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Ptolemy I Soter, プトレマイオス1世파라오 정보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마케도니아 왕국의 부하 장군으로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이른바 디아도코이 중의 한사람으로 기원전 323년부터 이집트의 총독이 되었고 기원전 305년 통치자가 되었다. 이집트의 헬레니즘 왕조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창시자였다. 그...도서 위키백과
-
디오도토스 1세 소테르 Diodotus I, ディオドトス1世출처 필요 디오도토스 1세 소테르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박트리아 사트라프로 기원전 255년경 안티오코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셀레우코스 제국의 박트리아, 소그디아나와 마르기아나의 군사적 총독 디오도토스(테오도토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와 싸우던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2...도서 위키백과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Antiochus I Soter, アンティオコス1世ソテル자신의 계모인 스트라토니케와 결혼하여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가 태어났다. 이후 기원전 278년 갈리아인의 침공을 받았으나, 전투 코끼리를 사용해 자신의 왕국을 지켜내는 데 성공하여 소테르(Soter)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 뒤 기원전 261년 페르가몬과의 전투에서 패배했으며, 그 해 사망하였다. 헬레니즘 군주토막글도서 위키백과
-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Demetrius I Soter, デメトリオス1世ソテル로마에 인질로 보내졌다. 기원전 175년 부친이 사망하자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왕좌를 장악하려고 데메트리오스의 로마행을 이용하였다. 데메트리오스는 탈출하였고 그의 사촌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를 살해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데메트리오스는 왕명으로 소테르를 사용하였다.헬레니즘 군주전거 통제도서 위키백과
-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 Seleucus III Ceraunus, セレウコス3世기간 동안 밖에 왕국을 통치하지 못했는데(225 BC-223 BC) 그는 즉위하자마자 페르가몬 왕국과 전쟁을 이어받았다. 하지만 소아시아에서 아탈로스 1세의 페르가몬 왕국과의 전쟁 중 자신의 군대의 반란에 암살당한다. 그의 공식적인 별칭인 소테르는 '구원자'라는 뜻이고 별명 케라우노스는 '천둥'을 뜻한다.헬레니즘 군주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