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쩍새류 scops owl
    구대륙소쩍새속의 맹금류.|신대륙에 서식하는 종류는 신대륙소쩍새류라고 한다.→ 신대륙소쩍새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신대륙소쩍새류 screech owl
    구대륙에 분포하는 소쩍새속은 소쩍새류로 알려져 있다. 두 무리 모두 안반과 이우가 있다. 나무껍질 모양의 무늬로 된 보호색을 띠며 다소 소형인 올빼미류로 몸길이는 20~30㎝ 정도이다. 상당한 지리적 변이가 있어서 북쪽의 품종은 남쪽의 품종보다 크기가 더 크고 깃털 무늬는 뚜렷하지 않다. 거의 전세계에 걸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솥이 작아 소쩍새
    풍정과 농민들의 생활상이 다채롭게 그려진다. 또 계절 따라 우는 새의 속성을 빌려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거나 풍년의 소망을 얹어 노래하기도 했다. 소쩍새는 올빼밋과에 속한 새다. 모습은 부엉이와 흡사한데 귀 깃이 있고 체형이 작은 편이다. 야행성의 새로 낮에는 숲속에서 자고 저녁부터 활동한다. 현재 중국...
    도서 새 문화사전 | 태그 고전문학
  • 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6호, Scops Owl
    울음소리를 낸다. 산란기는 5~6월이며, 알을 4~5개 낳아 24~25일간 포란하고, 새끼는 부화 후 23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특징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크다. 큰소쩍새에 비해 몸이 작다. 회색형과 적색형이 있다(회색형이 많다). 전체적으로 엷은 회갈색이며 검은색, 갈색, 엷은 적갈색, 흰 무늬가 복잡하다. 홍채는...
    분류 :
    올빼미과(Strig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4-6호
    서식지 :
    파키스탄, 인도, 인도차이나, 말레이반도, 중국 남부와 동부, 한국, 러시아 연해지방, 일본, 사할린에서 번식하고, 말레이반도, 수마트라에서 월동한다.
    크기 :
    수컷 18~19cm, 암컷 19.5~21cm
    학명 :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 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7호, Japanese Scops Owl
    가로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홍채는 오렌지색이다(드물게 노란색 기운이 강한 개체도 있다). 성조는 발가락까지 깃털로 덮여 있다. 귀깃이 크다. 닮은종 소쩍새 : 크기가 작다. 홍채는 노란색, 귀깃이 짧다. 발가락에 깃털이 덮여 있지 않다. 분류 지리적으로 15아종 또는 별개의 독립된 4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외형...
    분류 :
    올빼미과(Strig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4-7호
    서식지 :
    네팔, 중국 동북부(우수리천 유역), 한국, 대만, 말레이반도, 대순다열도에서 번식한다.
    크기 :
    수컷 21.5~23.5cm, 암컷 23.5~25.5cm
    학명 :
    Otus semitorques Japanese Scops Owl
  • 소쩍새
    밥을 하게 하였다고 한다. 결국 며느리는 굶어죽었고 그 불쌍한 영혼은 새가 되어 ‘솥이 적다. 솥이 적다. 소쩍 소쩍’이라고 운다고 한다. 민간에서는 이 소쩍새의 울음소리로 그 해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기도 한다. 새가 ‘소쩍 소쩍’ 하고 울면 흉년이 들고, ‘소쩍다 소쩍다’ 하고 울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즉...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소쩍새 Otus scops
    등의 복잡한 벌레 먹은 모양의 무늬가 있다. 눈은 노란색, 날개 밑부분은 회백색이다. 날개깃에는 검은색의 가로무늬가 있으며, 발가락에는 깃털이 없다. 소쩍새는 회색형과 갈색형의 2가지가 있는데, 갈색형은 등이 짙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주로 밤에 울며, '솟적다, 솟적다' 또는 '솟쩍, 솟쩍'소리를 반복...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올빼미목 > 올빼미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 유럽 (러시아)
    서식지 :
    야산, 산림, 공원, 숲
    크기 :
    약 18cm ~ 22cm
    무게 :
    약 75g ~ 95g
    학명 :
    Otus scop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4~25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소쩍새 collared scops owl
    먹이로 삼는다. 포란 기간은 약 28일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형태 몸길이는 약 20cm이며, 무게는 약 900g~1.21kg이다. 일반적으로 소쩍새와 비슷하지만 뒷목을 가로지르는 두 줄의 테가 있으며 다리와 발에 털이 나 있다. 눈은 적황색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작다. 생태 낮고 슬픈 소리로 '훗' 또는...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올빼미목 > 올빼미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숲, 정원, 시골
    먹이 :
    거미, 게, 개구리
    크기 :
    약 20cm ~ 25cm
    무게 :
    약 900g ~ 1.21kg
    학명 :
    Otus bakkamoena ussuriensi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8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소쩍새 Otus sunia
    형태 크기: 수컷은 약 18~19cm, 암컷은 19.5~21c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채색과 무늬: 회색형과 적색형이 있다. 회색형은 몸윗면이 회갈색에 흑갈색 세로 줄무늬가 있으며, 몸아랫면은 때묻은 흰색에 흑갈색 세로 줄무늬가 있고, 벌레먹은 모양의 가는 가로 줄무늬가 있다. 적색형은 몸 윗면이 적갈색에 흑갈색의...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올빼미목(Strigiformes) > 올빼미과(Strigidae)
    학명 :
    Otus sunia (Hodgson, 1836)
    국내분포 :
    전국 산지의 숲속에 서식한다.
    해외분포 :
    파키스탄, 인도, 인도차이나, 말레이반도, 중국 남부와 동부, 러시아 연해지방, 일본, 사할린에서 번식하고, 날레이반도, 수마트라에서 월동한다.
    특징 :
    여름철새, 천연기념물 제324-6호
  • 소쩍새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인 올빼미류를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으며, 여러 나라에서 국제적인 규제를 가하여 각별히 보호하고 있다. 큰소쩍새는 전장 24㎝ 정도이다. 일부의 무리는 텃새로 연중 볼 수 있으나 겨울에는 북녘에서 번식한 집단이 남하, 이동해 온다. 따라서 겨울에는 소쩍새보다 오히려...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소쩍새 Scops owl, 角鸮属
    소쩍새속(Otus)은 올빼미과의 한 속이다. 소쩍새, 큰소쩍새 등이 속해 있다. Giant scops owl Otus gurneyi White-fronted scops owl Otus sagittatus Reddish scops owl Otus rufescens Serendib scops owl Otus thilohoffmanni Sandy scops owl Otus icterorhynchus Sokoke scops owl Otus ireneae Andaman scops owl...
    도서 위키백과
  • 소쩍새 Oriental scops owl, コノハズク
    생물 분류 소쩍새는 올빼미목 올빼미과 맹금류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여름철새이다. 몸 길이는 20cm 정도로, 대체로 갈색을 띠며, 귀가 드러나 있다. 산이나 숲에 서식하며, 주로 야행성이다.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중부지역에서 널리 서식하는 새이다. 남유럽의 일부에서는 텃새로 존재하나 대부분의 서식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