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화관 消化管, alimentary canal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일을 하는,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연결된 관. digestive tract라고도 함.|편형동물과 같은 하등 무척추동물의 소화관은 개구부가 1개밖에 없어 이것이 입과 항문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고등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에서는 구강을 통해서 음식이 소화관으로 들어가고, 항문을 통해서 노폐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화계
  • 소화관 消化管, alimentary canal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먹이의 통로. 내강(內腔)에서는 먹이를 소화시키고 벽에서는 소화물을 흡수한다. ( ⇨ digestive organ)
  • 소화관 昭和館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창선동에 있던 영화관.|[건립 경위] 1929년 2월 27일에 국제관(國際館), 1930년 11월 10일에 행관(幸館), 1932년 1월 2일에 유락관(遊樂館)이 연이은 화재 사고로 극장이 폐관되자 노후화로 낙후된 극장들이 시설 현대화를 위한 재건축을 하게 되었다. 이때 현대 시설을 갖춘 소화관(昭和...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기저귀 속의 고분자 흡수체 (관련어 소..)
    고분자 흡수체(Super absorbent polymer, SAP)라는 물질을 들어본 적 있으실까요? 이름은 생소할 수 있지만, 우리가 일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저귀, 생리대, 종이 팬티, 모유 패드, 애완동물 시트, 휴대용 변기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며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물질입니다. 이 고분...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소화관의 호르몬
    당의 농도가 높을 때 분비되며 글루카곤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포도당을 근육과 지방세포에 저장시켜 혈중 당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글루카곤은 소화관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α세포에서 분비되며 소장의 점막세포에서 물과 전해질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또한 위와 췌장에서는 분비를 억제하는 기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소화관의 이물 Foreign body in alimentary tract
    정의 소화관은 이물질이 가장 흔하게 위치하는 부위 중에 하나로, 주로 입이나 항문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옵니다. 삼킨 물건이 날카롭거나 유해한 성분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배변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원인 아동은 동전을 삼키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성인은 육류로 인해 막히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분류 :
    소화기질환, 응급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구토, 목의 이물감, 삼키기 곤란 , 천명음, 침 분비 증가, 호흡곤란
    진료과 :
    소화기내과, 응급의학과
    관련 질환 :
    식도의 이물, 이물질에 의한 기도막힘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육식에 적합한 사람의 소화관
    사람이 왜 잡식성 소화 기관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초식 동물은 풀만 먹고 산다. 사실 풀은 섬유소로 이루어져 있을 뿐 어떤 칼로리도 없는데 초식 동물은 어떻게 에너지를 얻을까? 토끼나 말 등의 설치류들은 풀을 먹고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만 결장이나 맹장에서 풀이 발효되기 시작한다. 즉, 결장이나...
    도서 착한 밥상 | 태그 음식 , 건강
  • 위창자길 (관련어 소화관) Gastrointestinal tract, 消化道
    위와 내장은 모두 이 위장관계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포유류와 곤충류는 이 소화계를 갖고 있다. 구토 설사 변비 위장관계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투여 약물로서 위장약(Gastrointestinal agents)을 복용할 수 있다. 콜레라 췌장염 소화성궤양 황열 위나선균 거짓 장폐색증 장폐색 실리악 스프루 엔테로바이러스 자궁내...
    도서 위키백과
  • 소화와 소화계 digestion and digestive system
    작고 단순한 분자로 바꾸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즉 음식물에 있는 양분이 세포로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등동물은 음식물을 입에서 잘게 부수고 소화관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단순한 분자로 바꾸어 세포 내로 흡수한다. 소화해서 사용하지 못한 섭취물을 다시 몸 밖으로 내보내는 것을 배설이라 한다. 사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화계
  • gastrointestinal hormone 소화관호르몬 위장관호르몬
    소화관에서 분비되어 특정한 소화기관의 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제어하는 호르몬의 총칭.
  • 내배엽성 기관 형성
    소화관 낭배형성 후 내배엽이 원장으로 함입되어 생긴 강이 소화관 또는 장이 된다. 척추동물의 소화관은 구강·인두·식도·위·장으로 분화한다. 척추동물에서 구강은 외배엽과 접촉하는 내배엽의 안쪽 끝이 파열하여 생긴다. 척추동물에서 항문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원구에서 유래한다. 인두 내배엽성 장의 앞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후장 後腸, hind-gut
    척추동물의 소화관 발생에서 전장(前腸), 중장(中腸)에 이어지는 부분. 무척추동물에서는 정의가 일정하지 않지만, 발생적으로 항문함(肛門陷) 유래의 소화관 외배엽 기원의 부위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도서 생명과학사전 | 태그 동물 , 소화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사람의 소화관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소화관의 이물
 자돈의 발육에 따른 소화관의 분해효소 발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