회사를 설립, 1859년부터 1869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원 하에 공사가 진행되었다. 1869년 11월 17일 정식 개통했다. 지중해와 홍해를 통...
    도서 위키백과
  • 운하 (관련어 수에즈 운하) 運河, canal
    주로 배의 운항을 위해 만든 인공 수로. 운하는 천연 수역 또는 다른 운하와 연결되어 내륙수로망을 형성하며, 고대 중동에서는 항해보다는 주로 식수와 관개용수를 구하기 위해 운하를 건설했다. 16세기 초 광범위한 운하망이 유럽에 건설되었다. 운하의 전성기는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부터 19세기 중반 철도가 우위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교통
  • 수에즈 운하 개통
    이집트에서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대형 운하수에즈 운하가 개통됐다. 이로써 유럽에서 아시아로 가는 뱃길이 약 6000킬로미터 줄었다. 수에즈 운하는 당시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던 이집트 정부(1841년 오스만튀르크제국으로부터 독립)가 자국의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 건설했다. 그러나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해 판 주식...
    시대 :
    1869년
    국가/대륙 :
    아시아
  • 수에즈 위기 수에즈 전쟁, Suez Crisis
    수에즈 운하 관리회사 운영권을 장악했으며 선박 통행료를 모아 5년 안에 아스완 댐을 건설하겠다고 선언했다. 나세르가 운하를 폐쇄하여 페르시아 만과 서유럽 사이의 석유 수송을 차단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 영국과 프랑스는 외교적 노력을 통한 위기 해결에 실패하자 수에즈 운하 운영권을 다시 장악하고, 가능...
    국가 :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이집트
    장소 :
    가자 지구, 시나이 반도, 이집트, 수에즈 운하
    시기 :
    1956년 10월~1957년 3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현대 , 전쟁
  • 수에즈운하탐조등 Suez Canal searchlight
    운하관리소의 사양서에 근거하여 조립된 탐조등. 이것은 운하관리소의 규칙에 의해 이 운하를 항행하는 모든 선박이 운하의 제방을 조명하는 데에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다.
  • 레셉스 Ferdinand Marie de Lesseps
    임명되었고 1828년에 튀니스, 1832년에는 알렉산드리아로 파견되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근무하면서, 나폴레옹 휘하의 한 기술자가 제안했던 수에즈 운하 건설을 검토했다. 나폴레옹의 수석기사였던 J.-M. 르 페르가 제작한 수에즈 지협 측량 보고서를 본 그는 이집트의 투르크인 부왕 무하마드 알리 및 그 아들...
    출생 :
    1805. 11. 19, 프랑스 베르사유
    사망 :
    1894. 12. 7, 길리 근처 라셰네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2021년 수에즈 운하 마비 사고 2021 Suez Canal obstruc..
    사건 정보 2021년 수에즈 운하 마비 사고는 이집트 시간(UTC+2)으로 2021년 3월 23일에 컨테이너선 에버 기븐(Ever Given)이 수에즈 운하에서 좌초되어 6일간 통행이 마비된 사건이다. 기술적인 문제나 사람의 실수가 가장 큰 원인일 수 있다고 밝혔다. 좌초가 이 운하의 남단에서 발생한 까닭에 우회할 방법이 존재하지...
    도서 위키백과
  • 수에즈 운하 대교 Suez Canal Bridge, スエズ運河橋
    교량 정보 수에즈 운하 대교(Suez Canal Bridge)는 이집트-일본 우정 다리(Egyptian–Japanese Friendship Bridge), 알살람교(Al Salam Bridge), 알살람 평화의 다리(Al Salam Peace Bridge) 또는 무바라크 평화 다리(Mubarak Peace Bridge)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이집트 아랍어로 ‘다리’를 의미하는 엘-칸타라의...
    도서 위키백과
  • 수에즈 운하 New Suez Canal, 新スエズ運河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기존 수에즈 운하를 확장하는 수로이다. 운하를 빠져 나가는 6개의 새로운 터널의 건설 및 강 기슭의 76,000 평방 킬로미터의 땅을 국제 물류 · 상업 · 공업 거점으로 하는 계획으로, 100만명의 일자리를 늘린다는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길이 164km...
    도서 위키백과
  • 수에즈 운하 스타디움 Suez Canal Stadium
    경기장 정보 수에즈 운하 스타디움은 이집트 이스마일리아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총 수용 인원은 22,000명이다. 현재는 올림픽 엘 카나 SC에서 사용한다. 이전 경기장은 철거되었고, 2019년에서 2022년 사이에 완전히 재건설 되었다. 재건설 전에는 10,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수에즈운하를 건너 시나이반도로 가는 이집트군
수에즈운하의 개통을 알리는 신문 일러스트
아프리카의 북동부에 있는 수에즈 운하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Suez Canal)
수에즈 운하를 건너는 이집트 군
수에즈 운하 개통식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