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권자본제도 授權資本制度, authorized capital s..
    정관에 기재된 자본총액에 해당하는 주식의 일부 발행과 인수에 의해 회사를 설립하고, 회사 존립중 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미발행주식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증식시킬 수 있는 주식회사의 자본제도. (독). autorisiertes Kapitalsystem.|주식회사에서 영업활동의 물적 기초인 자본은 주식으로 균일하게 분할되어 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수권자본제도
    주식회사에서 정관에 기재한 총발행 예정 주식수 중 일부는 회사 설립시 발행하지만, 나머지는 회사설립 후 필요에 따라 이사회가 발행하는 것을 인정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상대되는 개념은 확정자본제도이다. 원래 영미법체계에서 회사 설립시 면허주의가 취해지던 시대에 생겨난 것으로, 회사가 국가로부터 정관에 기...
  • 수권자본제도 授權資本制度, authorized capital s..
    주식회사에서 정관에 기재한 총발행 예정 주식수 중 일부는 회사 설립시 발행하지만, 나머지는 회사설립 후 필요에 따라 이사회가 발행하는 것을 인정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상대되는 개념은 확정자본제도이다. 원래 영미법체계에서 회사 설립시 면허주의가 취해지던 시대에 생겨난 것으로, 회사가 국가로부터 정관에 기...
  • 수권자본제도
    수권자본제도(授權資本制度, authorized capital system, autorisiertes Kapitalsystem)은 상법상 개념으로 정관(定款)에 기재된 자본총액에 해당하는 주식의 일부 발행과 인수에 의해 회사를 설립하고, 회사 존립중 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미발행주식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증식시킬 수 있는 주식회사의 자본제도를 말한다.
    도서 위키백과
  • 수권자본 Authorised capital, 授権資本制度
    수권자본(授權資本) 제도는 주식회사에 있어서, 정관에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총수”(수권주식총수)만을 기재하고, 회사의 설립시에는 수권주식총수 중 일부만이 인수되어도 회사가 성립되고, 나머지에 대하여는 회사의 필요에 따라 이사회결의만으로 신주발생을 할 수 있게 하는 자본조달 제도를 말한다. 수권자본이라...
    도서 위키백과
  • 수권자본제도와 자본확정주의
    기간을 요해 정관변경을 위한 복잡한 주주총회의 결의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기업이 중시하는 자기자본조달의 탄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수권자본제도(창립주의)는 원래 영미법상의 제도로서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가운데 그 일부의 발행·인수만으로 회사의 성립을 인정하고, 설립 후 필요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자본금 Legal capital, 資本金
    인정된다. 독일의 종래 유한회사법과 상법은 이 원칙에 따르고 있으나, 영미법에서는 창립주의에 의하여 이 원칙을 채택하지 않는다. 우리 「상법」에서는 수권자본제를 채택한 결과, 자본액은 정관에서 확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1주의 금액과 회사의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총수는 정관에서 확정되므로(상법 제289조1항...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