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소반 小盤식기를 받치는 작은 규모의 상. 내용 식기를 올려 두었던 가구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조(俎), 조궤(俎机) 혹은 반(盤)이라는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안(案), 상(床), 탁(卓), 반(盤), 소반(小盤) 등의 명칭을 찾을 수 있으며, 또 반을 판(板)으로 지칭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름이 있었다. 그 중 '반'과 ...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반 小盤유물설명 제작년도: 1837년 검게 옻칠을 한 소반으로 바닥면에 ‘뎡유듕츄뎌동궁길녜시 이뉴일사고간’이라고 쓰여 있다. ‘뎌동궁’은 순조의 3녀인 덕온공주(德溫公主)의 공주궁인 저동궁(苧洞宮)을 말한다. 길례는 오례 중 하나인 제례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관례나 혼례 따위의 경사스러운 예식을 뜻하기도 한다. 덕...
- 분류 :
- 유물 > 가구
- 크기 :
- 지름: 49.5cmcm, 높이: 33cmcm
- 재질 :
- 나무에 옻칠
-
리소반액 Risoban Sol.형태 무색에서 담황갈색의 액제 성분 Isosorbide 이소소르비드 700mg/mL 효능 1. 뇌종양시의 뇌압강하, 두부외상에 기인하는 뇌압항진시의 뇌압강하 2. 메니에르병 용법 1. 뇌압강하 성인 1일량 70-140ml을 2-3회로 나누어 경구 투여한다. 2. 메니에르병 1일 체중당 1.5-2.0 ml/kg을 표준용량으로 하고, 성인 1일 90...
- 식약처 분류 :
- 이뇨제 (213)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일성신약
- 제형 :
- 액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액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출장 가는 소반, 공고상을 아십니까?예전에 음식을 얹어 나르거나 방에 놓고 식탁으로 쓰던 상(床)의 종류를 소반(小盤)이라고 합니다. 소반에는 다리 모양새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요. 다리가 하나뿐인 상은 외다리 소반(독각반, 獨脚盤) 혹은 단각반(單脚盤)이라 하고, 다리가 셋인 것은 삼각반(三脚盤)이라 하며, 다리 모양을 개의 발 모양으로 조각...
-
나주소반 조그마한 밥상 하나에 예술성이 뚝뚝 묻어나다오늘 점심은 나주소반에 조촐한 한식으로 하겠습니다 조그마한 밥상을 '소반'이라고 하는데 겸상이 아닌 외상 또는 독상으로 혼자 받는 작은 것입니다. 소반은 만드는 곳의 지명에 따라 나주반, 통영반, 해주반, 충주반 따위가 있습니다. 또한 쓰임에 따라 식반(食盤), 주안상(酒案床), 공고상(公故床), 돌상, 교자상이...
-
소반활도위치, 매화어촌계 관할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매화도의 남쪽에 위치하며, 개간되어 소반활도, 유도와 함께 매화도와 연결. ㆍ주요 해양생물 : 해당없음 ㆍ주요 육상동물 : 해당없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해당없음 ㆍ주요 식생 · 식물 : 해당없음...
- 면적 :
- 4,066m 2
- 좌표 :
- 34° 54′ 39.8″ N, 126° 14′ 06.2″ E
- 해도번호 :
- 343
- 지번 :
- 압해면 매화리 산398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압해면사무소로부터 8.69km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