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다석회 유리 soda-lime glass
    생산되는 유리 중에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유리.|70%의 실리카(이산화규소), 15%의 소다(산화나트륨), 9%의 석회(산화칼슘)와 소량의 여러 가지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소다는 융제로 작용하여 실리카의 녹는점을 낮추며, 석회는 실리카의 안정제로 작용한다. 소다석회 유리는 값이 싸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유리공예 琉璃工藝, glasswork
    녹인 인공의 재료이다. 그 결과물은 뜨거운 액체로, 식으면 결정되지 않고 단단한 상태로 냉각된 무기질 용융물로 비결정고체로 불린다. 유리는 주요성분에 의해 소다석회유리, 산화납(PbO)이 첨가된 납유리, 붕규산유리(boro-silicate glass) 등으로 구분되며, 용도에 따라 판유리와 용기유리 등에 속하는 보통유리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유리 琉璃, glass
    띤다. 산화은을 안료로 섞어서 유리제품의 표면에 엷게 바르고 열을 가하면 영구히 변하지 않는 노란색을 얻을 수 있다. 잘게 분쇄한 식물의 숯을 소다석회 유리에 가하면 노란색을 띤다. 아(亞)셀레늄산염과 셀레늄산염은 옅은 분홍색이나 분홍빛 황색을 띤다. 텔루륨은 옅은 분홍색을 띤다. 니켈을 칼리-납 유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연질유리 軟質琉璃, soft glass
    소다 석회 유리를 말한다. 70%의 실리카, 15%의 소다, 9%의 석회와 소량의 여러 가지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소다는 융제로 작용하여 실리카의 녹는점을 낮추며, 석회는 실리카의 안정제로 작용한다. 소다석회 유리는 값이 싸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적당히 단단하면서도, 작품을 끝마무리할 때 필요하면 언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화학
  • 산업유리와 요업제품 産業琉璃, industrial glass
    실리카·석회·소다의 조성비율을 변화시켜 만든 유리는 실제로 이용할 때는 고체처럼 보이나 점성도가 매우 높은 액체로서,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투명한 물질이며, 요업제품은 산업적으로 쓰이는 금속과 유기물을 제외한 모든 고체물질로 이루어지며, 부서지기 쉬우나 기계적 강도가 크고, 산소·물 또는 수증기·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과학 일반
  • 로만글라스 로마유리, Romanglass
    또한 로마제국이 세계 곳곳과 교류함에 따라 로만글라스는 세계 교역사에서 매우 비싸고 귀중한 무역품으로 자리를 차지하였다. 유리의 성분분류에 따르면 로만글라스는 소다석회유리 계열이다. 4~6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유행한 유리용기의 대부분은 로만글라스로 분석되며, 일부가 소다알루미나유리 계열로 분석된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압착유리 壓搾琉璃, pressed glass
    뱀 껍질'이라 불리는 레이스 무늬가 특징인 유럽의 압착유리제품은 미국의 것만큼이나 복잡하게 장식되었다. 우수한 품질의 납유리가 1860년대 중반까지 독점적으로 쓰였는데 그이후 더 싸지만 깨지기 쉬운 소다석회 유리가 도입되었다. 현재 유리 압착기법은 전세계에서 모든 통상적인 유리제품을 제조하는 데 쓰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황남대총 북분 유리 皇南大塚 北墳 琉璃盞
    어렵고 유럽에서 유행한 후기 로만글라스의 기형과 제작 기법을 따르고 있어, 대외 교류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교역품으로 추정되는 유리의 성분은 대체로 소다석회유리로 밝혀졌다. 의의와 평가 황남대총 북분의 갈색 유리잔은 기형이나 유색, 장식 문양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여 준다.신라 시대 유리 공예의...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다 흡수해버리겠어!- 물유리(water glass)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주원료는 산화규소로, 규사 또는 규석이며 추가적으로 어떤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 칼륨석회유리, 소다석회유리, 납유리 등 다양하게 구분된다. 석영 유리라고 해서 다른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오직 규소로 만든 유리도 있기는 하다. 어찌 됐든 규소를 원재료로 하는 물유리 역시 다른...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플린트 유리 flint glass
    프리즘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비교적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빛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망원경의 렌즈에 사용된다. 플린트 유리의 분광력은 소다석회로 만든 크라운 유리보다 2배 높게 할 수 있으며, 이 2가지의 상보적인 유리를 함께 붙이면 색수차가 교정된 렌즈를 만들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서양의 유리공예
    이중 소다 크리스탈로는 매우 무르고 빨리 식어 장인들의 뛰어난 속도감과 재주를 필요로 하는 재료이기도 하다. 16세기초에는 단순한 형태에서 점차 정교하고 환상적인 모양의 유리제품으로 발달했다(→ 색인:라티치니오 유리). 특히 불투명한 하얀실로 장식하는 기법이 유행했는데, 후에 이것이 점차 더 복잡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유리의 성질과 생산
    근대산업의 발달로 유리제조기술과 유리의 실용성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 4,500년 동안 발전되어온 유리제조기술보다 더욱 혁신적인 방법으로 유리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유리의 생산 유리의 원료(소다·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붕소와 기타 물질)를 잘 혼합한 후 유리찌꺼기나 만들고자 하는 유리와 같은 종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소다석회 유리(soda-lime glass)
더보기