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산업유리와 요업제품 産業琉璃, industrial glass실리카·석회·소다의 조성비율을 변화시켜 만든 유리는 실제로 이용할 때는 고체처럼 보이나 점성도가 매우 높은 액체로서,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투명한 물질이며, 요업제품은 산업적으로 쓰이는 금속과 유기물을 제외한 모든 고체물질로 이루어지며, 부서지기 쉬우나 기계적 강도가 크고, 산소·물 또는 수증기·산...
-
로만글라스 로마유리, Romanglass또한 로마제국이 세계 곳곳과 교류함에 따라 로만글라스는 세계 교역사에서 매우 비싸고 귀중한 무역품으로 자리를 차지하였다. 유리의 성분분류에 따르면 로만글라스는 소다석회유리 계열이다. 4~6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유행한 유리용기의 대부분은 로만글라스로 분석되며, 일부가 소다알루미나유리 계열로 분석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皇南大塚 北墳 琉璃盞어렵고 유럽에서 유행한 후기 로만글라스의 기형과 제작 기법을 따르고 있어, 대외 교류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교역품으로 추정되는 유리의 성분은 대체로 소다석회유리로 밝혀졌다. 의의와 평가 황남대총 북분의 갈색 유리잔은 기형이나 유색, 장식 문양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여 준다.신라 시대 유리 공예의...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다 흡수해버리겠어!- 물유리(water glass)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주원료는 산화규소로, 규사 또는 규석이며 추가적으로 어떤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 칼륨석회유리, 소다석회유리, 납유리 등 다양하게 구분된다. 석영 유리라고 해서 다른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오직 규소로 만든 유리도 있기는 하다. 어찌 됐든 규소를 원재료로 하는 물유리 역시 다른...
-
-
유리의 성질과 생산근대산업의 발달로 유리제조기술과 유리의 실용성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 4,500년 동안 발전되어온 유리제조기술보다 더욱 혁신적인 방법으로 유리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유리의 생산 유리의 원료(소다·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붕소와 기타 물질)를 잘 혼합한 후 유리찌꺼기나 만들고자 하는 유리와 같은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