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테르 Saint Soter
    축일은 4월 22일. 교황(166경~175경 재위).|성 아니체토를 계승하여 교황이 되었으며, 그가 코린토스 교회에 보낸 편지 1통과 구제헌금에 대해서 코린토스 교회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는 답장을 통해 그의 사랑과 신학적인 자문에 감사를 표했다. 전임 교황 아니체토와 마찬가지로 예언과 엄격한 도덕 규율을 지나치...
    출생 :
    ?, 라티움(지금의 이탈리아) 폰디
    사망 :
    175경,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소테르 (다이몬) Soter (daimon)
    그리스 신화에서 소테르는 피해에서의 안전, 보존과 구원의 영혼 (다이몬)이었다. 프락시디케의 남매이자 남편이며 크테시오스, 아레테와 호모노이아의 아버지로 말해진다. (소테르와 크테시오스는 제우스의 종교 이름이라고 한다) 또 다른 자료는 소테르가 페이타르키아의 남편이자 에우프락시아의 아버지라고 말한다...
    도서 위키백과
  • 소테르 Soter, ソテル
    다른 뜻 소테르는 구세주를 의미하는 칭호이다. 그리스어의 형용사에 유래한다. 여성형은 소테리아이다. 소테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예수 예수를 의미하는 두문자어 'ΙΧΘΥΣ'의 마지막 Σ는 소테르의 머리 글자이다. 소테르/소테리아로 불린 신: 포세이돈 소테르, 제우스 소테르, 디오니소스 소테르, 아테나 소...
    도서 위키백과
  • 아탈로스 1세 Attalos I Soter
    받았다. 아탈로스는 페르가몬 성벽 밖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적을 대파하고, 이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아탈로스 왕조에서는 처음으로 왕이라는 칭호와 '소테르'('보존자'라는 뜻)라는 존칭을 채택했다. 이어서 그는 3차례의 전투에서 셀레우코스 왕인 안티오코스 히에락스를 물리치고 킬리키아를 뺀 아나톨리아의...
    출생 :
    BC 269
    사망 :
    197
    국적 :
    페르가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디오도토스 1세 Diodotus I
    왕이라 칭했다. 그의 치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셀레우코스 제국이 혼란에 빠짐에 따라 위기감을 느낀 셀레우코스 2세의 요청으로 BC 246년 그의 여동생과 결혼했다고 한다. 아들 디오도토스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으며, 죽은 뒤에는 소테르(구원자)라는 이름으로 숭배되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박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Ptolemy I Soter, プトレマイオス1世
    파라오 정보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마케도니아 왕국의 부하 장군으로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이른바 디아도코이 중의 한사람으로 기원전 323년부터 이집트의 총독이 되었고 기원전 305년 통치자가 되었다. 이집트의 헬레니즘 왕조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창시자였다. 그...
    도서 위키백과
  • 디오도토스 1세 소테르 Diodotus I, ディオドトス1世
    출처 필요 디오도토스 1세 소테르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박트리아 사트라프로 기원전 255년경 안티오코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셀레우코스 제국의 박트리아, 소그디아나와 마르기아나의 군사적 총독 디오도토스(테오도토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와 싸우던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2...
    도서 위키백과
  • 교황 소테르 Pope Soter, ソテル (ローマ教皇)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소테르이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4월 22일이다. 소테르라는 이름은 ‘구원자’ 또는 ‘해방자’를 뜻하는 그리스어(σωτήρ)에서 유래하였지만, 그의 출생지는 오늘날 이탈리아의 캄파니아주 폰디이다. 소테르는 성직자가 주재한 혼인만을 성사성이 유효한 혼인으로 인정...
    도서 위키백과
  • 라벨 2세 소테르 Rabbel II Soter
    인물 정보 라벨 2세 소테르 (Rabel II Soter) 혹은 아르라빌(ar-Rabil)은 나바테아 왕국의 마지막 통치자이며, 서기 70년부터 106년까지 다스렸다.서적 인용 그의 아버지 말리쿠스 2세가 사망하자, 아직 어린 아이에 불과하던 아르라빌이 왕위를 계승했다. 그의 어머니 샤킬라스 2세가 그가 어린 시절에 국정을 맡았다...
    도서 위키백과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Antiochus I Soter, アンティオコス1世ソテル
    자신의 계모인 스트라토니케와 결혼하여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가 태어났다. 이후 기원전 278년 갈리아인의 침공을 받았으나, 전투 코끼리를 사용해 자신의 왕국을 지켜내는 데 성공하여 소테르(Soter)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 뒤 기원전 261년 페르가몬과의 전투에서 패배했으며, 그 해 사망하였다. 헬레니즘 군주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Demetrius I Soter, デメトリオス1世ソテル
    로마에 인질로 보내졌다. 기원전 175년 부친이 사망하자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왕좌를 장악하려고 데메트리오스의 로마행을 이용하였다. 데메트리오스는 탈출하였고 그의 사촌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를 살해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데메트리오스는 왕명으로 소테르를 사용하였다.헬레니즘 군주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 Seleucus III Ceraunus, セレウコス3世
    기간 동안 밖에 왕국을 통치하지 못했는데(225 BC-223 BC) 그는 즉위하자마자 페르가몬 왕국과 전쟁을 이어받았다. 하지만 소아시아에서 아탈로스 1세의 페르가몬 왕국과의 전쟁 중 자신의 군대의 반란에 암살당한다. 그의 공식적인 별칭인 소테르는 '구원자'라는 뜻이고 별명 케라우노스는 '천둥'을 뜻한다.헬레니즘 군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