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소비자물가지수의 개념상의 문제현재 사용되는 소비자물가지수나 소매물가지수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이 지수들이 실제 사용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은 용어들로 정의되어 있다는 점이다. 공식적인 조사기관에서는 소비자물가지수를 단순히 일정한 조합의 재화·용역에 대한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한다. 이와 같은 개념 정의는 아주 명확...
-
물가지수 산정에서의 편차조정비교적 정확하다고 받아들여지므로 이 견해는 다른 대부분의 나라에까지 확대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국 노동통계국의 공식 입장은 적어도 소매물가지수의 경우 품질변화 때문에 생기는 오차들은 서로 상쇄되는 것으로 본다. 물가지수에 또 다른 오차를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은 바로 물가지수를 작성할 때...
-
-
물가 物價지표로서 또는 디플레이터(가격 수정인자)로서 이용된다. 물가지수의 종류에는 상품거래의 단계에 따라 도매물가지수·소매물가지수·생계비지수 등이 있으며, 부문적으로는 생산재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수출입상품의 가격 동향을 파악하여 무역정책 및 국내 물가정책의 판단지표가 되는...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경제통계의 부문별 경제통계단계별·업종별·지역별·용도별·비목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매단계의 물가통계는 '전국도매물가지수'(한국은행)로 작성되며 소비단계의 물가통계는 '전국소매물가지수'(재정경제원)로 파악될 수 있다. 그밖에도 '농촌물가조사'(농협중앙회), '공공서비스요금동향조사'(대한상공회의소), '수출입물가지수'(한국은행...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