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러기 Greater White-fronted Goose
    서식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 중국,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5아종으로 나눈다. 다소 흔한 겨울철새이며, 보통 큰 무리를 이루어 월동한다. 국내 월동 무리는 70,000~100,000개체다. 9월 하순부터 도래하며 4월 초순까지 머문다. 강원 철원평...
    분류 :
    오리과(Anatidae)
    서식지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 중국,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63~73cm
    학명 :
    Anser albifrons Greater White-fronted Goose
  • 기러기 white-fronted goose
    기러기목 오리과 기러기족으로 분류되는 새.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논과 밭, 강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초식이며, 식물과 씨앗, 줄기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65~78cm 정도이고, 무게는 1.9~2.7k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개요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척추동...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원산지 :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서식지 :
    논, 밭, 강, 호수, 해안
    먹이 :
    식물, 씨앗, 줄기, 고구마, 감자 등
    크기 :
    약 65cm ~ 78cm
    무게 :
    약 1.9kg ~ 2.7kg
    학명 :
    Anser albifrons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21~28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기러기 Anser albifrons
    형태 크기: 약 63~73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몸 전체가 회갈색을 띠는 중형의 기러기류다. 위,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며 꼬리 위에는 넓은 검은색 띠가 있다. 부리는 분홍색 발은 적황색이다. 암수의 깃털 색이 서로 비슷하며 야외에서의 구별은 어렵다. 주요 형질: 이마는 흰색이며, 배에 불규칙한 검은 줄무...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Anser albifrons (Scopoli, 1769)
    국내분포 :
    강원도 철원, 서산 간척지대, 전라남도 해남 일대에서 많은 수의 무리가 매년 겨울을 나고 있다.
    해외분포 :
    러시아의 북부지역, 시베리아의 툰드라, 알래스카, 캐나다의 서부지역 등에 분포한다.
    특징 :
    겨울철새
  • 기러기
    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오리과의 겨울 철새.|[형태] 기러기의 몸길이는 약 72㎝로 큰기러기에 비하여 13㎝ 정도 작다.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부리는 분홍빛을 띤다. 암컷과 수컷의 앞이마에서 윗부리 옆에 걸쳐 흰색 띠가 있고 띠에 연결되는 부분은 어두운 색을 띤다. 회갈색 배는 불규칙한 검은색의...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 기러기 Greater white-fronted goose, マガン
    생물 분류 기러기는 오리과에 속하며 학명은 Anser albifrons이다. 몸길이는 66-86cm로 부리는 분홍색, 이마는 흰색, 다리는 오렌지색이다. 학명과 영어명은 모두 '이마가 흰 기러기'라는 뜻이 있다. 목과 등은 갈색이며, 배는 회갈색으로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어린 새끼는 이마의 흰 점과 배의 검은색 줄무늬가 없...
    도서 위키백과
  • Greater white-fronted goose 쇠기러기, マガン
    The greater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is a species of goose. The greater white-fronted goose is closely related to the smaller lesser white-fronted goose (A. erythropus). In Europe it has been known as simply "white-fronted goose"; in North America it is known as the greater white-fro...
  • 흰이마기러기 흰이마쇠기러기, Lesser White-fronted Goose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대부분 기러기 무리에 섞여 월동한다. 특징 전체적으로 기러기보다 작으며 몸윗면이 더 어둡다. 부리는 분홍색이며, 기러기보다 현저하게 짧다. 이마에서 머리꼭대기까지 폭 넓은 흰 무늬가 있다. 노란색 눈테가 뚜렷하다. 얼굴 주변은 기러기와 달리 회흑색 기운이 있다. 배에 검은...
    분류 :
    오리과(Anat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중동, 중국의 양쯔강 중류에서 월동한다.
    먹이 :
    낟곡, 풀잎 등
    크기 :
    약 55~65cm
    무게 :
    약 1.8kg
    학명 :
    Anser erythropus Lesser White-fronted Goose
    임신기간 :
    약 25일
    분포지역 :
    구북구
  • 기러기
    鴻雁)이라고도 불렸다. 우리말로는 기러기 · 기럭이 · 기럭기라고 불렸다.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흑기러기 · 회색기러기 · 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흰기러기 · 개리 등 7종이 기록되어 있다. 북반구의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하, 이동해 온다. 흰이마기러기 · 회색...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흰이마기러기 Anser erythropus
    형태 크기: 약 55~65cm로 가장 작은 기러기에 속한다. 채색과 무늬: 기러기와 유사하나, 부리는 분홍색이며, 이마에서 머리꼭대기까지 폭 넓은 흰 무늬가 있다. 얼굴 주변은 흑회색 빛이 돌며, 배의 검은 줄무늬가 기러기보다 적다. 주요 형질: 기러기와 유사하나 크기가 훨씬 작고 노란색 눈 테가 뚜렷하다. 부리...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Anser erythropus (Linnaeus, 1758)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겨울철 매우 드물게 관찰되며 쇠기러기 무리에 섞여 월동한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대륙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중동, 중국의 양쯔강 중류에서 월동한다.
    특징 :
    길잃은새
  • 캐나다기러기 Cackling Goose
    철원평야, 천수만, 순천만, 주남저수지 등지에 불규칙하게 찾아오는 겨울철새다. 10월 하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국내에서는 기러기, 큰기러기 무리에 섞여 월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기러기류와 비슷한 행동을 한다. 특징 머리와 목이 검은색이며, 눈 뒤에서 아래쪽으로 폭 넓은 흰 반점이...
    분류 :
    오리과(Anatidae)
    서식지 :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캐나다, 북미대륙에서 번식하고, 북미대륙 남부에서 월동한다. 유럽, 뉴질랜드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도시 주변의 호수에서 흔히 서식한다.
    크기 :
    L56~70cm
    학명 :
    Branta hutchinsii Cackling Goose / Lesser Canada Goose
  • 기러기 Anser
    기러기목 오리과의 한 속. 이 속에 속하는 것들을 기러기류(goose)라 하며, 기러기·회색기러기·흰기러기 등이 있다.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매년 1월 0~5°C 사이의 기온을 가진 온난한 지역으로 이주한다. 오늘날 기러기속에 속하는 종 중 약 10여 종이 생존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캐나다기러기 Branta hutchinsii
    앞이 트인 광활한 지역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풀밭의 각종 식물의 열매나 줄기, 논에 떨어진 벼 이삭이나 물풀과 풀뿌리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기러기와 큰기러기 무리 사이에 섞여 월동하며, 쉴 때는 한쪽다리를 서거나 배를 땅에 대고 머리는 위로 돌려 등깃에 파묻는 등 다른 기러기류와 유사한 행동을 취한다...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Branta hutchinsii (Linnaeus, 1758)
    국내분포 :
    겨울철 불규칙하게 도래하며, 철원평야, 천수만, 순천만, 주남저수지 등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해외분포 :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캐나다, 북미대륙 등지에서 번식하고, 북미대륙 남부에서 월동한다. 유럽, 뉴질랜드에서는 인위적인 도입으로 인해 도시주변 호수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특징 :
    길잃은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5건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쇠기러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