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쇼클리 William B(radford) Shockley
    미국의 공학자·교사.|존 바딘, 월터 하우저 브래튼과 함께 트랜지스터의 개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1956). 그가 개발한 트랜지스터는 부피가 크고 비효율적이었던 진공관을 광범위하게 교체하여 초소형화 전자공학 시대를 열었다. 쇼클리는 캘리포니아공과대학(1932 학사학위)과 하버드대학교(1936 박사학위)에...
    출생 :
    1910. 2. 13, 런던
    사망 :
    1989. 8. 12, 미국 캘리포니아 팰러앨토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쇼클리 William Bradford Shockley
    영국 태생의 미국의 물리학자. 1932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졸업. 193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박사 학위 취득. 1936년 벨 전화연구소의 연구원이 되고, 전시 중에는 미국해군의 대잠작전 연구 그룹의 부장 등으로 근무하였다. 1945년 벨 전화연구소 고체물리연구계획부장, 1954년 트랜지스터 물리연구부장이 되었다...
    출생 :
    1910년 02월 13일
    사망 :
    1989년 08월 12일
    국적 :
    영국
    분야 :
    인명/역사
  • 윌리엄 쇼클리 (관련어 쇼클리) William Shockley, ウィリアム・ショックレー
    과학자 정보 윌리엄 브래드퍼드 쇼클리(William Bradford Shockley 1910년 2월 13일 - 1989년 8월 12일)는 미국 물리학자이자 반도체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공학자이다. 존 바딘, 월터 하우저 브래튼과 함께 트랜지스터를 공동 발명했고 1956년 P·N 접합의 전자론적 연구 등 전자 연구에 이바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
    도서 위키백과
  • 윌리엄 쇼클리 인류를 반도체 세상으로 이끈 최악의 경영자
    쇼클리(William B. Shockley)는 천재로 통했다. 과학을 쉽게 풀이하는 재주도 뛰어났다. '증폭'에 대한 그의 설명. "당나귀 꼬리에 성냥을 그어봐라. 성냥을 켜는 데 소모한 에너지와 꼬리에 불이 붙은 당나귀가 뛰는 힘"의 차이가 바로 증폭이다." 1910년 2월 13일 영국 런던에서 미국인 광산 기사의 외아들로 태어나...
  • 쇼클리 다이오드 Shockley diode
    게이트 전극이 없는 pnpn의 4층 다이오드로, 단방향의 반도체 스위치로 동작하는 것. 전압-전류 특성의 제1상한에서 브레이크오버에 의해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이행한다. 제3상한은 역저지(reverse blocking) 특성을 나타낸다.
  •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 Shockley Semiconductor Laborat..
    회사 정보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Shockley Semiconductor Laboratory), 이후 이름 쇼클리 트랜지스터 코퍼레이션(Shockley Transistor Corporation)은 윌리엄 쇼클리가 설립하고 1955년 베크만 인스트루먼츠(Beckman Instruments, Inc.)의 자금을 지원받은 선구적인 반도체 개발자였다. 이 회사는 실리콘 밸리로 알려진...
    도서 위키백과
  • William Shockley 윌리엄 쇼클리, ウィリアム・ショックレー
    William Bradford Shockley Jr. (February 13, 1910 – August 12, 1989) was an American physicist and inventor. Shockley was the manager of a research group that included John Bardeen and Walter Brattain. The three scientists invented the point contact transistor in 1947 and were jointly awarded the...
  • 더 작고 더 영리한 전자 기기의 시작, 트랜지스터의 발명
    1947년 12월 23일 미국 뉴저지의 벨 연구소. 실험실에 모인 사람들이 숨을 죽이고 손톱 크기의 자그마한 물체를 뚫어지게 바라보았다. 윌리엄 쇼클리, 존 바딘, 월터 브래튼, 이 세 명의 과학자가 연구소 간부들에게 하나의 발명품을 시연하는 자리였다. 조그만 원통에 세 개의 다리가 달린 보잘것없는 게르마늄 조각에...
    시대 :
    1947년
  • 트랜지스터
    내용 트랜지스터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미국의 벨전화연구소에서 제2차세계대전 때부터 연구하여 왔던 일련의 반도체연구자들에 의한 성과로 1948년쇼클리(Shockly,W.)·바딘(Bardeen,J.)·브래튼(Brattain,W.H.) 등에 의하여 발명되었다. 그리고 그 공적에 의하여 1956년 최대의 명예인 노벨물리학상이 이들 세...
    시대 :
    현대
    성격 :
    과학, 기술, 전자공학, 반도체
    유형 :
    물품
    용도 :
    반도체 능동소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바딘 John Bardeen
    41년까지 하버드 대학, 미네소타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1945년에 벨전화 연구소에 영입되어, 반도체의 이론적 연구를 하고, 브래테인(Brattain, W.H.), 쇼클리와 공동으로 트랜지스터를 발명하였다. 이 업적에 의하여 1956년에 브래테인, 쇼클리와 더불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1951년부터 일리노이 대학의 교수로...
    출생 :
    1908년 05월 23일
    국적 :
    미국
    분야 :
    인명/역사
  • 실리콘밸리 Silicon Valley
    바탕으로 전자 부품, 첨단 기술에 장점을 가진 많은 회사들이 이 지역으로 몰려왔다. 신화의 형성과 지역 성장 트랜지스터를 발명하여 노벨상을 받은 윌리엄 쇼클리(William Shockley)가 1956년 스탠포드 대학 근처에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설립했다. 곧 이 일대는 미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1970년대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노이스 Robert Norton Noyce
    그리넬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 1953년 매서추세츠 공과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 1953~56년 필코사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였다. 1956년에 쇼클리가 설립한 쇼클리 반도체연구소에 입사했는데, 다음 해에 무어 등 7명과 함께 페어차일드사를 창립, 1965~68년 부사장으로 있었다. 1968년에 그로브 무어(Grove, A...
    출생 :
    1927년 12월 12일
    국적 :
    미국
    분야 :
    인명/역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