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포체 ER, 小胞體
    ER이라고 약기. 진핵생물의 세포소기관의 하나. 여러 가지 자루모양의 막계(膜系)로 구성되어 있다. 리보솜이 부착된 조면소포체와 리보솜이 없는 활면소포체로 구분되고, 골지체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세포수송 등의 기능을 한다.
  • 소포체 ER, 小胞體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복합적인 막계.|한 세포에 존재하는 막의 반 이상을 차지하기도 한다. 소포체는 기능에 따라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을 주로 합성하는 활면소포체와, 외부 표면에 리보솜이 붙어 있어 단백질과 당단백질을 합성하고 수송하는 조면소포체로 나눌 수 있다.→ 세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생물
  •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小胞体
    소포체 4. 활면소포체(sER) 5. 조면소포체상의 리보솜 6. 운반된 단백질 7. 운반 소포 8. 골지체 9. 골지체의 형성면(Cis face) 10. 골지체의 성숙면(Trans face) 11. 골지체의 시스터나]] 소포체는 핵막에서 부풀어 오른 막이 관(管)과 cisterna(소포보다 큰 주머니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세포골격(cytoskeleton)이 이...
    도서 위키백과
  • Endoplasmic reticulum 소포체, 小胞体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s a type of organelle in the cells of eukaryotic organisms that forms an interconnected network of flattened, membrane-enclosed sacs or tube-like structures known as cisternae. The endoplasm is the inner core of the cytoplasm and the membranes of the ER are continu...
  • 매끈면 소포체 활면 소포체, 滑面小胞體
    매끈면 소포체는 다른 이름으로 ‘활면 소포체’라고도 부른다. 거친면 소포체와는 달리 표면에 리보솜이 붙어 있지 않아 매끄럽다. 일반적으로 소포체는 물질의 합성과 수송을 담당하는데, 매끈면 소포체는 지질과 탄수화물의 합성 및 수송에 관여하며 골지체의 막을 만든다. 또한 칼슘의 주요 저장소 역할을 하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거친면 소포체 粗面小胞體, rough endoplasmic reticulum
    거친면 소포체는 조면 소포체라고도 부르는데 간단한 주머니 모양의 막구조로 되어 있으며, 리보솜이 붙어 있어 표면이 울퉁불퉁한 거친 면을 이루고 있다. 모든 소포체는 물질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거친면 소포체는 표면에 붙어 있는 리보솜에서 합성한 단백질을 소포를 통해 골지체로 수송하거나 분비한다. 거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소포체 筋小胞體, sarcoplasmic reticulum
    근섬유내에서 볼 수 있는 활면소포체가 자극수축전달계로서 특수하게 분화된 세포소기관. 근절(sarcomere)과 거의 같은 단위로 근원섬유를 그물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척추동물의 골격근에서는 근섬유 전체의 약 13%를 차지한다.
  • 소포체-골지체간수송 endoplasmic reticulum-Golgi tra..
    소포체와 골지체 사이에 소포수송으로 연결된 물질수송계. 합성된 단백질 등이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이동하는 것은 순행수송, 그 반대인 골지체에서 소포체로 이동하는 것은 역행수송이라 한다.
  • 엽록체소포체 葉綠體小包體, chloroplast endoplasmic rec..
    3장의 막, 또는 4장의 막으로 싸여 있는 엽록체 외측의 1장 또는 2장의 막. 2장의 막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외측의 막이 핵막의 외측막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활면소포체 滑面小胞體, a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
    진핵세포 세포질에 존재하는 세포내막계(細胞內膜系)에서, 소포체막에 둘러싸인 주머니모양의 구조체인 소포체 중에 막의 표면에 리보솜이 없는 것.
  • 이행형 소포체 이행영역(移行領域, transitional element), ..
    골지체 부근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소포체로 골지체에 접한 막면은 활면(滑面)이지만 그 반대면은 리보솜이 부착된 조면(粗面)인 것.
  • 소포체잔류신호 小胞體殘留信號, endoplasmic reticulum ret..
    단백질이 소포체에 부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분자내에 남아 있는 신호. =ER retention signal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사진 7〉 근소포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24000
쥐 시상 성상세포 세포체의 조면소포체 단면에 드러난 폴리리보솜 (화살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